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 상이군경회의 ‘수상한 땅 거래’

입력 2015.04.22 (21:26) 수정 2015.04.23 (11: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가를 위해 헌신한 보훈단체에게 보상차원의 특혜를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요.

그런데, 특혜를 받아 사들인 국유지로 땅장사를 한다면 어떻겠습니까?

대한민국 상이군경회가 벌인 일들을 임재성 기자가 현장 고발합니다.

<리포트>

제2 경인고속도로 옆 그린벨트 지역입니다.

3년 전 상이군경회가 주차장 사업을 한다며 정부로 부터 사들였습니다.

보훈 단체라 취득세까지 면제받고 32억 원에 수의 계약했습니다.

<녹취> 공인중개사(음성변조) : "투자가치가 있는 거죠. 위치상으로 봤을 때는... (주변)시세가 지금 (평당) 6백에서 7백만 원까지 호가하고 있어요."

그런데 차는 없고 헬기장 표시만 있습니다.

얼마 전 까지 근처 병원의 헬기 계류장이었습니다.

<녹취> 인근 주민(음성변조) : "((주차된 건) 한 번도 못보신 거에요?) 그렇죠. 항공 주유차만 들어가지..."

문을 저렇게 막아놨는데...

등기부 등본을 떼봤습니다. 바로 그 병원이 근저당에, 지상권까지 설정했습니다.

상이 군경회가 땅을 산 지 한달 만이었습니다.

<녹취> 병원 담당자(음성변조) : "닥터헬기 사업을 해야 하니까...상이군경회에 (임대) 보증금을 세 번 (나눠)줬더라고, 세 번... 문제에 대비해서 근저당에 지상권을 설정해 달라고..."

그런데 취재 결과 땅 값 32억 원은 처음부터 병원이 냈습니다.

상이군경회에 10억 원의 웃돈까지 줬습니다.

<녹취> 상이군경회 임원(음성변조) : "A 병원에서 '우리가 헬리콥터장이 필요하다. 돈은 우리가 대겠다'... 우리는 돈 안 들이고 이익보고..."

국유지로 상이군경회는 차익을 얻고, 병원은 정부 사업을 할 수 있는 가치 높은 땅을 확보한 셈입니다.

<녹취> 상이군경회 관계자(음성변조) : "돈을 대주고 말입니다. 명의신탁을 하고.. 다 어떤 목적이 있기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한 거 아니겠습니까?"

상이군경회는 2011년, 부산의 대규모 매립지 분양 때도 같은 의혹으로 검찰 수사까지 받았습니다.

비슷한 시기 복지 시설을 짓겠다며 강화도의 국유지도 사들였는데 아직까지 빈 땅입니다.

현장추적 임재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 상이군경회의 ‘수상한 땅 거래’
    • 입력 2015-04-22 21:27:24
    • 수정2015-04-23 11:36:44
    뉴스 9
<앵커 멘트>

국가를 위해 헌신한 보훈단체에게 보상차원의 특혜를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요.

그런데, 특혜를 받아 사들인 국유지로 땅장사를 한다면 어떻겠습니까?

대한민국 상이군경회가 벌인 일들을 임재성 기자가 현장 고발합니다.

<리포트>

제2 경인고속도로 옆 그린벨트 지역입니다.

3년 전 상이군경회가 주차장 사업을 한다며 정부로 부터 사들였습니다.

보훈 단체라 취득세까지 면제받고 32억 원에 수의 계약했습니다.

<녹취> 공인중개사(음성변조) : "투자가치가 있는 거죠. 위치상으로 봤을 때는... (주변)시세가 지금 (평당) 6백에서 7백만 원까지 호가하고 있어요."

그런데 차는 없고 헬기장 표시만 있습니다.

얼마 전 까지 근처 병원의 헬기 계류장이었습니다.

<녹취> 인근 주민(음성변조) : "((주차된 건) 한 번도 못보신 거에요?) 그렇죠. 항공 주유차만 들어가지..."

문을 저렇게 막아놨는데...

등기부 등본을 떼봤습니다. 바로 그 병원이 근저당에, 지상권까지 설정했습니다.

상이 군경회가 땅을 산 지 한달 만이었습니다.

<녹취> 병원 담당자(음성변조) : "닥터헬기 사업을 해야 하니까...상이군경회에 (임대) 보증금을 세 번 (나눠)줬더라고, 세 번... 문제에 대비해서 근저당에 지상권을 설정해 달라고..."

그런데 취재 결과 땅 값 32억 원은 처음부터 병원이 냈습니다.

상이군경회에 10억 원의 웃돈까지 줬습니다.

<녹취> 상이군경회 임원(음성변조) : "A 병원에서 '우리가 헬리콥터장이 필요하다. 돈은 우리가 대겠다'... 우리는 돈 안 들이고 이익보고..."

국유지로 상이군경회는 차익을 얻고, 병원은 정부 사업을 할 수 있는 가치 높은 땅을 확보한 셈입니다.

<녹취> 상이군경회 관계자(음성변조) : "돈을 대주고 말입니다. 명의신탁을 하고.. 다 어떤 목적이 있기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한 거 아니겠습니까?"

상이군경회는 2011년, 부산의 대규모 매립지 분양 때도 같은 의혹으로 검찰 수사까지 받았습니다.

비슷한 시기 복지 시설을 짓겠다며 강화도의 국유지도 사들였는데 아직까지 빈 땅입니다.

현장추적 임재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