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제재 한 달­…북·중 군사 교류도 중단

입력 2016.04.03 (21:13) 수정 2016.04.03 (22: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 달 전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를 결의한 이후, 여러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과 가까운 관계였던 나라들의 변화가 눈에 띕니다.

북한이 가장 의존하는 중국의 경우, 군사 부문에서도 북한과의 교류를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베이징에서 김민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장쑤성에 있는 중국군 총참모부 직속 외국어학원입니다.

중국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 과정으로 30여개 외국어 관련학과가 개설돼 있습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10명 안팎의 북한 군인들이 북중교류 형식으로 연수를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북한 군인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녹취> 중국군 경비요원 : "(북한 군인들 본 적 있으세요?) 누구에게든 이 곳의 일체의 정보를 공개할 수 없습니다. 여긴 군사관리구역입니다."

각국 군 장병들이 와서 중국어를 배우며 교류를 하는 이 곳 외국어학원 뿐만 아니라 군 간부들의 교육기관에도 북한 군인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베이징과 난징에 있는 육해공군 각 사령부 산하 중견 간부 양성소인 지휘학원에도 북한군 간부들이 교육을 받았었지만, 지금은 발길이 끊어졌습니다.

<인터뷰> 스인홍(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 : "단기간내에 북중간 진정한 군사교류는 회복이 있을 수 없습니다. 이것이 또한 안보리 제재 결의 정신에 부합됩니다."

안보리 제재가 시작되면서 주중 북한 대사관에 나와 있는 무관들의 일부 활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북중 군사교류는 자취를 감춘 상태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제재 한 달­…북·중 군사 교류도 중단
    • 입력 2016-04-03 21:14:25
    • 수정2016-04-03 22:40:03
    뉴스 9
<앵커 멘트> 한 달 전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를 결의한 이후, 여러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과 가까운 관계였던 나라들의 변화가 눈에 띕니다. 북한이 가장 의존하는 중국의 경우, 군사 부문에서도 북한과의 교류를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베이징에서 김민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장쑤성에 있는 중국군 총참모부 직속 외국어학원입니다. 중국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 과정으로 30여개 외국어 관련학과가 개설돼 있습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10명 안팎의 북한 군인들이 북중교류 형식으로 연수를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북한 군인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녹취> 중국군 경비요원 : "(북한 군인들 본 적 있으세요?) 누구에게든 이 곳의 일체의 정보를 공개할 수 없습니다. 여긴 군사관리구역입니다." 각국 군 장병들이 와서 중국어를 배우며 교류를 하는 이 곳 외국어학원 뿐만 아니라 군 간부들의 교육기관에도 북한 군인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베이징과 난징에 있는 육해공군 각 사령부 산하 중견 간부 양성소인 지휘학원에도 북한군 간부들이 교육을 받았었지만, 지금은 발길이 끊어졌습니다. <인터뷰> 스인홍(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 : "단기간내에 북중간 진정한 군사교류는 회복이 있을 수 없습니다. 이것이 또한 안보리 제재 결의 정신에 부합됩니다." 안보리 제재가 시작되면서 주중 북한 대사관에 나와 있는 무관들의 일부 활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북중 군사교류는 자취를 감춘 상태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