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희귀 영장류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 무리 발견
입력 2016.10.06 (09:50)
수정 2016.10.06 (10: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포트>
원숭이들이 나무 위에서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털빛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고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이 흰색인 이 원숭이는 '델라쿠르 랑구르'종으로 베트남 북부 산악 지대에 분포하는데요.
마치 흰 바지를 입고 있는 듯한 독특한 외모의 델라구르 랑구르는 매우 희귀한 영장류 가운데 하나입니다.
최근 이곳 베트남 북부 산악 지역 열대우림에서 40여 마리의 무리가 발견되면서 종 보존에 새로운 희망이 보이고 있습니다.
무리 가운데는 갓 태어난 새끼와 젊은 개체들도 섞여 있어 번식에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인터뷰> 호앙 반 람(베트남 야생 동식물 보호단체) : "우리는 곧 이곳의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 무리와 서식지 보호를 위한 관련법을 마련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는 지난 15년 사이 개체 수가 절반 아래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원숭이들이 나무 위에서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털빛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고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이 흰색인 이 원숭이는 '델라쿠르 랑구르'종으로 베트남 북부 산악 지대에 분포하는데요.
마치 흰 바지를 입고 있는 듯한 독특한 외모의 델라구르 랑구르는 매우 희귀한 영장류 가운데 하나입니다.
최근 이곳 베트남 북부 산악 지역 열대우림에서 40여 마리의 무리가 발견되면서 종 보존에 새로운 희망이 보이고 있습니다.
무리 가운데는 갓 태어난 새끼와 젊은 개체들도 섞여 있어 번식에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인터뷰> 호앙 반 람(베트남 야생 동식물 보호단체) : "우리는 곧 이곳의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 무리와 서식지 보호를 위한 관련법을 마련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는 지난 15년 사이 개체 수가 절반 아래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베트남, 희귀 영장류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 무리 발견
-
- 입력 2016-10-06 10:19:47
- 수정2016-10-06 10:54:54

<리포트>
원숭이들이 나무 위에서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털빛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고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이 흰색인 이 원숭이는 '델라쿠르 랑구르'종으로 베트남 북부 산악 지대에 분포하는데요.
마치 흰 바지를 입고 있는 듯한 독특한 외모의 델라구르 랑구르는 매우 희귀한 영장류 가운데 하나입니다.
최근 이곳 베트남 북부 산악 지역 열대우림에서 40여 마리의 무리가 발견되면서 종 보존에 새로운 희망이 보이고 있습니다.
무리 가운데는 갓 태어난 새끼와 젊은 개체들도 섞여 있어 번식에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인터뷰> 호앙 반 람(베트남 야생 동식물 보호단체) : "우리는 곧 이곳의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 무리와 서식지 보호를 위한 관련법을 마련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는 지난 15년 사이 개체 수가 절반 아래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원숭이들이 나무 위에서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털빛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고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이 흰색인 이 원숭이는 '델라쿠르 랑구르'종으로 베트남 북부 산악 지대에 분포하는데요.
마치 흰 바지를 입고 있는 듯한 독특한 외모의 델라구르 랑구르는 매우 희귀한 영장류 가운데 하나입니다.
최근 이곳 베트남 북부 산악 지역 열대우림에서 40여 마리의 무리가 발견되면서 종 보존에 새로운 희망이 보이고 있습니다.
무리 가운데는 갓 태어난 새끼와 젊은 개체들도 섞여 있어 번식에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인터뷰> 호앙 반 람(베트남 야생 동식물 보호단체) : "우리는 곧 이곳의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 무리와 서식지 보호를 위한 관련법을 마련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델라쿠르 랑구르 원숭이는 지난 15년 사이 개체 수가 절반 아래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