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 대란 현실화·장기화 조짐…교사·학부모 ‘발 동동’

입력 2016.01.22 (06:35) 수정 2016.01.22 (0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설마설마했던 보육대란이 현실화되자 교사들과 학부모들의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당장 월급이 끊기게 된 교사들은 생계부터 걱정이고 보육비를 떠안게 될 학부모들은 잠이 안 올 지경입니다.

우수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9년차 유치원 교사인 김영순 씨는 당장 이번 달부터 통장 잔고가 걱정입니다.

우려했던 보육대란이 현실로 닥친 데다 장기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김영순(유치원 교사) : "저같은 경우는 지금 가장 역할을 해야 되는데 사실은 좀 가족을 부양한다는 측면에서 부담스러운 건 사실인 것 같아요"

그렇잖아도 처우가 열악한 어린이집 교사들은 사정이 더 어렵습니다.

백만 원이 조금 넘는 월급으로 생활하는데 이마저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해졌습니다.

원장들은 교사 인건비를 최우선으로 챙기려다 보니 교육의 질이 떨어질까 걱정입니다.

<녹취> 김윤숙(어린이집 원장) : "전부 보류를 해 놓고 있는거예요. 아이들 교재비도 결제 시작해야 되는데 인건비가 못 나갈까봐"

학부모들은 이제 불안을 넘어 화가 나는 수준입니다.

<녹취> 학부모 : "많이 괘씸하죠. 두명 세명 보내는 사람들은 한달에 백만 원 넘게 유치원비 내야 되는건데 저희 지금 회사원들 월급으로는 그게 택도 없는거 아닌가요"

교육부 장관과 시도교육감들이 어제 다시 만났지만 기존의 입장만 재확인했을 뿐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육 대란 현실화·장기화 조짐…교사·학부모 ‘발 동동’
    • 입력 2016-01-22 06:37:55
    • 수정2016-01-22 07:47:50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설마설마했던 보육대란이 현실화되자 교사들과 학부모들의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당장 월급이 끊기게 된 교사들은 생계부터 걱정이고 보육비를 떠안게 될 학부모들은 잠이 안 올 지경입니다.

우수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9년차 유치원 교사인 김영순 씨는 당장 이번 달부터 통장 잔고가 걱정입니다.

우려했던 보육대란이 현실로 닥친 데다 장기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김영순(유치원 교사) : "저같은 경우는 지금 가장 역할을 해야 되는데 사실은 좀 가족을 부양한다는 측면에서 부담스러운 건 사실인 것 같아요"

그렇잖아도 처우가 열악한 어린이집 교사들은 사정이 더 어렵습니다.

백만 원이 조금 넘는 월급으로 생활하는데 이마저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해졌습니다.

원장들은 교사 인건비를 최우선으로 챙기려다 보니 교육의 질이 떨어질까 걱정입니다.

<녹취> 김윤숙(어린이집 원장) : "전부 보류를 해 놓고 있는거예요. 아이들 교재비도 결제 시작해야 되는데 인건비가 못 나갈까봐"

학부모들은 이제 불안을 넘어 화가 나는 수준입니다.

<녹취> 학부모 : "많이 괘씸하죠. 두명 세명 보내는 사람들은 한달에 백만 원 넘게 유치원비 내야 되는건데 저희 지금 회사원들 월급으로는 그게 택도 없는거 아닌가요"

교육부 장관과 시도교육감들이 어제 다시 만났지만 기존의 입장만 재확인했을 뿐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