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서울 하수관로 절반 ‘파손’…정비 시급

입력 2016.06.21 (21:30) 수정 2016.06.22 (0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장마철이 되면 특히 조심해야할 게 있죠.

지반이 취약해져 발생하는 이런 땅꺼짐 등 지반 침하 사고인데요.

2010년 430여 건이던 서울의 지반 침하는 지난해엔 730여 건으로 5년 만에 40% 넘게 급증했습니다.

특히 도로 함몰이나 지반 침하의 77%는 낡고 오래된 하수관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서울 노후 하수관로의 절반 이상이 정비가 시급하다는 조사 결과인데요,

그 실태를 박혜진 기자기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름 1.3m 크기, 서울 시내의 한 하수관입니다.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 봤더니 생활하수와 빗물 등이 흐르는 긴 콘크리트관이 나타납니다.

철근이 훤히 드러나 있고, 관 곳곳이 파여 있습니다.

<녹취> 김주환(서울시 물재생계획과 관계자) : "비가 오거나 노후화로 인해서 관이 파손돼서…."

옆 하수관이 안으로 밀고 들어와 관 주변이 부서진 곳도 있습니다.

관과 관을 잇는 이음새 부분인데요.

곳곳이 부서져 있고, 콘크리트와 철근은 이렇게 손만 갖다 대도 뚝뚝 떨어집니다.

다른 지역의 하수관도 벽 위쪽이 무너져 있고, 바닥에는 잔해물들이 쌓여 있습니다.

파손된 하수관들은 땅 꺼짐 등의 주요 원인이 되는데, 장마철에는 더 위험합니다.

하수관 틈으로 지하수와 토사가 유입되면서 땅 아래 빈 공간, 이른바 동공이 생기는데, 비가 오면 빗물이 스며들어 동공이 더 커지고 지반침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지난해 서울에서 일어난 지반 침하 730여 건의 28%가 장마철인 6월과 7월에 일어났습니다.

<녹취> 이수곤(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점점 동공이 커지면, (동공이) 작을 때는 문제가 없지만, 점점 커지면 지표면에서 침하가 생기는 거죠. 작을 때는 생기지 않아요."

노후된 서울 하수관로의 절반 이상, 약 775km 구간이 이처럼 파손되거나 일부가 붕괴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장마철을 맞아 지반 침하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면서 노후 하수관로의 정비가 시급해졌습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서울 하수관로 절반 ‘파손’…정비 시급
    • 입력 2016-06-21 21:31:09
    • 수정2016-06-22 09:50:46
    뉴스 9
<앵커 멘트> 장마철이 되면 특히 조심해야할 게 있죠. 지반이 취약해져 발생하는 이런 땅꺼짐 등 지반 침하 사고인데요. 2010년 430여 건이던 서울의 지반 침하는 지난해엔 730여 건으로 5년 만에 40% 넘게 급증했습니다. 특히 도로 함몰이나 지반 침하의 77%는 낡고 오래된 하수관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서울 노후 하수관로의 절반 이상이 정비가 시급하다는 조사 결과인데요, 그 실태를 박혜진 기자기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름 1.3m 크기, 서울 시내의 한 하수관입니다.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 봤더니 생활하수와 빗물 등이 흐르는 긴 콘크리트관이 나타납니다. 철근이 훤히 드러나 있고, 관 곳곳이 파여 있습니다. <녹취> 김주환(서울시 물재생계획과 관계자) : "비가 오거나 노후화로 인해서 관이 파손돼서…." 옆 하수관이 안으로 밀고 들어와 관 주변이 부서진 곳도 있습니다. 관과 관을 잇는 이음새 부분인데요. 곳곳이 부서져 있고, 콘크리트와 철근은 이렇게 손만 갖다 대도 뚝뚝 떨어집니다. 다른 지역의 하수관도 벽 위쪽이 무너져 있고, 바닥에는 잔해물들이 쌓여 있습니다. 파손된 하수관들은 땅 꺼짐 등의 주요 원인이 되는데, 장마철에는 더 위험합니다. 하수관 틈으로 지하수와 토사가 유입되면서 땅 아래 빈 공간, 이른바 동공이 생기는데, 비가 오면 빗물이 스며들어 동공이 더 커지고 지반침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지난해 서울에서 일어난 지반 침하 730여 건의 28%가 장마철인 6월과 7월에 일어났습니다. <녹취> 이수곤(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점점 동공이 커지면, (동공이) 작을 때는 문제가 없지만, 점점 커지면 지표면에서 침하가 생기는 거죠. 작을 때는 생기지 않아요." 노후된 서울 하수관로의 절반 이상, 약 775km 구간이 이처럼 파손되거나 일부가 붕괴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장마철을 맞아 지반 침하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면서 노후 하수관로의 정비가 시급해졌습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