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공공부문 부채 821조 원…1인당 1,600만 원

입력 2014.02.14 (21:16) 수정 2014.02.14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나라 빚 하면 흔히 정부가 직접 진 채무를 말하죠.

여기에 예금보험공사같은 비영리 공공기관을 더하면 일반적으로 정부의 부채가 됩니다.

국제적으로 이게 나라빚 규모를 비교하는 기준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여기에 비금융분야 공기업을 더해서 공공부문 부채 라는 걸 발표했습니다.

나라빚의 덩치가 더 커진 건데요. 과연 얼마나 되고, 왜 발표한 건지 오수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LH가 진 빚은 무려 138조 원, 대부분 정부가 해야 할 사업을 대신하다 떠 안았습니다.

이런 비금융 공기업 173곳의 채무를 '일반정부 부채'에 더하고, 그 안에서 오간 거래액수를 뺐더니 821조 원이 나왔습니다.

정부가 처음으로 산출한 '공공부문 부채' 규몹니다.

국내총생산 대비 65%로, 국민 1인당 천6백만 원 꼴입니다.

공기업 채무도 '나라빚'에 넣어야 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자, 정부가 최신 국제 지침에 따라 새로 집계한 겁니다.

<인터뷰> 이태성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국장) : "공기업까지 포함한 공공부문 전체 부채를 산출해서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자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공무원 연금과 군인연금처럼 미래에 지불할 '충당부채'와 공공부문이 보증한 채무도 각각 467조, 146조라고 공개했습니다

국제 기준에 따라 공공 부채에 합산하지는 않되, 공공부채와 함께 엄격히 관리하겠다는 취지에서 함께 발표했습니다.

IMF와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우리 정부가 부채 관리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공공부문 부채 821조 원…1인당 1,600만 원
    • 입력 2014-02-14 21:18:31
    • 수정2014-02-14 22:21:52
    뉴스 9
<앵커 멘트>

나라 빚 하면 흔히 정부가 직접 진 채무를 말하죠.

여기에 예금보험공사같은 비영리 공공기관을 더하면 일반적으로 정부의 부채가 됩니다.

국제적으로 이게 나라빚 규모를 비교하는 기준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여기에 비금융분야 공기업을 더해서 공공부문 부채 라는 걸 발표했습니다.

나라빚의 덩치가 더 커진 건데요. 과연 얼마나 되고, 왜 발표한 건지 오수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LH가 진 빚은 무려 138조 원, 대부분 정부가 해야 할 사업을 대신하다 떠 안았습니다.

이런 비금융 공기업 173곳의 채무를 '일반정부 부채'에 더하고, 그 안에서 오간 거래액수를 뺐더니 821조 원이 나왔습니다.

정부가 처음으로 산출한 '공공부문 부채' 규몹니다.

국내총생산 대비 65%로, 국민 1인당 천6백만 원 꼴입니다.

공기업 채무도 '나라빚'에 넣어야 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자, 정부가 최신 국제 지침에 따라 새로 집계한 겁니다.

<인터뷰> 이태성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국장) : "공기업까지 포함한 공공부문 전체 부채를 산출해서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자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공무원 연금과 군인연금처럼 미래에 지불할 '충당부채'와 공공부문이 보증한 채무도 각각 467조, 146조라고 공개했습니다

국제 기준에 따라 공공 부채에 합산하지는 않되, 공공부채와 함께 엄격히 관리하겠다는 취지에서 함께 발표했습니다.

IMF와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우리 정부가 부채 관리의 투명성을 높이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