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텍스+전기장판’ 사용 화재 위험 급증

입력 2015.12.11 (21:16) 수정 2015.12.11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기장판 화재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라텍스 침구류와 함께 사용하면 위험이 더 크다고 하니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안전한 사용법, 김민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드럽고 푹신해 인기가 높은 라텍스 제품들입니다.

그런데, 라텍스 제품들은 열 흡수율이 높은 라텍스의 특징 때문에 전열기구 등과 함께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라텍스 베개와 매트리스를 깔고 전기요를 작동시켜 봤습니다.

작동 6시간 만에 온도가 무려 100도까지 올라갑니다.

매트리스가 전기요 내부 열선의 모양 그대로 열을 흡수한 겁니다.

일반 이불의 경우에는 온도가 40도에서 80도 정도여서 라텍스보다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높은 열 흡수율 때문에 전기장판이나 전기요 등으로 인한 화재의 경우 라텍스 침구류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임동열(서울 동작소방서 현장대응단 팀장) : "전기장판, 전기매트를 같이 사용할 경우에 열 축적률이 높은 라텍스 재질의 침구에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높습니다. 관리에 특히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전열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선 제품을 보관할 때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열기 제품을 보관할 때는, 접어서 보관하지 말고, 내부의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이렇게 말아서 보관해야 합니다.

또, 온도 조절기가 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자동 차단 장치가 있더라도 장시간 집을 비울 때는 전원을 끄고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라텍스+전기장판’ 사용 화재 위험 급증
    • 입력 2015-12-11 21:17:27
    • 수정2015-12-11 22:10:46
    뉴스 9
<앵커 멘트>

전기장판 화재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라텍스 침구류와 함께 사용하면 위험이 더 크다고 하니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안전한 사용법, 김민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드럽고 푹신해 인기가 높은 라텍스 제품들입니다.

그런데, 라텍스 제품들은 열 흡수율이 높은 라텍스의 특징 때문에 전열기구 등과 함께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라텍스 베개와 매트리스를 깔고 전기요를 작동시켜 봤습니다.

작동 6시간 만에 온도가 무려 100도까지 올라갑니다.

매트리스가 전기요 내부 열선의 모양 그대로 열을 흡수한 겁니다.

일반 이불의 경우에는 온도가 40도에서 80도 정도여서 라텍스보다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높은 열 흡수율 때문에 전기장판이나 전기요 등으로 인한 화재의 경우 라텍스 침구류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임동열(서울 동작소방서 현장대응단 팀장) : "전기장판, 전기매트를 같이 사용할 경우에 열 축적률이 높은 라텍스 재질의 침구에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높습니다. 관리에 특히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전열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선 제품을 보관할 때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열기 제품을 보관할 때는, 접어서 보관하지 말고, 내부의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이렇게 말아서 보관해야 합니다.

또, 온도 조절기가 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자동 차단 장치가 있더라도 장시간 집을 비울 때는 전원을 끄고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