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 보육’ 현장…‘무늬만 종일반’ 곳곳 혼선

입력 2016.07.11 (07:41) 수정 2016.07.11 (0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맞벌이와 홑벌이, 각 가정의 처지에 맞춰 보육을 지원한다는 게 '맞춤형 보육'인데요,

시행 열흘이 넘도록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를 위한 종일반은 오후 5시면 끝나 무늬만 종일반인 경우가 태반입니다.

보육당국이 부랴부랴 대책마련에 들어갔는데요,

임종빈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후 3시, 곤하게 자고 있는 어린이집 아이들을 보육 교사가 깨웁니다.

<녹취> "잘 잤어? 일어날까요?"

얼굴을 씻기고, 기저귀를 갈아 채운 뒤 간식을 준비합니다.

오후 3시 반, 전업주부 등을 위한 맞춤반의 보육시간은 원래 오후 3시까지지만 이미 30분 지났습니다

부모들은 바뀌지 않은 어린이집의 시간표에 맞춰 어쩔 수 없이 비상용 바우처로 보육시간을 한 시간 연장해줄 수밖에 없습니다.

<녹취> 맞춤반 아이 어머니 : "바우처라고 해도 또 오버 되면 그대로 또 돈을 다시 다 내야 되잖아요, 그럼 살림, 경제에도 좀 도움이 안 되고..."

맞춤반 아이들이 돌아가고 종일반 아이들이 교사와 시간을 보냅니다.

오후 5시, 어머니들이 서둘러 아이들을 데려갑니다.

종일반의 종료시각은 저녁 7시 반이지만 2시간 반이나 일찍 어린이집을 나서는 겁니다.

<녹취> 종일반 아이 어머니 : "다른 아이들도 남아있지 않은데 우리 아이만 굳이 그렇게 남아 있다 하면 마음도 안 좋고..."

이 어린이집도 오후 다섯 시가 되자 마찬가지 상황이 벌어집니다.

<녹취> 종일반 아이 할머니(음성변조) : "한 7시까지 맡기려고 했어요. 그랬는데 너무 엄마들이 일찍 찾아가니까 얘가 나중에 어떻게 보니까 혼자 남게 돼 있는 거야."

종일반을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선 별도의 프로그램을 만들고, 보육 교사들의 근무 시간도 늘려야 하지만 이전과 크게 달라진 게 없습니다.

<녹취> 종일반 아이 어머니 :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부모를 위한 것 같지도 않고, 애들을 위한 것 같지도 않고, 애들은 빨리 데려가야 하고, 눈치도 보이게 되고."

혼선이 이어지자 정부는 뒤늦게 어린이집에 학부모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운영계획서를 만들라는 지침을 내렸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맞춤 보육’ 현장…‘무늬만 종일반’ 곳곳 혼선
    • 입력 2016-07-11 07:59:18
    • 수정2016-07-11 09:39:55
    뉴스광장
<앵커 멘트>

맞벌이와 홑벌이, 각 가정의 처지에 맞춰 보육을 지원한다는 게 '맞춤형 보육'인데요,

시행 열흘이 넘도록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를 위한 종일반은 오후 5시면 끝나 무늬만 종일반인 경우가 태반입니다.

보육당국이 부랴부랴 대책마련에 들어갔는데요,

임종빈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후 3시, 곤하게 자고 있는 어린이집 아이들을 보육 교사가 깨웁니다.

<녹취> "잘 잤어? 일어날까요?"

얼굴을 씻기고, 기저귀를 갈아 채운 뒤 간식을 준비합니다.

오후 3시 반, 전업주부 등을 위한 맞춤반의 보육시간은 원래 오후 3시까지지만 이미 30분 지났습니다

부모들은 바뀌지 않은 어린이집의 시간표에 맞춰 어쩔 수 없이 비상용 바우처로 보육시간을 한 시간 연장해줄 수밖에 없습니다.

<녹취> 맞춤반 아이 어머니 : "바우처라고 해도 또 오버 되면 그대로 또 돈을 다시 다 내야 되잖아요, 그럼 살림, 경제에도 좀 도움이 안 되고..."

맞춤반 아이들이 돌아가고 종일반 아이들이 교사와 시간을 보냅니다.

오후 5시, 어머니들이 서둘러 아이들을 데려갑니다.

종일반의 종료시각은 저녁 7시 반이지만 2시간 반이나 일찍 어린이집을 나서는 겁니다.

<녹취> 종일반 아이 어머니 : "다른 아이들도 남아있지 않은데 우리 아이만 굳이 그렇게 남아 있다 하면 마음도 안 좋고..."

이 어린이집도 오후 다섯 시가 되자 마찬가지 상황이 벌어집니다.

<녹취> 종일반 아이 할머니(음성변조) : "한 7시까지 맡기려고 했어요. 그랬는데 너무 엄마들이 일찍 찾아가니까 얘가 나중에 어떻게 보니까 혼자 남게 돼 있는 거야."

종일반을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선 별도의 프로그램을 만들고, 보육 교사들의 근무 시간도 늘려야 하지만 이전과 크게 달라진 게 없습니다.

<녹취> 종일반 아이 어머니 :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부모를 위한 것 같지도 않고, 애들을 위한 것 같지도 않고, 애들은 빨리 데려가야 하고, 눈치도 보이게 되고."

혼선이 이어지자 정부는 뒤늦게 어린이집에 학부모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운영계획서를 만들라는 지침을 내렸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