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 스쿠버다이버 ‘나쁜 손’ 기승…어민들 ‘울상’
입력 2016.08.13 (21:23)
수정 2016.08.13 (22: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스킨 스쿠버는 바다의 속살을 들여다보며 눈으로 즐기는 스포츤데요, 하지만 욕심을 부려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하는 사람들 때문에 어민들이 속을 썩고 있다고 합니다.
엄연한 불법 행위로, 적발되면 벌금 폭탄을 맞을 수 있지만, 단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보니, 마을 양식장에 몰래 들어가 훔쳐가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태양 아래 보트가 출발하고,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다이버들, 깊은 물 속에서 일제히 바닥을 뒤지기 시작합니다.
한 사람이 바위에서 조개를 발견하자, 다른 다이버들이 금세 모여들어 주변 조개를 모두 싹쓸이합니다.
이들은 어업권이 없는 일반인들이어서 명백한 불법 채취입니다.
돌아오는 보트 위에선 물고기를 놓쳤다며 아쉬워합니다.
<녹취> 다이버(음성변조) : "그때 (칼로) 찔렀어야 했는데 떠 있더라고요. 못 찌르는 순간 (뭐 있었어요?) 광어요. 광어"
다이빙을 마치고 돌아오자 몰래 딴 수산물을 줄줄이 꺼냅니다.
<녹취> : "이거 뭐예요? (해삼이요. 이거 2만원(짜리))"
전문 업체에서 하는 체험 다이빙 프로그램에서도 불법 행위는 계속됩니다.
바위 틈에서 성게를 깨더니 알을 물에 풀어 물고기들을 모이게 합니다.
이런 일이 많이 있었는지 물고기들이 사람을 피하지도 않습니다.
<녹취> 다이빙 업체 관계자 : "저희가 계속 성게로 (물고기) 밥주고 키워놓은 거라 (그럼, 양식하시는 건가요?) 양식은 아니고요 다이버들이 밥 주는 걸 알고 몰려들죠."
일부 스쿠버다이버들의 불법 행위는 어촌 주민들에게 큰 골칫거립니다.
3년 전 대규모 전복, 해삼 양식장을 만든 이곳 주민들은 최근엔 아예 돌아가며 보초를 설 정도입니다.
하지만 수산물 절도가 의심돼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인터뷰> 이병문(어민) : "물에서 딱 올라와서 딱 보고 자기네 일행들이 아니면 (수산물을) 다 버리는 거에요. 우리가 그렇다 해서 거길 뭐 들어갈 수 있나요"
올 상반기 불법 채집으로 적발된 다이버는 전국에서 76명,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많다는 게 어촌 주민들의 얘깁니다.
수산물을 몰래 갖고 나오는 현장을 해경이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해양수산부 관계자 : "물속에서 하는데 저희들이, 해양경찰들이 스쿠버를 일일이 쫓다니면 적발이 가능하겠지마 적발하기 쉽지 않은 문제 ... "
단속이 허술한 사이, 일부 다이버들의 수산물 불법 채집은 더 대범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입니다.
스킨 스쿠버는 바다의 속살을 들여다보며 눈으로 즐기는 스포츤데요, 하지만 욕심을 부려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하는 사람들 때문에 어민들이 속을 썩고 있다고 합니다.
엄연한 불법 행위로, 적발되면 벌금 폭탄을 맞을 수 있지만, 단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보니, 마을 양식장에 몰래 들어가 훔쳐가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태양 아래 보트가 출발하고,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다이버들, 깊은 물 속에서 일제히 바닥을 뒤지기 시작합니다.
한 사람이 바위에서 조개를 발견하자, 다른 다이버들이 금세 모여들어 주변 조개를 모두 싹쓸이합니다.
이들은 어업권이 없는 일반인들이어서 명백한 불법 채취입니다.
돌아오는 보트 위에선 물고기를 놓쳤다며 아쉬워합니다.
<녹취> 다이버(음성변조) : "그때 (칼로) 찔렀어야 했는데 떠 있더라고요. 못 찌르는 순간 (뭐 있었어요?) 광어요. 광어"
다이빙을 마치고 돌아오자 몰래 딴 수산물을 줄줄이 꺼냅니다.
<녹취> : "이거 뭐예요? (해삼이요. 이거 2만원(짜리))"
전문 업체에서 하는 체험 다이빙 프로그램에서도 불법 행위는 계속됩니다.
바위 틈에서 성게를 깨더니 알을 물에 풀어 물고기들을 모이게 합니다.
이런 일이 많이 있었는지 물고기들이 사람을 피하지도 않습니다.
<녹취> 다이빙 업체 관계자 : "저희가 계속 성게로 (물고기) 밥주고 키워놓은 거라 (그럼, 양식하시는 건가요?) 양식은 아니고요 다이버들이 밥 주는 걸 알고 몰려들죠."
일부 스쿠버다이버들의 불법 행위는 어촌 주민들에게 큰 골칫거립니다.
3년 전 대규모 전복, 해삼 양식장을 만든 이곳 주민들은 최근엔 아예 돌아가며 보초를 설 정도입니다.
하지만 수산물 절도가 의심돼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인터뷰> 이병문(어민) : "물에서 딱 올라와서 딱 보고 자기네 일행들이 아니면 (수산물을) 다 버리는 거에요. 우리가 그렇다 해서 거길 뭐 들어갈 수 있나요"
올 상반기 불법 채집으로 적발된 다이버는 전국에서 76명,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많다는 게 어촌 주민들의 얘깁니다.
수산물을 몰래 갖고 나오는 현장을 해경이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해양수산부 관계자 : "물속에서 하는데 저희들이, 해양경찰들이 스쿠버를 일일이 쫓다니면 적발이 가능하겠지마 적발하기 쉽지 않은 문제 ... "
단속이 허술한 사이, 일부 다이버들의 수산물 불법 채집은 더 대범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 스쿠버다이버 ‘나쁜 손’ 기승…어민들 ‘울상’
-
- 입력 2016-08-13 21:23:58
- 수정2016-08-13 22:59:09
<앵커 멘트>
스킨 스쿠버는 바다의 속살을 들여다보며 눈으로 즐기는 스포츤데요, 하지만 욕심을 부려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하는 사람들 때문에 어민들이 속을 썩고 있다고 합니다.
엄연한 불법 행위로, 적발되면 벌금 폭탄을 맞을 수 있지만, 단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보니, 마을 양식장에 몰래 들어가 훔쳐가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태양 아래 보트가 출발하고,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다이버들, 깊은 물 속에서 일제히 바닥을 뒤지기 시작합니다.
한 사람이 바위에서 조개를 발견하자, 다른 다이버들이 금세 모여들어 주변 조개를 모두 싹쓸이합니다.
이들은 어업권이 없는 일반인들이어서 명백한 불법 채취입니다.
돌아오는 보트 위에선 물고기를 놓쳤다며 아쉬워합니다.
<녹취> 다이버(음성변조) : "그때 (칼로) 찔렀어야 했는데 떠 있더라고요. 못 찌르는 순간 (뭐 있었어요?) 광어요. 광어"
다이빙을 마치고 돌아오자 몰래 딴 수산물을 줄줄이 꺼냅니다.
<녹취> : "이거 뭐예요? (해삼이요. 이거 2만원(짜리))"
전문 업체에서 하는 체험 다이빙 프로그램에서도 불법 행위는 계속됩니다.
바위 틈에서 성게를 깨더니 알을 물에 풀어 물고기들을 모이게 합니다.
이런 일이 많이 있었는지 물고기들이 사람을 피하지도 않습니다.
<녹취> 다이빙 업체 관계자 : "저희가 계속 성게로 (물고기) 밥주고 키워놓은 거라 (그럼, 양식하시는 건가요?) 양식은 아니고요 다이버들이 밥 주는 걸 알고 몰려들죠."
일부 스쿠버다이버들의 불법 행위는 어촌 주민들에게 큰 골칫거립니다.
3년 전 대규모 전복, 해삼 양식장을 만든 이곳 주민들은 최근엔 아예 돌아가며 보초를 설 정도입니다.
하지만 수산물 절도가 의심돼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인터뷰> 이병문(어민) : "물에서 딱 올라와서 딱 보고 자기네 일행들이 아니면 (수산물을) 다 버리는 거에요. 우리가 그렇다 해서 거길 뭐 들어갈 수 있나요"
올 상반기 불법 채집으로 적발된 다이버는 전국에서 76명,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많다는 게 어촌 주민들의 얘깁니다.
수산물을 몰래 갖고 나오는 현장을 해경이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해양수산부 관계자 : "물속에서 하는데 저희들이, 해양경찰들이 스쿠버를 일일이 쫓다니면 적발이 가능하겠지마 적발하기 쉽지 않은 문제 ... "
단속이 허술한 사이, 일부 다이버들의 수산물 불법 채집은 더 대범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입니다.
스킨 스쿠버는 바다의 속살을 들여다보며 눈으로 즐기는 스포츤데요, 하지만 욕심을 부려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하는 사람들 때문에 어민들이 속을 썩고 있다고 합니다.
엄연한 불법 행위로, 적발되면 벌금 폭탄을 맞을 수 있지만, 단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보니, 마을 양식장에 몰래 들어가 훔쳐가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뜨거운 태양 아래 보트가 출발하고,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다이버들, 깊은 물 속에서 일제히 바닥을 뒤지기 시작합니다.
한 사람이 바위에서 조개를 발견하자, 다른 다이버들이 금세 모여들어 주변 조개를 모두 싹쓸이합니다.
이들은 어업권이 없는 일반인들이어서 명백한 불법 채취입니다.
돌아오는 보트 위에선 물고기를 놓쳤다며 아쉬워합니다.
<녹취> 다이버(음성변조) : "그때 (칼로) 찔렀어야 했는데 떠 있더라고요. 못 찌르는 순간 (뭐 있었어요?) 광어요. 광어"
다이빙을 마치고 돌아오자 몰래 딴 수산물을 줄줄이 꺼냅니다.
<녹취> : "이거 뭐예요? (해삼이요. 이거 2만원(짜리))"
전문 업체에서 하는 체험 다이빙 프로그램에서도 불법 행위는 계속됩니다.
바위 틈에서 성게를 깨더니 알을 물에 풀어 물고기들을 모이게 합니다.
이런 일이 많이 있었는지 물고기들이 사람을 피하지도 않습니다.
<녹취> 다이빙 업체 관계자 : "저희가 계속 성게로 (물고기) 밥주고 키워놓은 거라 (그럼, 양식하시는 건가요?) 양식은 아니고요 다이버들이 밥 주는 걸 알고 몰려들죠."
일부 스쿠버다이버들의 불법 행위는 어촌 주민들에게 큰 골칫거립니다.
3년 전 대규모 전복, 해삼 양식장을 만든 이곳 주민들은 최근엔 아예 돌아가며 보초를 설 정도입니다.
하지만 수산물 절도가 의심돼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도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인터뷰> 이병문(어민) : "물에서 딱 올라와서 딱 보고 자기네 일행들이 아니면 (수산물을) 다 버리는 거에요. 우리가 그렇다 해서 거길 뭐 들어갈 수 있나요"
올 상반기 불법 채집으로 적발된 다이버는 전국에서 76명,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많다는 게 어촌 주민들의 얘깁니다.
수산물을 몰래 갖고 나오는 현장을 해경이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해양수산부 관계자 : "물속에서 하는데 저희들이, 해양경찰들이 스쿠버를 일일이 쫓다니면 적발이 가능하겠지마 적발하기 쉽지 않은 문제 ... "
단속이 허술한 사이, 일부 다이버들의 수산물 불법 채집은 더 대범해지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황정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