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수면 상승…“밀물 땐 배 정박 못할 정도”
입력 2015.12.15 (21:40)
수정 2015.12.15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구온난화에 따라 일부 저지대 해안이 바닷물에 잠기고 있다는 소식 들어보셨을 텐데요.
제주에서도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밀물 땐, 항포구에 바닷물이 올라와 배들이 접안하지 못할 정도인데요.
조강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제주 서귀포시 용머리 해안.
연간 60만 명이 찾지만 탐방로가 물에 잠기기 일쑤여서 일년에 1/3은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열(환경재단대표) : "지난 38년 동안 해수면이 22.6cm나 상승했습니다. 지구 평균의 3배나 됩니다."
이 포구에선 밀물 때 바닷물이 넘쳐나 배들이 제대로 정박하지 못할 정도입니다.
150미터에 이르는 구간에 턱을 70cm나 더 높였지만 소용 없습니다.
밀물 때마다 소형 어선이 물양장 위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어민들은 이같은 버팀목을 설치해서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보다 규모가 큰 근처 항구의 사정도 마찬가집니다.
물양장 위까지 바닷물이 올라와 배 접안 과정에 파손과 좌초 위험까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문재홍(제주대 교수) : "연안 범람과 침식, 담수로의 해수 유입으로 인해 지하수를 사용하는 데 영향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최근 15년 사이 제주 주변 바닷물 온도가 1.3도나 오르는 등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어 해수면 상승도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강섭입니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일부 저지대 해안이 바닷물에 잠기고 있다는 소식 들어보셨을 텐데요.
제주에서도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밀물 땐, 항포구에 바닷물이 올라와 배들이 접안하지 못할 정도인데요.
조강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제주 서귀포시 용머리 해안.
연간 60만 명이 찾지만 탐방로가 물에 잠기기 일쑤여서 일년에 1/3은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열(환경재단대표) : "지난 38년 동안 해수면이 22.6cm나 상승했습니다. 지구 평균의 3배나 됩니다."
이 포구에선 밀물 때 바닷물이 넘쳐나 배들이 제대로 정박하지 못할 정도입니다.
150미터에 이르는 구간에 턱을 70cm나 더 높였지만 소용 없습니다.
밀물 때마다 소형 어선이 물양장 위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어민들은 이같은 버팀목을 설치해서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보다 규모가 큰 근처 항구의 사정도 마찬가집니다.
물양장 위까지 바닷물이 올라와 배 접안 과정에 파손과 좌초 위험까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문재홍(제주대 교수) : "연안 범람과 침식, 담수로의 해수 유입으로 인해 지하수를 사용하는 데 영향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최근 15년 사이 제주 주변 바닷물 온도가 1.3도나 오르는 등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어 해수면 상승도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강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 해수면 상승…“밀물 땐 배 정박 못할 정도”
-
- 입력 2015-12-15 21:42:55
- 수정2015-12-15 21:53:47
<앵커 멘트>
지구온난화에 따라 일부 저지대 해안이 바닷물에 잠기고 있다는 소식 들어보셨을 텐데요.
제주에서도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밀물 땐, 항포구에 바닷물이 올라와 배들이 접안하지 못할 정도인데요.
조강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제주 서귀포시 용머리 해안.
연간 60만 명이 찾지만 탐방로가 물에 잠기기 일쑤여서 일년에 1/3은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열(환경재단대표) : "지난 38년 동안 해수면이 22.6cm나 상승했습니다. 지구 평균의 3배나 됩니다."
이 포구에선 밀물 때 바닷물이 넘쳐나 배들이 제대로 정박하지 못할 정도입니다.
150미터에 이르는 구간에 턱을 70cm나 더 높였지만 소용 없습니다.
밀물 때마다 소형 어선이 물양장 위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어민들은 이같은 버팀목을 설치해서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보다 규모가 큰 근처 항구의 사정도 마찬가집니다.
물양장 위까지 바닷물이 올라와 배 접안 과정에 파손과 좌초 위험까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문재홍(제주대 교수) : "연안 범람과 침식, 담수로의 해수 유입으로 인해 지하수를 사용하는 데 영향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최근 15년 사이 제주 주변 바닷물 온도가 1.3도나 오르는 등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어 해수면 상승도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강섭입니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일부 저지대 해안이 바닷물에 잠기고 있다는 소식 들어보셨을 텐데요.
제주에서도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밀물 땐, 항포구에 바닷물이 올라와 배들이 접안하지 못할 정도인데요.
조강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제주 서귀포시 용머리 해안.
연간 60만 명이 찾지만 탐방로가 물에 잠기기 일쑤여서 일년에 1/3은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열(환경재단대표) : "지난 38년 동안 해수면이 22.6cm나 상승했습니다. 지구 평균의 3배나 됩니다."
이 포구에선 밀물 때 바닷물이 넘쳐나 배들이 제대로 정박하지 못할 정도입니다.
150미터에 이르는 구간에 턱을 70cm나 더 높였지만 소용 없습니다.
밀물 때마다 소형 어선이 물양장 위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어민들은 이같은 버팀목을 설치해서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보다 규모가 큰 근처 항구의 사정도 마찬가집니다.
물양장 위까지 바닷물이 올라와 배 접안 과정에 파손과 좌초 위험까지 높아졌습니다.
<인터뷰> 문재홍(제주대 교수) : "연안 범람과 침식, 담수로의 해수 유입으로 인해 지하수를 사용하는 데 영향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최근 15년 사이 제주 주변 바닷물 온도가 1.3도나 오르는 등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어 해수면 상승도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강섭입니다.
-
-
조강섭 기자 wtl21@kbs.co.kr
조강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