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말·고성’ 대정부질문…“구태 바뀐 게 없다”
입력 2016.07.06 (21:30)
수정 2016.07.06 (22: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민들의 기대가 너무 높았던 걸까요?
20대 국회도 고성과 막말을 쏟아내면서 이전 국회들의 모습과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구태를 보였습니다.
우리 국회, 어떻게 해야 바뀔 수 있을까요?
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협치를 외치며 출발한 20대 국회는 첫 대정부질문부터 고성과 막말로 얼룩졌습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의원) : "당신들 때문에 이 나라가 이렇게 됐잖아! (사과하세요!)"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며 윤리위에 제소하는 등 파문은 계속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은 학교전담경찰관이 여고생과 성관계를 맺은 사건과 관련해 경찰의 외모를 언급했다가 비난을 샀습니다.
<녹취> 표창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여학교에는 잘생긴 젊은 남자 경찰관, 남학교에는 예쁜 여자 경찰관. 결국 이런 사태가 벌어진 것은 예견돼 있었고요."
새누리당 여성의원들은 왜곡된 성의식이라고 비난하며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말도 안되는 소리 하고 앉았어!"
국회의 막말 구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군 성범죄 피해자를 '하사 아가씨'로 지칭하는가 하면...
<녹취> 송영근(전 새누리당 의원/2015년 1월) : "40대 중반인데 성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
대통령을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인물로 비난하기도 합니다.
<녹취> 홍익표(당시 민주당 의원/2013년 7월) : "아이러니하게도 '귀태'의 후손들이 한국과 일본의 정상으로 있습니다."
앞선 19대 국회에서도 막말 등으로 39건의 징계안이 제출됐지만, 막말로 징계 받은 의원은 1명도 없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국민들의 기대가 너무 높았던 걸까요?
20대 국회도 고성과 막말을 쏟아내면서 이전 국회들의 모습과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구태를 보였습니다.
우리 국회, 어떻게 해야 바뀔 수 있을까요?
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협치를 외치며 출발한 20대 국회는 첫 대정부질문부터 고성과 막말로 얼룩졌습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의원) : "당신들 때문에 이 나라가 이렇게 됐잖아! (사과하세요!)"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며 윤리위에 제소하는 등 파문은 계속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은 학교전담경찰관이 여고생과 성관계를 맺은 사건과 관련해 경찰의 외모를 언급했다가 비난을 샀습니다.
<녹취> 표창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여학교에는 잘생긴 젊은 남자 경찰관, 남학교에는 예쁜 여자 경찰관. 결국 이런 사태가 벌어진 것은 예견돼 있었고요."
새누리당 여성의원들은 왜곡된 성의식이라고 비난하며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말도 안되는 소리 하고 앉았어!"
국회의 막말 구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군 성범죄 피해자를 '하사 아가씨'로 지칭하는가 하면...
<녹취> 송영근(전 새누리당 의원/2015년 1월) : "40대 중반인데 성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
대통령을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인물로 비난하기도 합니다.
<녹취> 홍익표(당시 민주당 의원/2013년 7월) : "아이러니하게도 '귀태'의 후손들이 한국과 일본의 정상으로 있습니다."
앞선 19대 국회에서도 막말 등으로 39건의 징계안이 제출됐지만, 막말로 징계 받은 의원은 1명도 없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막말·고성’ 대정부질문…“구태 바뀐 게 없다”
-
- 입력 2016-07-06 21:44:39
- 수정2016-07-06 22:34:35

<앵커 멘트>
국민들의 기대가 너무 높았던 걸까요?
20대 국회도 고성과 막말을 쏟아내면서 이전 국회들의 모습과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구태를 보였습니다.
우리 국회, 어떻게 해야 바뀔 수 있을까요?
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협치를 외치며 출발한 20대 국회는 첫 대정부질문부터 고성과 막말로 얼룩졌습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의원) : "당신들 때문에 이 나라가 이렇게 됐잖아! (사과하세요!)"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며 윤리위에 제소하는 등 파문은 계속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은 학교전담경찰관이 여고생과 성관계를 맺은 사건과 관련해 경찰의 외모를 언급했다가 비난을 샀습니다.
<녹취> 표창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여학교에는 잘생긴 젊은 남자 경찰관, 남학교에는 예쁜 여자 경찰관. 결국 이런 사태가 벌어진 것은 예견돼 있었고요."
새누리당 여성의원들은 왜곡된 성의식이라고 비난하며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말도 안되는 소리 하고 앉았어!"
국회의 막말 구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군 성범죄 피해자를 '하사 아가씨'로 지칭하는가 하면...
<녹취> 송영근(전 새누리당 의원/2015년 1월) : "40대 중반인데 성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
대통령을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인물로 비난하기도 합니다.
<녹취> 홍익표(당시 민주당 의원/2013년 7월) : "아이러니하게도 '귀태'의 후손들이 한국과 일본의 정상으로 있습니다."
앞선 19대 국회에서도 막말 등으로 39건의 징계안이 제출됐지만, 막말로 징계 받은 의원은 1명도 없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국민들의 기대가 너무 높았던 걸까요?
20대 국회도 고성과 막말을 쏟아내면서 이전 국회들의 모습과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구태를 보였습니다.
우리 국회, 어떻게 해야 바뀔 수 있을까요?
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협치를 외치며 출발한 20대 국회는 첫 대정부질문부터 고성과 막말로 얼룩졌습니다.
<녹취> 김동철(국민의당 의원) : "당신들 때문에 이 나라가 이렇게 됐잖아! (사과하세요!)"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며 윤리위에 제소하는 등 파문은 계속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은 학교전담경찰관이 여고생과 성관계를 맺은 사건과 관련해 경찰의 외모를 언급했다가 비난을 샀습니다.
<녹취> 표창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여학교에는 잘생긴 젊은 남자 경찰관, 남학교에는 예쁜 여자 경찰관. 결국 이런 사태가 벌어진 것은 예견돼 있었고요."
새누리당 여성의원들은 왜곡된 성의식이라고 비난하며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말도 안되는 소리 하고 앉았어!"
국회의 막말 구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군 성범죄 피해자를 '하사 아가씨'로 지칭하는가 하면...
<녹취> 송영근(전 새누리당 의원/2015년 1월) : "40대 중반인데 성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
대통령을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인물로 비난하기도 합니다.
<녹취> 홍익표(당시 민주당 의원/2013년 7월) : "아이러니하게도 '귀태'의 후손들이 한국과 일본의 정상으로 있습니다."
앞선 19대 국회에서도 막말 등으로 39건의 징계안이 제출됐지만, 막말로 징계 받은 의원은 1명도 없습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
-
김경수 기자 bada@kbs.co.kr
김경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