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북극 녹아 겨울 한파…온난화 역설 증명
입력 2015.05.17 (07:06)
수정 2015.05.17 (07: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올봄 북극의 얼음이 관측 이래 가장 빠르게 녹고 있습니다.
이런 급격한 북극의 온난화가 반대로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이런 온난화의 역설을 한국의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증명하고 있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극의 3월, 어둠만 이어지던 극야가 끝나고 햇빛이 들기 시작합니다.
수증기가 피어오르며 북극 바다얼음이 녹아내리는 전체 과정을 관측선과 함께 지켜봅니다.
한국과 노르웨이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세계 최초로 시도했습니다.
<인터뷰> 박상종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배를 유빙에 갇다 붙이고, 그 상태로 밤새도록 얼린거죠. 얼어붙을 때까지 기다린건죠. 그 다음부터는 주변의 얼음 뜸바구니에서 끼어서 같이 표류를…"
북극 바다가 얼어붙은 유빙 위에서 얼음이 녹으며 나오는 수증기와 열기를 측정합니다.
이 열기가 대기 상공으로 전파돼 북극에 갇혀있는 찬 공기가 중위도로 밀려나며 겨울철 혹한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 2년 연속 이어진 북미지역의 기록적인 한파, 2010년 이후 더욱 심해진 동아시아의 겨울 추위가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겁니다.
<인터뷰> 김백민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북극의 급격한 온난화가 중위도 지역에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불러일으키고 있는데이에 대한 예측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올봄 북극의 얼음은 관측 이래 가장 많이 녹고 있습니다.
기후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2040년쯤 북극 얼음이 모두 녹으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올봄 북극의 얼음이 관측 이래 가장 빠르게 녹고 있습니다.
이런 급격한 북극의 온난화가 반대로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이런 온난화의 역설을 한국의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증명하고 있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극의 3월, 어둠만 이어지던 극야가 끝나고 햇빛이 들기 시작합니다.
수증기가 피어오르며 북극 바다얼음이 녹아내리는 전체 과정을 관측선과 함께 지켜봅니다.
한국과 노르웨이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세계 최초로 시도했습니다.
<인터뷰> 박상종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배를 유빙에 갇다 붙이고, 그 상태로 밤새도록 얼린거죠. 얼어붙을 때까지 기다린건죠. 그 다음부터는 주변의 얼음 뜸바구니에서 끼어서 같이 표류를…"
북극 바다가 얼어붙은 유빙 위에서 얼음이 녹으며 나오는 수증기와 열기를 측정합니다.
이 열기가 대기 상공으로 전파돼 북극에 갇혀있는 찬 공기가 중위도로 밀려나며 겨울철 혹한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 2년 연속 이어진 북미지역의 기록적인 한파, 2010년 이후 더욱 심해진 동아시아의 겨울 추위가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겁니다.
<인터뷰> 김백민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북극의 급격한 온난화가 중위도 지역에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불러일으키고 있는데이에 대한 예측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올봄 북극의 얼음은 관측 이래 가장 많이 녹고 있습니다.
기후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2040년쯤 북극 얼음이 모두 녹으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름 북극 녹아 겨울 한파…온난화 역설 증명
-
- 입력 2015-05-17 07:08:04
- 수정2015-05-17 07:38:31

<앵커 멘트>
올봄 북극의 얼음이 관측 이래 가장 빠르게 녹고 있습니다.
이런 급격한 북극의 온난화가 반대로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이런 온난화의 역설을 한국의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증명하고 있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극의 3월, 어둠만 이어지던 극야가 끝나고 햇빛이 들기 시작합니다.
수증기가 피어오르며 북극 바다얼음이 녹아내리는 전체 과정을 관측선과 함께 지켜봅니다.
한국과 노르웨이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세계 최초로 시도했습니다.
<인터뷰> 박상종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배를 유빙에 갇다 붙이고, 그 상태로 밤새도록 얼린거죠. 얼어붙을 때까지 기다린건죠. 그 다음부터는 주변의 얼음 뜸바구니에서 끼어서 같이 표류를…"
북극 바다가 얼어붙은 유빙 위에서 얼음이 녹으며 나오는 수증기와 열기를 측정합니다.
이 열기가 대기 상공으로 전파돼 북극에 갇혀있는 찬 공기가 중위도로 밀려나며 겨울철 혹한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 2년 연속 이어진 북미지역의 기록적인 한파, 2010년 이후 더욱 심해진 동아시아의 겨울 추위가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겁니다.
<인터뷰> 김백민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북극의 급격한 온난화가 중위도 지역에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불러일으키고 있는데이에 대한 예측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올봄 북극의 얼음은 관측 이래 가장 많이 녹고 있습니다.
기후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2040년쯤 북극 얼음이 모두 녹으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올봄 북극의 얼음이 관측 이래 가장 빠르게 녹고 있습니다.
이런 급격한 북극의 온난화가 반대로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이런 온난화의 역설을 한국의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증명하고 있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극의 3월, 어둠만 이어지던 극야가 끝나고 햇빛이 들기 시작합니다.
수증기가 피어오르며 북극 바다얼음이 녹아내리는 전체 과정을 관측선과 함께 지켜봅니다.
한국과 노르웨이 과학자들이 북극 현지에서 세계 최초로 시도했습니다.
<인터뷰> 박상종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배를 유빙에 갇다 붙이고, 그 상태로 밤새도록 얼린거죠. 얼어붙을 때까지 기다린건죠. 그 다음부터는 주변의 얼음 뜸바구니에서 끼어서 같이 표류를…"
북극 바다가 얼어붙은 유빙 위에서 얼음이 녹으며 나오는 수증기와 열기를 측정합니다.
이 열기가 대기 상공으로 전파돼 북극에 갇혀있는 찬 공기가 중위도로 밀려나며 겨울철 혹한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 2년 연속 이어진 북미지역의 기록적인 한파, 2010년 이후 더욱 심해진 동아시아의 겨울 추위가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겁니다.
<인터뷰> 김백민 (박사 / 극지연구소 기후변화연구부) : "북극의 급격한 온난화가 중위도 지역에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를 불러일으키고 있는데이에 대한 예측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올봄 북극의 얼음은 관측 이래 가장 많이 녹고 있습니다.
기후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2040년쯤 북극 얼음이 모두 녹으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
김성한 기자 albatross@kbs.co.kr
김성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