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공개 평양 위성도시 ‘평성의 속살’
입력 2014.02.14 (21:05)
수정 2014.02.28 (14: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평양의 위성도시 격인 평성의 모습을 촬영한 화면을 KBS가 긴급 입수했습니다.
전기가 끊겨 전철은 운행을 중단했고, 공동 우물을 사용하는 모습이 한국의 60년대를 꼭 빼닮았습니다.
김개형 기자가 평성의 모습을 처음 공개합니다.
<리포트>
평양에서 60km 떨어진 평성역, 오가는 사람들로 분주합니다.
통행증이 없어 평양 출입이 어려운 사람들이 평양으로 물건을 보내고 받습니다.
평성 터미널에는 버스 수십 대가 대기 중이고, 노선이 49개에 달해 전국으로 운행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군용 트럭이 돈벌이를 위해 주민들을 태운채 달리고, 대중교통인 전철은 전기가 끊겨 운행을 멈췄습니다.
<인터뷰> 전철 차장 : "(차장이요, 두무동 올라가요.) 정전이야. (정전?)"
전력난으로 상수도마저 마비돼 주민들은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먹습니다.
<인터뷰>주민 : "(먹는 물이에요?) 먹는 물이에요. 먹으니까 길어가지"
장마당에는 중국 상품이 대량으로 거래되고있고 위안화가 공공연히 유통됩니다.
몰래 운영하는 환전소에서 위안화를 북한 돈으로 바꾸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인터뷰> "(계십니까? 돈 바꿉니까?) 하지요."
지방에서는 오토바이택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토바이에 화물차 짐칸을 장착해 승객 5~6명 정도를 태울 수 있습니다.
<인터뷰> 승객 : "(3천 원이 아니라 5천 원이요.) 아니 5천원이 옳긴 옳은데 3천 원 내고 타자는 소리지. 뭘. 그럼 됐다."
하지만 배급이 끊어진 상황에서 장마당 경제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도 적지않습니다.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평양의 위성도시 격인 평성의 모습을 촬영한 화면을 KBS가 긴급 입수했습니다.
전기가 끊겨 전철은 운행을 중단했고, 공동 우물을 사용하는 모습이 한국의 60년대를 꼭 빼닮았습니다.
김개형 기자가 평성의 모습을 처음 공개합니다.
<리포트>
평양에서 60km 떨어진 평성역, 오가는 사람들로 분주합니다.
통행증이 없어 평양 출입이 어려운 사람들이 평양으로 물건을 보내고 받습니다.
평성 터미널에는 버스 수십 대가 대기 중이고, 노선이 49개에 달해 전국으로 운행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군용 트럭이 돈벌이를 위해 주민들을 태운채 달리고, 대중교통인 전철은 전기가 끊겨 운행을 멈췄습니다.
<인터뷰> 전철 차장 : "(차장이요, 두무동 올라가요.) 정전이야. (정전?)"
전력난으로 상수도마저 마비돼 주민들은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먹습니다.
<인터뷰>주민 : "(먹는 물이에요?) 먹는 물이에요. 먹으니까 길어가지"
장마당에는 중국 상품이 대량으로 거래되고있고 위안화가 공공연히 유통됩니다.
몰래 운영하는 환전소에서 위안화를 북한 돈으로 바꾸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인터뷰> "(계십니까? 돈 바꿉니까?) 하지요."
지방에서는 오토바이택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토바이에 화물차 짐칸을 장착해 승객 5~6명 정도를 태울 수 있습니다.
<인터뷰> 승객 : "(3천 원이 아니라 5천 원이요.) 아니 5천원이 옳긴 옳은데 3천 원 내고 타자는 소리지. 뭘. 그럼 됐다."
하지만 배급이 끊어진 상황에서 장마당 경제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도 적지않습니다.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초 공개 평양 위성도시 ‘평성의 속살’
-
- 입력 2014-02-14 21:08:38
- 수정2014-02-28 14:52:43

<앵커 멘트>
평양의 위성도시 격인 평성의 모습을 촬영한 화면을 KBS가 긴급 입수했습니다.
전기가 끊겨 전철은 운행을 중단했고, 공동 우물을 사용하는 모습이 한국의 60년대를 꼭 빼닮았습니다.
김개형 기자가 평성의 모습을 처음 공개합니다.
<리포트>
평양에서 60km 떨어진 평성역, 오가는 사람들로 분주합니다.
통행증이 없어 평양 출입이 어려운 사람들이 평양으로 물건을 보내고 받습니다.
평성 터미널에는 버스 수십 대가 대기 중이고, 노선이 49개에 달해 전국으로 운행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군용 트럭이 돈벌이를 위해 주민들을 태운채 달리고, 대중교통인 전철은 전기가 끊겨 운행을 멈췄습니다.
<인터뷰> 전철 차장 : "(차장이요, 두무동 올라가요.) 정전이야. (정전?)"
전력난으로 상수도마저 마비돼 주민들은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먹습니다.
<인터뷰>주민 : "(먹는 물이에요?) 먹는 물이에요. 먹으니까 길어가지"
장마당에는 중국 상품이 대량으로 거래되고있고 위안화가 공공연히 유통됩니다.
몰래 운영하는 환전소에서 위안화를 북한 돈으로 바꾸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인터뷰> "(계십니까? 돈 바꿉니까?) 하지요."
지방에서는 오토바이택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토바이에 화물차 짐칸을 장착해 승객 5~6명 정도를 태울 수 있습니다.
<인터뷰> 승객 : "(3천 원이 아니라 5천 원이요.) 아니 5천원이 옳긴 옳은데 3천 원 내고 타자는 소리지. 뭘. 그럼 됐다."
하지만 배급이 끊어진 상황에서 장마당 경제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도 적지않습니다.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평양의 위성도시 격인 평성의 모습을 촬영한 화면을 KBS가 긴급 입수했습니다.
전기가 끊겨 전철은 운행을 중단했고, 공동 우물을 사용하는 모습이 한국의 60년대를 꼭 빼닮았습니다.
김개형 기자가 평성의 모습을 처음 공개합니다.
<리포트>
평양에서 60km 떨어진 평성역, 오가는 사람들로 분주합니다.
통행증이 없어 평양 출입이 어려운 사람들이 평양으로 물건을 보내고 받습니다.
평성 터미널에는 버스 수십 대가 대기 중이고, 노선이 49개에 달해 전국으로 운행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군용 트럭이 돈벌이를 위해 주민들을 태운채 달리고, 대중교통인 전철은 전기가 끊겨 운행을 멈췄습니다.
<인터뷰> 전철 차장 : "(차장이요, 두무동 올라가요.) 정전이야. (정전?)"
전력난으로 상수도마저 마비돼 주민들은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먹습니다.
<인터뷰>주민 : "(먹는 물이에요?) 먹는 물이에요. 먹으니까 길어가지"
장마당에는 중국 상품이 대량으로 거래되고있고 위안화가 공공연히 유통됩니다.
몰래 운영하는 환전소에서 위안화를 북한 돈으로 바꾸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인터뷰> "(계십니까? 돈 바꿉니까?) 하지요."
지방에서는 오토바이택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토바이에 화물차 짐칸을 장착해 승객 5~6명 정도를 태울 수 있습니다.
<인터뷰> 승객 : "(3천 원이 아니라 5천 원이요.) 아니 5천원이 옳긴 옳은데 3천 원 내고 타자는 소리지. 뭘. 그럼 됐다."
하지만 배급이 끊어진 상황에서 장마당 경제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도 적지않습니다.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
-
김개형 기자 thenews@kbs.co.kr
김개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