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동시통역 서비스 안돼 문제
입력 2002.03.31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월드컵을 앞두고 택시에 동시통역서비스가 도입됐습니다.
그런데 실제 이용률은 1%밖에 안 된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권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무료로 동시통역을 해 준다는 택시에 한 외국인이 타고 행선지를 말합니다.
⊙인터뷰: 근처에 싼 호텔에 가 주세요.
⊙기자: 말을 알아듣지 못한 택시기사가 곧바로 동시통역센터와 통화를 시도해 보지만 제대로 연결이 안 됩니다.
⊙택시 기사: 되다 안 되다 그래요.
금방도 되다, 안 되다 하잖아요.
⊙기자: 일부 택시기사들은 통역센터에 전화만 걸면 되는 간단한 서비스 사용법조차 모릅니다.
⊙기자: 휴대전화로 하는 것 아니에요.
080번호로...
⊙택시기사: 잘 모르겠는데요.
⊙기자: 택시 안에 붙인 안내문도 엉터리여서 일본어 표기에서 오자가 발견됩니다.
⊙스츠키 리키타(일본인): 여기가 틀렸습니다.
이것은 일본어로 '오'(목적격 조사)로 돼야 하는데 '사'를 썼습니다.
⊙기자: 이 같은 이유로 동시통역서비스를 하는 서울의 택시 7만대 가운데 이용건수는 하루 평균 7, 800건으로 이용률이 1%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최종윤(택시 동시통역 소비자업체 관계자): 저희 각 택시 승강장, 버스승강장, 기타 지하철의 어떤 역 같은데 저희들이 홍보스티커를 붙여서 그런 것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예정이고...
⊙기자: 기발한 착상으로 외국의 모범사례로까지 꼽혔던 택시 동시통역서비스가 애물단지로 변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KBS뉴스 권재민입니다.
그런데 실제 이용률은 1%밖에 안 된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권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무료로 동시통역을 해 준다는 택시에 한 외국인이 타고 행선지를 말합니다.
⊙인터뷰: 근처에 싼 호텔에 가 주세요.
⊙기자: 말을 알아듣지 못한 택시기사가 곧바로 동시통역센터와 통화를 시도해 보지만 제대로 연결이 안 됩니다.
⊙택시 기사: 되다 안 되다 그래요.
금방도 되다, 안 되다 하잖아요.
⊙기자: 일부 택시기사들은 통역센터에 전화만 걸면 되는 간단한 서비스 사용법조차 모릅니다.
⊙기자: 휴대전화로 하는 것 아니에요.
080번호로...
⊙택시기사: 잘 모르겠는데요.
⊙기자: 택시 안에 붙인 안내문도 엉터리여서 일본어 표기에서 오자가 발견됩니다.
⊙스츠키 리키타(일본인): 여기가 틀렸습니다.
이것은 일본어로 '오'(목적격 조사)로 돼야 하는데 '사'를 썼습니다.
⊙기자: 이 같은 이유로 동시통역서비스를 하는 서울의 택시 7만대 가운데 이용건수는 하루 평균 7, 800건으로 이용률이 1%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최종윤(택시 동시통역 소비자업체 관계자): 저희 각 택시 승강장, 버스승강장, 기타 지하철의 어떤 역 같은데 저희들이 홍보스티커를 붙여서 그런 것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예정이고...
⊙기자: 기발한 착상으로 외국의 모범사례로까지 꼽혔던 택시 동시통역서비스가 애물단지로 변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KBS뉴스 권재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택시 동시통역 서비스 안돼 문제
-
- 입력 2002-03-31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월드컵을 앞두고 택시에 동시통역서비스가 도입됐습니다.
그런데 실제 이용률은 1%밖에 안 된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권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무료로 동시통역을 해 준다는 택시에 한 외국인이 타고 행선지를 말합니다.
⊙인터뷰: 근처에 싼 호텔에 가 주세요.
⊙기자: 말을 알아듣지 못한 택시기사가 곧바로 동시통역센터와 통화를 시도해 보지만 제대로 연결이 안 됩니다.
⊙택시 기사: 되다 안 되다 그래요.
금방도 되다, 안 되다 하잖아요.
⊙기자: 일부 택시기사들은 통역센터에 전화만 걸면 되는 간단한 서비스 사용법조차 모릅니다.
⊙기자: 휴대전화로 하는 것 아니에요.
080번호로...
⊙택시기사: 잘 모르겠는데요.
⊙기자: 택시 안에 붙인 안내문도 엉터리여서 일본어 표기에서 오자가 발견됩니다.
⊙스츠키 리키타(일본인): 여기가 틀렸습니다.
이것은 일본어로 '오'(목적격 조사)로 돼야 하는데 '사'를 썼습니다.
⊙기자: 이 같은 이유로 동시통역서비스를 하는 서울의 택시 7만대 가운데 이용건수는 하루 평균 7, 800건으로 이용률이 1%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최종윤(택시 동시통역 소비자업체 관계자): 저희 각 택시 승강장, 버스승강장, 기타 지하철의 어떤 역 같은데 저희들이 홍보스티커를 붙여서 그런 것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예정이고...
⊙기자: 기발한 착상으로 외국의 모범사례로까지 꼽혔던 택시 동시통역서비스가 애물단지로 변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KBS뉴스 권재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