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단말기 해킹…20만 5천 명 신용정보 유출
입력 2014.04.11 (19:07)
수정 2014.04.11 (19: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등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포스 단말기가 해킹을 당해서 빠져나간 신용정보가 20만 건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들은 카드 재발급 등 조치에 나섰고 금융당국도 IC카드 단말기 조기 보급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보도에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이 최근 경찰에 붙잡힌 포스단말기 해킹 일당이 빼낸 신용정보 320만 건을 분석한 결과, 10개 카드사 고객 20만 5천 명의 신용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 별로는 신한카드가 3만 5천 건으로 가장 많고 국민카드가 3만 3천 건, 농협카드는 3만 건순입니다.
포스 단말기를 통해 빠져나간 신용정보는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OK캐시백 포인트카드 비밀번호 등입니다.
신용카드 비밀번호는 빠져나가지 않았지만, 신용카드와 포인트카드의 비밀번호를 같이 쓰는 경우가 많아 카드 위조와 현금 인출에 악용됐습니다.
경찰청이 확인한 사고액만 268건에 일억 2천만 원에 이릅니다.
현재 추가 피해는 신고되지 않고 있지만, 해당 카드업체들은 카드재발급 등 정보 유출에 따른 조치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도 현재 35만 대의 포스단말기가 가동되는 점을 고려해, 10개 카드사에 부정사용방지시스템, FDS를 가동하고 부정 사용 적발 시 곧바로 경찰에 통보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또, 가맹점의 포스단말기를 IC단말기로 교체하는 사업을 카드업계가 지원토록 하고, 이르면 다음달부터 5만 원 이상 결제시 무료로 문자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권고했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등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포스 단말기가 해킹을 당해서 빠져나간 신용정보가 20만 건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들은 카드 재발급 등 조치에 나섰고 금융당국도 IC카드 단말기 조기 보급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보도에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이 최근 경찰에 붙잡힌 포스단말기 해킹 일당이 빼낸 신용정보 320만 건을 분석한 결과, 10개 카드사 고객 20만 5천 명의 신용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 별로는 신한카드가 3만 5천 건으로 가장 많고 국민카드가 3만 3천 건, 농협카드는 3만 건순입니다.
포스 단말기를 통해 빠져나간 신용정보는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OK캐시백 포인트카드 비밀번호 등입니다.
신용카드 비밀번호는 빠져나가지 않았지만, 신용카드와 포인트카드의 비밀번호를 같이 쓰는 경우가 많아 카드 위조와 현금 인출에 악용됐습니다.
경찰청이 확인한 사고액만 268건에 일억 2천만 원에 이릅니다.
현재 추가 피해는 신고되지 않고 있지만, 해당 카드업체들은 카드재발급 등 정보 유출에 따른 조치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도 현재 35만 대의 포스단말기가 가동되는 점을 고려해, 10개 카드사에 부정사용방지시스템, FDS를 가동하고 부정 사용 적발 시 곧바로 경찰에 통보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또, 가맹점의 포스단말기를 IC단말기로 교체하는 사업을 카드업계가 지원토록 하고, 이르면 다음달부터 5만 원 이상 결제시 무료로 문자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권고했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카드 단말기 해킹…20만 5천 명 신용정보 유출
-
- 입력 2014-04-11 19:10:39
- 수정2014-04-11 19:40:59

<앵커 멘트>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등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포스 단말기가 해킹을 당해서 빠져나간 신용정보가 20만 건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들은 카드 재발급 등 조치에 나섰고 금융당국도 IC카드 단말기 조기 보급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보도에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이 최근 경찰에 붙잡힌 포스단말기 해킹 일당이 빼낸 신용정보 320만 건을 분석한 결과, 10개 카드사 고객 20만 5천 명의 신용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 별로는 신한카드가 3만 5천 건으로 가장 많고 국민카드가 3만 3천 건, 농협카드는 3만 건순입니다.
포스 단말기를 통해 빠져나간 신용정보는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OK캐시백 포인트카드 비밀번호 등입니다.
신용카드 비밀번호는 빠져나가지 않았지만, 신용카드와 포인트카드의 비밀번호를 같이 쓰는 경우가 많아 카드 위조와 현금 인출에 악용됐습니다.
경찰청이 확인한 사고액만 268건에 일억 2천만 원에 이릅니다.
현재 추가 피해는 신고되지 않고 있지만, 해당 카드업체들은 카드재발급 등 정보 유출에 따른 조치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도 현재 35만 대의 포스단말기가 가동되는 점을 고려해, 10개 카드사에 부정사용방지시스템, FDS를 가동하고 부정 사용 적발 시 곧바로 경찰에 통보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또, 가맹점의 포스단말기를 IC단말기로 교체하는 사업을 카드업계가 지원토록 하고, 이르면 다음달부터 5만 원 이상 결제시 무료로 문자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권고했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등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포스 단말기가 해킹을 당해서 빠져나간 신용정보가 20만 건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들은 카드 재발급 등 조치에 나섰고 금융당국도 IC카드 단말기 조기 보급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보도에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금융감독이 최근 경찰에 붙잡힌 포스단말기 해킹 일당이 빼낸 신용정보 320만 건을 분석한 결과, 10개 카드사 고객 20만 5천 명의 신용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카드사 별로는 신한카드가 3만 5천 건으로 가장 많고 국민카드가 3만 3천 건, 농협카드는 3만 건순입니다.
포스 단말기를 통해 빠져나간 신용정보는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OK캐시백 포인트카드 비밀번호 등입니다.
신용카드 비밀번호는 빠져나가지 않았지만, 신용카드와 포인트카드의 비밀번호를 같이 쓰는 경우가 많아 카드 위조와 현금 인출에 악용됐습니다.
경찰청이 확인한 사고액만 268건에 일억 2천만 원에 이릅니다.
현재 추가 피해는 신고되지 않고 있지만, 해당 카드업체들은 카드재발급 등 정보 유출에 따른 조치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도 현재 35만 대의 포스단말기가 가동되는 점을 고려해, 10개 카드사에 부정사용방지시스템, FDS를 가동하고 부정 사용 적발 시 곧바로 경찰에 통보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또, 가맹점의 포스단말기를 IC단말기로 교체하는 사업을 카드업계가 지원토록 하고, 이르면 다음달부터 5만 원 이상 결제시 무료로 문자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권고했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
-
황동진 기자 ace@kbs.co.kr
황동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