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조 원대 거대 태권도 시장…한국산은 ‘찬밥’
입력 2015.05.23 (21:19)
수정 2015.05.23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태권도는 우리가 종주국이죠.
그런데, 지금 우리 위상이 이 종주국이란 말에 걸맞질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적인 측면에서 그렇습니다.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30여 개 나라의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실력을 겨룹니다.
공정한 판정을 위해 선수들이 전자 호구를 착용하고, 바닥에는 8각 매트를 깔아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진행합니다.
그런데 이 같은 태권도용품 대부분이 외국산입니다.
<인터뷰> 양진방(세계태권도연맹 기술위원장) : "매트는 중국에 있는 00 스포츠라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그리고 전자 호구는 한국계 스페인 사장이 운영하는 00회사 제품입니다."
국기원 옆 태권도용품 전문 판매점.
선수는 물론 일반인들도 국산보다 외국산을 선호합니다.
가격은 중국산에. 품질면에서는 외국 전문업체 제품에 밀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상일(태권도용품 판매점 대표) : "요즘에 와서 기능성 도복이라 해 가지고 운동할 때 일단 가볍고 또 몸에 잘 붙지 않고."
태권도 용품 시장의 40%를 외국산이 점령했고, 생산지는 중국이 75%를 독점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도 우리 고유의 한지로 도복을 만드는 등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성과는 미미합니다.
국내외 태권도용품 시장 규모는 8천억 원대.
'원조 한류'로서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려온 태권도가 산업화 측면에서는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태권도는 우리가 종주국이죠.
그런데, 지금 우리 위상이 이 종주국이란 말에 걸맞질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적인 측면에서 그렇습니다.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30여 개 나라의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실력을 겨룹니다.
공정한 판정을 위해 선수들이 전자 호구를 착용하고, 바닥에는 8각 매트를 깔아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진행합니다.
그런데 이 같은 태권도용품 대부분이 외국산입니다.
<인터뷰> 양진방(세계태권도연맹 기술위원장) : "매트는 중국에 있는 00 스포츠라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그리고 전자 호구는 한국계 스페인 사장이 운영하는 00회사 제품입니다."
국기원 옆 태권도용품 전문 판매점.
선수는 물론 일반인들도 국산보다 외국산을 선호합니다.
가격은 중국산에. 품질면에서는 외국 전문업체 제품에 밀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상일(태권도용품 판매점 대표) : "요즘에 와서 기능성 도복이라 해 가지고 운동할 때 일단 가볍고 또 몸에 잘 붙지 않고."
태권도 용품 시장의 40%를 외국산이 점령했고, 생산지는 중국이 75%를 독점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도 우리 고유의 한지로 도복을 만드는 등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성과는 미미합니다.
국내외 태권도용품 시장 규모는 8천억 원대.
'원조 한류'로서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려온 태권도가 산업화 측면에서는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조 원대 거대 태권도 시장…한국산은 ‘찬밥’
-
- 입력 2015-05-23 21:22:55
- 수정2015-05-23 22:17:56
<앵커 멘트>
태권도는 우리가 종주국이죠.
그런데, 지금 우리 위상이 이 종주국이란 말에 걸맞질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적인 측면에서 그렇습니다.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30여 개 나라의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실력을 겨룹니다.
공정한 판정을 위해 선수들이 전자 호구를 착용하고, 바닥에는 8각 매트를 깔아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진행합니다.
그런데 이 같은 태권도용품 대부분이 외국산입니다.
<인터뷰> 양진방(세계태권도연맹 기술위원장) : "매트는 중국에 있는 00 스포츠라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그리고 전자 호구는 한국계 스페인 사장이 운영하는 00회사 제품입니다."
국기원 옆 태권도용품 전문 판매점.
선수는 물론 일반인들도 국산보다 외국산을 선호합니다.
가격은 중국산에. 품질면에서는 외국 전문업체 제품에 밀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상일(태권도용품 판매점 대표) : "요즘에 와서 기능성 도복이라 해 가지고 운동할 때 일단 가볍고 또 몸에 잘 붙지 않고."
태권도 용품 시장의 40%를 외국산이 점령했고, 생산지는 중국이 75%를 독점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도 우리 고유의 한지로 도복을 만드는 등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성과는 미미합니다.
국내외 태권도용품 시장 규모는 8천억 원대.
'원조 한류'로서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려온 태권도가 산업화 측면에서는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태권도는 우리가 종주국이죠.
그런데, 지금 우리 위상이 이 종주국이란 말에 걸맞질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적인 측면에서 그렇습니다.
서승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30여 개 나라의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들이 실력을 겨룹니다.
공정한 판정을 위해 선수들이 전자 호구를 착용하고, 바닥에는 8각 매트를 깔아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진행합니다.
그런데 이 같은 태권도용품 대부분이 외국산입니다.
<인터뷰> 양진방(세계태권도연맹 기술위원장) : "매트는 중국에 있는 00 스포츠라는 회사의 제품입니다. 그리고 전자 호구는 한국계 스페인 사장이 운영하는 00회사 제품입니다."
국기원 옆 태권도용품 전문 판매점.
선수는 물론 일반인들도 국산보다 외국산을 선호합니다.
가격은 중국산에. 품질면에서는 외국 전문업체 제품에 밀리고 있습니다.
<녹취> 이상일(태권도용품 판매점 대표) : "요즘에 와서 기능성 도복이라 해 가지고 운동할 때 일단 가볍고 또 몸에 잘 붙지 않고."
태권도 용품 시장의 40%를 외국산이 점령했고, 생산지는 중국이 75%를 독점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도 우리 고유의 한지로 도복을 만드는 등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성과는 미미합니다.
국내외 태권도용품 시장 규모는 8천억 원대.
'원조 한류'로서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려온 태권도가 산업화 측면에서는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
-
서승신 기자 sss4854@kbs.co.kr
서승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