부산 붕괴사고, 무리한 공사 강행이 화 불러

입력 2013.12.19 (23:31) 수정 2013.12.20 (08: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사고 상황 보셨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사고 원인을 들어보겠습니다.

최지영 기자, 어이 없는 사고가 또 일어났는데 배경에 온갖 의혹들이 있다면서요?

<리포트>

네, 그렇습니다.

사고 발생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서 아직까지 정확한 사고원인은 여전히 조사중인데요,

지금 상황에서 추론할 수 있는 사고 원인은 바로 레미콘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하중을 이기지 못한 겁니다.

앞서 보셨겠지만 붕괴사고 장면을 잘 살펴보면, 구조물 외곽 부분이 무너져 내린 걸 알 수 있는데요,

붕괴된 곳은 연결도로의 바깥쪽, 도로 '갓길' 부분입니다.

KBS 취재 결과, 연결도로 본체 중앙에는 'PC 패널'로 불리는 단단한 콘크리트 제작틀을 얹는데요,

사고가 난 외곽 갓길쪽은 거푸집을 설치해놓고 현장 타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게를 버티는데 취약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뷰> 성정규(부산 영도경찰서 형사과장) : "결국 콘크리트가 굳지 않았는데 무거운 걸 계속 더 얹다보니까..."

이번 붕괴사고가 '인재'라는 의혹이 이는 또다른 원인도 있는데요,

바로 촉박했던 공사기간입니다.

개통시기가 내년 4월로 빠듯한 상황에서 현재 공정률은 70퍼센트 수준인데요,

연결도로 1공구와 2공구의 31개 구간 가운데 지금까지 콘크리트 타설이 끝난 곳은 9개에 불과했습니다.

공사기간을 단축하려고 정해진 오후 6시를 넘겨, 밤 늦게까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리한 공사로 철골 구조물 설치작업이 소홀했을 가능성이 큰 대목입니다.

<녹취> 공사 현장 관계자 : "내년 4월까지 공사 완료를 하는 걸로... 늦을 때는 야간작업을 하기도 했습니다"

여기다 연결도로 하부 곳곳에 균열이 일어나, 당국이 보수작업을 하고 구조 설계변경을 해, 부실공사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공사 관계자들을 불러 구조적 결함과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 정확한 붕괴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붕괴사고, 무리한 공사 강행이 화 불러
    • 입력 2013-12-20 07:32:11
    • 수정2013-12-20 08:34:24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사고 상황 보셨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사고 원인을 들어보겠습니다.

최지영 기자, 어이 없는 사고가 또 일어났는데 배경에 온갖 의혹들이 있다면서요?

<리포트>

네, 그렇습니다.

사고 발생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서 아직까지 정확한 사고원인은 여전히 조사중인데요,

지금 상황에서 추론할 수 있는 사고 원인은 바로 레미콘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하중을 이기지 못한 겁니다.

앞서 보셨겠지만 붕괴사고 장면을 잘 살펴보면, 구조물 외곽 부분이 무너져 내린 걸 알 수 있는데요,

붕괴된 곳은 연결도로의 바깥쪽, 도로 '갓길' 부분입니다.

KBS 취재 결과, 연결도로 본체 중앙에는 'PC 패널'로 불리는 단단한 콘크리트 제작틀을 얹는데요,

사고가 난 외곽 갓길쪽은 거푸집을 설치해놓고 현장 타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게를 버티는데 취약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터뷰> 성정규(부산 영도경찰서 형사과장) : "결국 콘크리트가 굳지 않았는데 무거운 걸 계속 더 얹다보니까..."

이번 붕괴사고가 '인재'라는 의혹이 이는 또다른 원인도 있는데요,

바로 촉박했던 공사기간입니다.

개통시기가 내년 4월로 빠듯한 상황에서 현재 공정률은 70퍼센트 수준인데요,

연결도로 1공구와 2공구의 31개 구간 가운데 지금까지 콘크리트 타설이 끝난 곳은 9개에 불과했습니다.

공사기간을 단축하려고 정해진 오후 6시를 넘겨, 밤 늦게까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리한 공사로 철골 구조물 설치작업이 소홀했을 가능성이 큰 대목입니다.

<녹취> 공사 현장 관계자 : "내년 4월까지 공사 완료를 하는 걸로... 늦을 때는 야간작업을 하기도 했습니다"

여기다 연결도로 하부 곳곳에 균열이 일어나, 당국이 보수작업을 하고 구조 설계변경을 해, 부실공사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공사 관계자들을 불러 구조적 결함과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 정확한 붕괴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