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의 전통명절 ‘설돈절’

입력 2016.09.07 (12:50) 수정 2016.09.07 (13: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티베트의 최대 명절은 '설돈절'이라고 하는데요.

어떤 유래를 갖고 있을까요?! 티베트 현장으로 가봅니다.

<리포트>

티베트 소수민족의 전통 역법으로 해마다 7월 1일부터 닷새 동안 열리는 '설돈절' 행사.

요즘은 설돈절 하면 장날과 티베트 전통극이 유명합니다.

장날 인기 아이템은 야크 관련 제품인데요,

야크는 티베트에서 축복과 행운의 상징입니다.

독특한 창법과 가면이 특징인 티베트 전통극은 중국 무형 문화재로 선정돼 2012년부터 해마다 열리는 '설돈절'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설돈절'은 티베트 어로 '요구르트 먹는 날'이란 뜻으로 17세기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습니다.

설돈절 기간에 스님들은 혹시 벌레라도 죽일까 싶어 금식을 하며 외출을 금했는데요,

절에서 나온 스님에게 사람들이 요구르트를 시주하면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티베트의 전통명절 ‘설돈절’
    • 입력 2016-09-07 12:57:51
    • 수정2016-09-07 13:38:26
    뉴스 12
<앵커 멘트>

티베트의 최대 명절은 '설돈절'이라고 하는데요.

어떤 유래를 갖고 있을까요?! 티베트 현장으로 가봅니다.

<리포트>

티베트 소수민족의 전통 역법으로 해마다 7월 1일부터 닷새 동안 열리는 '설돈절' 행사.

요즘은 설돈절 하면 장날과 티베트 전통극이 유명합니다.

장날 인기 아이템은 야크 관련 제품인데요,

야크는 티베트에서 축복과 행운의 상징입니다.

독특한 창법과 가면이 특징인 티베트 전통극은 중국 무형 문화재로 선정돼 2012년부터 해마다 열리는 '설돈절'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설돈절'은 티베트 어로 '요구르트 먹는 날'이란 뜻으로 17세기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습니다.

설돈절 기간에 스님들은 혹시 벌레라도 죽일까 싶어 금식을 하며 외출을 금했는데요,

절에서 나온 스님에게 사람들이 요구르트를 시주하면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