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석 달만에 또 금리 인하…환율 전쟁 격화
입력 2015.03.02 (06:40)
수정 2015.03.02 (07: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이 석달 만에 다시 기준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부동산 침체와 경기 하강에 따른 대응책인데요 적극적인 돈풀기로 글로벌 환율 전쟁이 한층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앵커 멘트>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지난 해 11월 기준 금리를 내린 지 석달만입니다.
이에 따라 1년 만기 대출 기준 금리는 5.35%로, 예금 금리는 2.5%로 낮아졌습니다.
<인터뷰> 쟈오칭밍(중국 금융선물교역소 연구원) :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기업 이윤율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난해 금리 인하 효과는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중국 금융 전문가들은 이번 기준 금리 인하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인터뷰> 중량(중국은행 연구원) :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또 1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0.8로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도 기준 금리 인하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때문에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준 금리 인하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중국의 기준 금리 인하로 글로벌 환율 전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중국이 석달 만에 다시 기준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부동산 침체와 경기 하강에 따른 대응책인데요 적극적인 돈풀기로 글로벌 환율 전쟁이 한층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앵커 멘트>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지난 해 11월 기준 금리를 내린 지 석달만입니다.
이에 따라 1년 만기 대출 기준 금리는 5.35%로, 예금 금리는 2.5%로 낮아졌습니다.
<인터뷰> 쟈오칭밍(중국 금융선물교역소 연구원) :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기업 이윤율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난해 금리 인하 효과는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중국 금융 전문가들은 이번 기준 금리 인하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인터뷰> 중량(중국은행 연구원) :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또 1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0.8로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도 기준 금리 인하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때문에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준 금리 인하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중국의 기준 금리 인하로 글로벌 환율 전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석 달만에 또 금리 인하…환율 전쟁 격화
-
- 입력 2015-03-02 06:42:04
- 수정2015-03-02 07:33:55

<앵커 멘트>
중국이 석달 만에 다시 기준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부동산 침체와 경기 하강에 따른 대응책인데요 적극적인 돈풀기로 글로벌 환율 전쟁이 한층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앵커 멘트>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지난 해 11월 기준 금리를 내린 지 석달만입니다.
이에 따라 1년 만기 대출 기준 금리는 5.35%로, 예금 금리는 2.5%로 낮아졌습니다.
<인터뷰> 쟈오칭밍(중국 금융선물교역소 연구원) :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기업 이윤율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난해 금리 인하 효과는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중국 금융 전문가들은 이번 기준 금리 인하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인터뷰> 중량(중국은행 연구원) :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또 1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0.8로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도 기준 금리 인하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때문에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준 금리 인하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중국의 기준 금리 인하로 글로벌 환율 전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중국이 석달 만에 다시 기준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부동산 침체와 경기 하강에 따른 대응책인데요 적극적인 돈풀기로 글로벌 환율 전쟁이 한층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앵커 멘트>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지난 해 11월 기준 금리를 내린 지 석달만입니다.
이에 따라 1년 만기 대출 기준 금리는 5.35%로, 예금 금리는 2.5%로 낮아졌습니다.
<인터뷰> 쟈오칭밍(중국 금융선물교역소 연구원) :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기업 이윤율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난해 금리 인하 효과는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중국 금융 전문가들은 이번 기준 금리 인하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인터뷰> 중량(중국은행 연구원) :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또 1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0.8로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도 기준 금리 인하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때문에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준 금리 인하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중국의 기준 금리 인하로 글로벌 환율 전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
-
박정호 기자 jhpark@kbs.co.kr
박정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