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직전에 오염물질 농도 더 높다
입력 2016.05.06 (09:53)
수정 2016.05.06 (1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 오후에 비가 그친 뒤 황사가 몰려올 것으로 예보됐죠?
그런데 막상 황사가 왔을 때보다는 황사가 국내로 유입되기 직전에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의 농도가 더 높아진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안개에다 오염물질이 섞인 짙은 스모그로 뒤덮인 서울.
이어서 황사도 뒤따를 것으로 예보됩니다.
낮부터 중국에서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유입되더니 밤이 되면서 황사까지 밀려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음날 미세먼지 농도는 황사로 인해 급상승합니다.
그런데 입자가 작아 인체에 더 해로운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오히려 황사가 오기 전인 스모그 때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초미세먼지는 오염물질 덩어리로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세포까지 침투합니다.
그래서 황사 주의보의 기준은 400마이크로그램이지만, 초미세먼지는 90만 넘어도 주의보가 내려집니다.
중국에서 날아오는 건 같지만 황사와 초미세먼지는 발생 위치가 다릅니다.
중국 내륙의 사막에서 출발한 황사는 서풍을 타고 해안가 공업지대에 있는 오염물질을 밀면서 한반도로 유입됩니다.
<인터뷰> 김상우(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황사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중국의 오염물질을 밀면서 국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대략 6시간에서 12시간 앞서서 오염물질이 황사보다 더 고농도로 나타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황사에만 신경 쓰다 보면 그보다 앞서 유입되는 초미세먼지의 위험을 간과하기 쉽다며 사전 경고 체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오늘 오후에 비가 그친 뒤 황사가 몰려올 것으로 예보됐죠?
그런데 막상 황사가 왔을 때보다는 황사가 국내로 유입되기 직전에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의 농도가 더 높아진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안개에다 오염물질이 섞인 짙은 스모그로 뒤덮인 서울.
이어서 황사도 뒤따를 것으로 예보됩니다.
낮부터 중국에서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유입되더니 밤이 되면서 황사까지 밀려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음날 미세먼지 농도는 황사로 인해 급상승합니다.
그런데 입자가 작아 인체에 더 해로운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오히려 황사가 오기 전인 스모그 때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초미세먼지는 오염물질 덩어리로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세포까지 침투합니다.
그래서 황사 주의보의 기준은 400마이크로그램이지만, 초미세먼지는 90만 넘어도 주의보가 내려집니다.
중국에서 날아오는 건 같지만 황사와 초미세먼지는 발생 위치가 다릅니다.
중국 내륙의 사막에서 출발한 황사는 서풍을 타고 해안가 공업지대에 있는 오염물질을 밀면서 한반도로 유입됩니다.
<인터뷰> 김상우(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황사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중국의 오염물질을 밀면서 국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대략 6시간에서 12시간 앞서서 오염물질이 황사보다 더 고농도로 나타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황사에만 신경 쓰다 보면 그보다 앞서 유입되는 초미세먼지의 위험을 간과하기 쉽다며 사전 경고 체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황사 직전에 오염물질 농도 더 높다
-
- 입력 2016-05-06 10:27:03
- 수정2016-05-06 10:35:44
![](/data/news/2016/05/06/3275131_190.jpg)
<앵커 멘트>
오늘 오후에 비가 그친 뒤 황사가 몰려올 것으로 예보됐죠?
그런데 막상 황사가 왔을 때보다는 황사가 국내로 유입되기 직전에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의 농도가 더 높아진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안개에다 오염물질이 섞인 짙은 스모그로 뒤덮인 서울.
이어서 황사도 뒤따를 것으로 예보됩니다.
낮부터 중국에서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유입되더니 밤이 되면서 황사까지 밀려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음날 미세먼지 농도는 황사로 인해 급상승합니다.
그런데 입자가 작아 인체에 더 해로운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오히려 황사가 오기 전인 스모그 때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초미세먼지는 오염물질 덩어리로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세포까지 침투합니다.
그래서 황사 주의보의 기준은 400마이크로그램이지만, 초미세먼지는 90만 넘어도 주의보가 내려집니다.
중국에서 날아오는 건 같지만 황사와 초미세먼지는 발생 위치가 다릅니다.
중국 내륙의 사막에서 출발한 황사는 서풍을 타고 해안가 공업지대에 있는 오염물질을 밀면서 한반도로 유입됩니다.
<인터뷰> 김상우(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황사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중국의 오염물질을 밀면서 국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대략 6시간에서 12시간 앞서서 오염물질이 황사보다 더 고농도로 나타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황사에만 신경 쓰다 보면 그보다 앞서 유입되는 초미세먼지의 위험을 간과하기 쉽다며 사전 경고 체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오늘 오후에 비가 그친 뒤 황사가 몰려올 것으로 예보됐죠?
그런데 막상 황사가 왔을 때보다는 황사가 국내로 유입되기 직전에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의 농도가 더 높아진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안개에다 오염물질이 섞인 짙은 스모그로 뒤덮인 서울.
이어서 황사도 뒤따를 것으로 예보됩니다.
낮부터 중국에서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유입되더니 밤이 되면서 황사까지 밀려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음날 미세먼지 농도는 황사로 인해 급상승합니다.
그런데 입자가 작아 인체에 더 해로운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오히려 황사가 오기 전인 스모그 때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초미세먼지는 오염물질 덩어리로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세포까지 침투합니다.
그래서 황사 주의보의 기준은 400마이크로그램이지만, 초미세먼지는 90만 넘어도 주의보가 내려집니다.
중국에서 날아오는 건 같지만 황사와 초미세먼지는 발생 위치가 다릅니다.
중국 내륙의 사막에서 출발한 황사는 서풍을 타고 해안가 공업지대에 있는 오염물질을 밀면서 한반도로 유입됩니다.
<인터뷰> 김상우(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황사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중국의 오염물질을 밀면서 국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대략 6시간에서 12시간 앞서서 오염물질이 황사보다 더 고농도로 나타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황사에만 신경 쓰다 보면 그보다 앞서 유입되는 초미세먼지의 위험을 간과하기 쉽다며 사전 경고 체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
김성한 기자 albatross@kbs.co.kr
김성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