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이다빈, 여고생 태권스타 계보 이었다
입력 2014.10.02 (18:41)
수정 2014.10.02 (18: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 태권도 여자 62㎏급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이다빈(18·효정고)은 이번 대회 우리나라 태권도 대표팀의 막내다.
12명의 국가대표 중 고교생은 이다빈과 남자 74㎏급에서 동메달을 딴 송영건(청주공고) 둘 뿐이다.
이다빈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인 노은실(삼성에스원)과 전 국가대표 1진 김휘랑(인천광역시)을 비롯해 석나예(동아대) 등 쟁쟁한 언니들을 제치고 인천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 선발돼 한국 여자 태권도를 이끌 차세대 스타로 주목받았다.
그동안 태권도 종주국인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서 서울체고 1학년 재학 중 금메달을 따낸 임수정,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딴 당시 서울체고생 황경선 등 여고생 시절부터 아시아와 세계무대를 호령한 태권도 스타들이 심심찮게 나왔다.
2011년 경주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이번 대회 여자 46㎏급 금메달리스트인 김소희가 여고생 태권도 스타의 탄생을 알렸다.
이제 이다빈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이다빈은 고교 진학 후 이미 두 차례 전국체전에서 모두 우승하는 등 국내에서는 마땅한 적수가 없다.
아직 어린 나이이지만 지난해 아시아주니어선수권대회와 올해 코리아오픈대회에 출전해 우승하면서 국제무대 경험도 조금씩 쌓아갔다.
올해 5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개막 직전 왼 정강이를 다쳐 훈련을 제대로 못 한 탓에 8강에서 탈락했다.
하지만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제 기량만 발휘한다면 금메달도 노려볼만한 게 대표팀 코치진의 평가였다.
상대에게 맞는 것이 싫어서 태권도 겨루기를 좋아하지 않았다는 이다빈. 그래서 그는 선수 생활도 비교적 늦은 시기인 중학교 1학년이 돼서야 시작했다.
하지만 이다빈은 선수 생활을 시작한 지 6년 만에 자신의 첫 번째 아시안게임 무대에서 금빛 발차기까지 날렸다.
12명의 국가대표 중 고교생은 이다빈과 남자 74㎏급에서 동메달을 딴 송영건(청주공고) 둘 뿐이다.
이다빈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인 노은실(삼성에스원)과 전 국가대표 1진 김휘랑(인천광역시)을 비롯해 석나예(동아대) 등 쟁쟁한 언니들을 제치고 인천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 선발돼 한국 여자 태권도를 이끌 차세대 스타로 주목받았다.
그동안 태권도 종주국인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서 서울체고 1학년 재학 중 금메달을 따낸 임수정,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딴 당시 서울체고생 황경선 등 여고생 시절부터 아시아와 세계무대를 호령한 태권도 스타들이 심심찮게 나왔다.
2011년 경주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이번 대회 여자 46㎏급 금메달리스트인 김소희가 여고생 태권도 스타의 탄생을 알렸다.
이제 이다빈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이다빈은 고교 진학 후 이미 두 차례 전국체전에서 모두 우승하는 등 국내에서는 마땅한 적수가 없다.
아직 어린 나이이지만 지난해 아시아주니어선수권대회와 올해 코리아오픈대회에 출전해 우승하면서 국제무대 경험도 조금씩 쌓아갔다.
올해 5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개막 직전 왼 정강이를 다쳐 훈련을 제대로 못 한 탓에 8강에서 탈락했다.
하지만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제 기량만 발휘한다면 금메달도 노려볼만한 게 대표팀 코치진의 평가였다.
상대에게 맞는 것이 싫어서 태권도 겨루기를 좋아하지 않았다는 이다빈. 그래서 그는 선수 생활도 비교적 늦은 시기인 중학교 1학년이 돼서야 시작했다.
하지만 이다빈은 선수 생활을 시작한 지 6년 만에 자신의 첫 번째 아시안게임 무대에서 금빛 발차기까지 날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 이다빈, 여고생 태권스타 계보 이었다
-
- 입력 2014-10-02 18:41:41
- 수정2014-10-02 18:42:1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태권도 여자 62㎏급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이다빈(18·효정고)은 이번 대회 우리나라 태권도 대표팀의 막내다.
12명의 국가대표 중 고교생은 이다빈과 남자 74㎏급에서 동메달을 딴 송영건(청주공고) 둘 뿐이다.
이다빈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인 노은실(삼성에스원)과 전 국가대표 1진 김휘랑(인천광역시)을 비롯해 석나예(동아대) 등 쟁쟁한 언니들을 제치고 인천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 선발돼 한국 여자 태권도를 이끌 차세대 스타로 주목받았다.
그동안 태권도 종주국인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서 서울체고 1학년 재학 중 금메달을 따낸 임수정,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딴 당시 서울체고생 황경선 등 여고생 시절부터 아시아와 세계무대를 호령한 태권도 스타들이 심심찮게 나왔다.
2011년 경주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이번 대회 여자 46㎏급 금메달리스트인 김소희가 여고생 태권도 스타의 탄생을 알렸다.
이제 이다빈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이다빈은 고교 진학 후 이미 두 차례 전국체전에서 모두 우승하는 등 국내에서는 마땅한 적수가 없다.
아직 어린 나이이지만 지난해 아시아주니어선수권대회와 올해 코리아오픈대회에 출전해 우승하면서 국제무대 경험도 조금씩 쌓아갔다.
올해 5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개막 직전 왼 정강이를 다쳐 훈련을 제대로 못 한 탓에 8강에서 탈락했다.
하지만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제 기량만 발휘한다면 금메달도 노려볼만한 게 대표팀 코치진의 평가였다.
상대에게 맞는 것이 싫어서 태권도 겨루기를 좋아하지 않았다는 이다빈. 그래서 그는 선수 생활도 비교적 늦은 시기인 중학교 1학년이 돼서야 시작했다.
하지만 이다빈은 선수 생활을 시작한 지 6년 만에 자신의 첫 번째 아시안게임 무대에서 금빛 발차기까지 날렸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2014 인천아시안게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