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배구, 중국 꺾고 ‘20년 만에 금메달’
입력 2014.10.02 (20:59)
수정 2014.10.03 (07: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여자배구가 20년 만에 아시안게임에서 정상에 올랐다.
한국은 2일 인천 송림체육관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여자배구 결승전에서는 한국이 중국을 세트 스코어 3-0(25-20 25-13 25-21)으로 제압했다.
1994년 히로시마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은 이후 4개 대회에서 중국이 시상대 가장 위에 서는 모습만 지켜봤던 한국은 안방에서 중국의 5연패 행진을 저지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세트 스코어 2-2로 맞선 5세트, 14-12로 앞서고도 4점을 연달아 내줘 무릎을 꿇었던 상처도 깨끗하게 씻었다.
1962년 자카르타 대회부터 아시안게임에 나선 한국 여자배구는 역대 아시안게임 두 번째 금메달(은 8, 동 3)을 수확했다.
정점에 오른 '배구여제' 김연경(26)은 양팀 합해 최다인 26점을 올리며 명불허전의 실력을 과시했다.
전성기를 향해 달려가는 김희진(23), 양효진(25), 박정아(21)는 만리장성 앞에서도 주눅이 들지 않았다.
노련한 세터 이효희(34)가 완벽한 볼 배급을 선보였고, 리베로 김해란(30)은 중국의 공격을 온몸으로 막아내며 후배 공격수들을 독려했다.
한송이(30)는 중요한 순간에 블로킹으로 중국의 기를 꺾었다.
김연경은 1세트 초반 5번의 공격을 연속해서 성공하며 팀의 7-2 리드를 이끌었다.
중국의 블로킹이 김연경에게 집중되자 박정아가 오픈 공격을 시도하고, 김희진이 속공과 이동공격으로 득점을 보탰다.
한송이는 15-11에서 류옌한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상대 기를 꺾어놨다.
김연경은 24-20에서 시원한 스파이크를 상대 코트에 꽂으며 한국에 첫 세트 승리를 안겼다.
중국은 2세트 초반 장창린을 앞세워 한국을 위협했다.
하지만 한국은 9-8로 근소하게 앞선 상황에서 김희진이 류옌한의 공격을 1인 블로킹으로 막아내고 김연경이 긴 랠리 끝에 오픈 공격을 성공해 달아났다.
김희진은 13-9에서 기합 소리와 함께 강한 서브를 넣어 서브 득점을 올렸다. 2세트의 승부처를 결정짓는 장면이었다.
이후 한국은 양효진의 블로킹, 이효희의 서브 득점 등으로 점수 차를 벌렸다.
3세트에서는 극적인 승부가 나왔다. 1-7로 뒤진 상황에서 김연경의 공격을 시작으로 한송이의 블로킹, 박정아의 오픈 공격, 김희진의 중앙 속공이 이어지며 12-13까지 추격한 한국은 김희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동점을 만들었고, 막내 세터 이다영(18)까지 블로킹 득점에 가담해 14-13 역전에 성공했다.
김연경의 후위공격이 상대 코트에 꽂히고, 양효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면서 한국은 20-16까지 앞서갔다.
김희진은 24-21에서 중앙 속공으로 상대 코트를 공격하며 승부에 마침표를 찍었다.
한국 대표팀은 경기 뒤 코트에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세리머니'를 펼치며 기쁨을 만끽했다. 경기 전 "중국 공격 다 받아내고 우승하자"며 미리 준비한 금빛 세리머니였다.
◇ 여자 배구 결승전
한국 25 25 25 - 3
중국 20 13 21 - 0
한국은 2일 인천 송림체육관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여자배구 결승전에서는 한국이 중국을 세트 스코어 3-0(25-20 25-13 25-21)으로 제압했다.
1994년 히로시마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은 이후 4개 대회에서 중국이 시상대 가장 위에 서는 모습만 지켜봤던 한국은 안방에서 중국의 5연패 행진을 저지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세트 스코어 2-2로 맞선 5세트, 14-12로 앞서고도 4점을 연달아 내줘 무릎을 꿇었던 상처도 깨끗하게 씻었다.
1962년 자카르타 대회부터 아시안게임에 나선 한국 여자배구는 역대 아시안게임 두 번째 금메달(은 8, 동 3)을 수확했다.
정점에 오른 '배구여제' 김연경(26)은 양팀 합해 최다인 26점을 올리며 명불허전의 실력을 과시했다.
전성기를 향해 달려가는 김희진(23), 양효진(25), 박정아(21)는 만리장성 앞에서도 주눅이 들지 않았다.
노련한 세터 이효희(34)가 완벽한 볼 배급을 선보였고, 리베로 김해란(30)은 중국의 공격을 온몸으로 막아내며 후배 공격수들을 독려했다.
한송이(30)는 중요한 순간에 블로킹으로 중국의 기를 꺾었다.
김연경은 1세트 초반 5번의 공격을 연속해서 성공하며 팀의 7-2 리드를 이끌었다.
중국의 블로킹이 김연경에게 집중되자 박정아가 오픈 공격을 시도하고, 김희진이 속공과 이동공격으로 득점을 보탰다.
한송이는 15-11에서 류옌한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상대 기를 꺾어놨다.
김연경은 24-20에서 시원한 스파이크를 상대 코트에 꽂으며 한국에 첫 세트 승리를 안겼다.
중국은 2세트 초반 장창린을 앞세워 한국을 위협했다.
하지만 한국은 9-8로 근소하게 앞선 상황에서 김희진이 류옌한의 공격을 1인 블로킹으로 막아내고 김연경이 긴 랠리 끝에 오픈 공격을 성공해 달아났다.
김희진은 13-9에서 기합 소리와 함께 강한 서브를 넣어 서브 득점을 올렸다. 2세트의 승부처를 결정짓는 장면이었다.
이후 한국은 양효진의 블로킹, 이효희의 서브 득점 등으로 점수 차를 벌렸다.
3세트에서는 극적인 승부가 나왔다. 1-7로 뒤진 상황에서 김연경의 공격을 시작으로 한송이의 블로킹, 박정아의 오픈 공격, 김희진의 중앙 속공이 이어지며 12-13까지 추격한 한국은 김희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동점을 만들었고, 막내 세터 이다영(18)까지 블로킹 득점에 가담해 14-13 역전에 성공했다.
김연경의 후위공격이 상대 코트에 꽂히고, 양효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면서 한국은 20-16까지 앞서갔다.
김희진은 24-21에서 중앙 속공으로 상대 코트를 공격하며 승부에 마침표를 찍었다.
한국 대표팀은 경기 뒤 코트에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세리머니'를 펼치며 기쁨을 만끽했다. 경기 전 "중국 공격 다 받아내고 우승하자"며 미리 준비한 금빛 세리머니였다.
◇ 여자 배구 결승전
한국 25 25 25 - 3
중국 20 13 21 - 0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자 배구, 중국 꺾고 ‘20년 만에 금메달’
-
- 입력 2014-10-02 20:59:56
- 수정2014-10-03 07:48:35

한국 여자배구가 20년 만에 아시안게임에서 정상에 올랐다.
한국은 2일 인천 송림체육관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여자배구 결승전에서는 한국이 중국을 세트 스코어 3-0(25-20 25-13 25-21)으로 제압했다.
1994년 히로시마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은 이후 4개 대회에서 중국이 시상대 가장 위에 서는 모습만 지켜봤던 한국은 안방에서 중국의 5연패 행진을 저지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세트 스코어 2-2로 맞선 5세트, 14-12로 앞서고도 4점을 연달아 내줘 무릎을 꿇었던 상처도 깨끗하게 씻었다.
1962년 자카르타 대회부터 아시안게임에 나선 한국 여자배구는 역대 아시안게임 두 번째 금메달(은 8, 동 3)을 수확했다.
정점에 오른 '배구여제' 김연경(26)은 양팀 합해 최다인 26점을 올리며 명불허전의 실력을 과시했다.
전성기를 향해 달려가는 김희진(23), 양효진(25), 박정아(21)는 만리장성 앞에서도 주눅이 들지 않았다.
노련한 세터 이효희(34)가 완벽한 볼 배급을 선보였고, 리베로 김해란(30)은 중국의 공격을 온몸으로 막아내며 후배 공격수들을 독려했다.
한송이(30)는 중요한 순간에 블로킹으로 중국의 기를 꺾었다.
김연경은 1세트 초반 5번의 공격을 연속해서 성공하며 팀의 7-2 리드를 이끌었다.
중국의 블로킹이 김연경에게 집중되자 박정아가 오픈 공격을 시도하고, 김희진이 속공과 이동공격으로 득점을 보탰다.
한송이는 15-11에서 류옌한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상대 기를 꺾어놨다.
김연경은 24-20에서 시원한 스파이크를 상대 코트에 꽂으며 한국에 첫 세트 승리를 안겼다.
중국은 2세트 초반 장창린을 앞세워 한국을 위협했다.
하지만 한국은 9-8로 근소하게 앞선 상황에서 김희진이 류옌한의 공격을 1인 블로킹으로 막아내고 김연경이 긴 랠리 끝에 오픈 공격을 성공해 달아났다.
김희진은 13-9에서 기합 소리와 함께 강한 서브를 넣어 서브 득점을 올렸다. 2세트의 승부처를 결정짓는 장면이었다.
이후 한국은 양효진의 블로킹, 이효희의 서브 득점 등으로 점수 차를 벌렸다.
3세트에서는 극적인 승부가 나왔다. 1-7로 뒤진 상황에서 김연경의 공격을 시작으로 한송이의 블로킹, 박정아의 오픈 공격, 김희진의 중앙 속공이 이어지며 12-13까지 추격한 한국은 김희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동점을 만들었고, 막내 세터 이다영(18)까지 블로킹 득점에 가담해 14-13 역전에 성공했다.
김연경의 후위공격이 상대 코트에 꽂히고, 양효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면서 한국은 20-16까지 앞서갔다.
김희진은 24-21에서 중앙 속공으로 상대 코트를 공격하며 승부에 마침표를 찍었다.
한국 대표팀은 경기 뒤 코트에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세리머니'를 펼치며 기쁨을 만끽했다. 경기 전 "중국 공격 다 받아내고 우승하자"며 미리 준비한 금빛 세리머니였다.
◇ 여자 배구 결승전
한국 25 25 25 - 3
중국 20 13 21 - 0
한국은 2일 인천 송림체육관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여자배구 결승전에서는 한국이 중국을 세트 스코어 3-0(25-20 25-13 25-21)으로 제압했다.
1994년 히로시마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은 이후 4개 대회에서 중국이 시상대 가장 위에 서는 모습만 지켜봤던 한국은 안방에서 중국의 5연패 행진을 저지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세트 스코어 2-2로 맞선 5세트, 14-12로 앞서고도 4점을 연달아 내줘 무릎을 꿇었던 상처도 깨끗하게 씻었다.
1962년 자카르타 대회부터 아시안게임에 나선 한국 여자배구는 역대 아시안게임 두 번째 금메달(은 8, 동 3)을 수확했다.
정점에 오른 '배구여제' 김연경(26)은 양팀 합해 최다인 26점을 올리며 명불허전의 실력을 과시했다.
전성기를 향해 달려가는 김희진(23), 양효진(25), 박정아(21)는 만리장성 앞에서도 주눅이 들지 않았다.
노련한 세터 이효희(34)가 완벽한 볼 배급을 선보였고, 리베로 김해란(30)은 중국의 공격을 온몸으로 막아내며 후배 공격수들을 독려했다.
한송이(30)는 중요한 순간에 블로킹으로 중국의 기를 꺾었다.
김연경은 1세트 초반 5번의 공격을 연속해서 성공하며 팀의 7-2 리드를 이끌었다.
중국의 블로킹이 김연경에게 집중되자 박정아가 오픈 공격을 시도하고, 김희진이 속공과 이동공격으로 득점을 보탰다.
한송이는 15-11에서 류옌한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상대 기를 꺾어놨다.
김연경은 24-20에서 시원한 스파이크를 상대 코트에 꽂으며 한국에 첫 세트 승리를 안겼다.
중국은 2세트 초반 장창린을 앞세워 한국을 위협했다.
하지만 한국은 9-8로 근소하게 앞선 상황에서 김희진이 류옌한의 공격을 1인 블로킹으로 막아내고 김연경이 긴 랠리 끝에 오픈 공격을 성공해 달아났다.
김희진은 13-9에서 기합 소리와 함께 강한 서브를 넣어 서브 득점을 올렸다. 2세트의 승부처를 결정짓는 장면이었다.
이후 한국은 양효진의 블로킹, 이효희의 서브 득점 등으로 점수 차를 벌렸다.
3세트에서는 극적인 승부가 나왔다. 1-7로 뒤진 상황에서 김연경의 공격을 시작으로 한송이의 블로킹, 박정아의 오픈 공격, 김희진의 중앙 속공이 이어지며 12-13까지 추격한 한국은 김희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며 동점을 만들었고, 막내 세터 이다영(18)까지 블로킹 득점에 가담해 14-13 역전에 성공했다.
김연경의 후위공격이 상대 코트에 꽂히고, 양효진이 장창닝의 공격을 블로킹하면서 한국은 20-16까지 앞서갔다.
김희진은 24-21에서 중앙 속공으로 상대 코트를 공격하며 승부에 마침표를 찍었다.
한국 대표팀은 경기 뒤 코트에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세리머니'를 펼치며 기쁨을 만끽했다. 경기 전 "중국 공격 다 받아내고 우승하자"며 미리 준비한 금빛 세리머니였다.
◇ 여자 배구 결승전
한국 25 25 25 - 3
중국 20 13 21 - 0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2014 인천아시안게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