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회] AG의 중심에서 가을야구를 외치다!

입력 2014.09.24 (19:55) 수정 2014.10.02 (1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2014 인천 아시안게임이 선수들의 선전 속에 열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아시안게임의 한 가운데서 만나는 이번주 <옐로우카드>!
아시안게임 야구 대표팀 이야기....당연히 합니다.
하지만 그걸로 끝일 거라 생각하셨다면 아직 <옐카>를 잘 모르신다는 증거.

모두가 아시안게임 야구 대표팀을 이야기 하는 이 때, 옐카가 선택한 주제는 다소 뜬금없지만  ‘가을 야구’입니다.

오는 28일 야구 결승전이 끝나면 10월 1일부터 프로야구 정규시즌 일정이 다시 시작됩니다. 팀별로 적게는 10경기, 많게는 15경기씩을 남겨둔 상황에서도 여전히 가을야구 주인공 한 자리는 오리무중. 경우에 따라 정규리그 마지막 날, 4위~9위까지 순위가 최종 확정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주 옐로우카드에서는 가을 야구 마지막 한 자리의 주인공은 누가 될 지 짚어봅니다. 이재국, 이용균 두 기자가 4위 언저리에서 치열하게 경합 중인 LG, 두산, SK, 롯데 4개팀의 남은 경기 일정과 팀 전력을 꼼꼼히 분석해 남은 경기 성적을 전망해 봅니다.

여기에, 고양원더스 해체 후 무성한 소문의 중심에 서 있는 ‘야신’ 김성근 감독의 근황과 향후 거취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 봅니다.

옐카팬 여러분이 선택한 가을 야구 한 자리의 주인공은 누구인가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10월의 첫 날 다시 돌아올 ‘우리 모두의 가을야구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 <옐로우카드 2> 106회 이벤트 당첨자 (사인볼)
   ● ddya234(김광현), janus29(강정호), heaven80(최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9회] AG의 중심에서 가을야구를 외치다!
    • 입력 2014-09-24 19:55:29
    • 수정2014-10-02 17:51:26
    옐로우카드2





2014 인천 아시안게임이 선수들의 선전 속에 열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아시안게임의 한 가운데서 만나는 이번주 <옐로우카드>!
아시안게임 야구 대표팀 이야기....당연히 합니다.
하지만 그걸로 끝일 거라 생각하셨다면 아직 <옐카>를 잘 모르신다는 증거.

모두가 아시안게임 야구 대표팀을 이야기 하는 이 때, 옐카가 선택한 주제는 다소 뜬금없지만  ‘가을 야구’입니다.

오는 28일 야구 결승전이 끝나면 10월 1일부터 프로야구 정규시즌 일정이 다시 시작됩니다. 팀별로 적게는 10경기, 많게는 15경기씩을 남겨둔 상황에서도 여전히 가을야구 주인공 한 자리는 오리무중. 경우에 따라 정규리그 마지막 날, 4위~9위까지 순위가 최종 확정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주 옐로우카드에서는 가을 야구 마지막 한 자리의 주인공은 누가 될 지 짚어봅니다. 이재국, 이용균 두 기자가 4위 언저리에서 치열하게 경합 중인 LG, 두산, SK, 롯데 4개팀의 남은 경기 일정과 팀 전력을 꼼꼼히 분석해 남은 경기 성적을 전망해 봅니다.

여기에, 고양원더스 해체 후 무성한 소문의 중심에 서 있는 ‘야신’ 김성근 감독의 근황과 향후 거취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 봅니다.

옐카팬 여러분이 선택한 가을 야구 한 자리의 주인공은 누구인가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10월의 첫 날 다시 돌아올 ‘우리 모두의 가을야구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 <옐로우카드 2> 106회 이벤트 당첨자 (사인볼)
   ● ddya234(김광현), janus29(강정호), heaven80(최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