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검사권 정부 독점…현장 대응 늦어져

입력 2014.02.11 (09:52) 수정 2014.02.11 (1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발생 한 달도 안돼 AI가 전국에 퍼지고 있지만 AI를 판정하는 검사 권한을 정부가 독점하고 있다 보니 현장대응이 늦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구제역처럼 검사권한을 지방에 이양해야 한다는 겁니다.

조정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AI 발생할 때마다 일선 시·도는 속이 탑니다.

초동조치를 제 때 못하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돼 AI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며칠이 여간 초조한 게 아닙니다.

<녹취> 전라북도 방역관계자 : "오염지역이나 위험지역에 빨리 방역대를 설정해야 되는데 조금 늦춰지지 않나 그런 생각을 갖고 있다는 얘기죠."

농림축산검역본부도 초조하기는 마찬가지.

전국에서 밀려드는 검사로 한창 땐 검사할 게 하루 140건이 넘어 24시간이 모자랄 정도입니다.

<녹취> 김대균(농림축산검역본부) : "진단실은 24시간 체제를 1월 16일부터 가동해서 검사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검역본부가 있는 경기도 안양까지 전남과 경남 등에서는 4시간 이상, 주말에는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시료 이송도 시간이 걸립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독점한 AI 정밀검사 권한을 일선 시·도에 넘겨야 AI 대응을 빨리 할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현재 최대 사흘이 걸리는 AI 검사 기간을 지자체로 넘길 경우 하루로 단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형수(충남가축위생연구소장) : "저희 연구소에 이관된다면 초기에 신속하게 조치해서 바이러스 전파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고, 또 검사기간을 축소할 수 있고"

구제역의 경우 지난해 6월 충남과 경기,경북이 검사기관으로 지정됐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검사권 정부 독점…현장 대응 늦어져
    • 입력 2014-02-11 10:05:48
    • 수정2014-02-11 10:34:53
    930뉴스
<앵커 멘트>

발생 한 달도 안돼 AI가 전국에 퍼지고 있지만 AI를 판정하는 검사 권한을 정부가 독점하고 있다 보니 현장대응이 늦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구제역처럼 검사권한을 지방에 이양해야 한다는 겁니다.

조정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AI 발생할 때마다 일선 시·도는 속이 탑니다.

초동조치를 제 때 못하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돼 AI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며칠이 여간 초조한 게 아닙니다.

<녹취> 전라북도 방역관계자 : "오염지역이나 위험지역에 빨리 방역대를 설정해야 되는데 조금 늦춰지지 않나 그런 생각을 갖고 있다는 얘기죠."

농림축산검역본부도 초조하기는 마찬가지.

전국에서 밀려드는 검사로 한창 땐 검사할 게 하루 140건이 넘어 24시간이 모자랄 정도입니다.

<녹취> 김대균(농림축산검역본부) : "진단실은 24시간 체제를 1월 16일부터 가동해서 검사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검역본부가 있는 경기도 안양까지 전남과 경남 등에서는 4시간 이상, 주말에는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시료 이송도 시간이 걸립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독점한 AI 정밀검사 권한을 일선 시·도에 넘겨야 AI 대응을 빨리 할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현재 최대 사흘이 걸리는 AI 검사 기간을 지자체로 넘길 경우 하루로 단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형수(충남가축위생연구소장) : "저희 연구소에 이관된다면 초기에 신속하게 조치해서 바이러스 전파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고, 또 검사기간을 축소할 수 있고"

구제역의 경우 지난해 6월 충남과 경기,경북이 검사기관으로 지정됐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