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해체…한국판 ‘말뫼의 눈물’
입력 2016.12.21 (12:30)
수정 2016.12.21 (13: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2002년 경쟁력을 잃은 스웨덴 말뫼의 한 조선소가 높이 128미터의 골리앗 크레인을 단돈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팔았습니다.
14년이 지난 현재 극심한 침체에 빠진 우리 조선업체도 크레인을 해체하고 있습니다.
조미령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창원의 한 조선소.
총 중량 3,200t, 높이 105m의 골리앗 크레인이 해체됩니다.
이 크레인이 팔려갈 곳은 루마니아 조선소.
계약금도 못 받았지만 눈물을 머금고 해체하고 있습니다.
<녹취> 크레인 해체업체 직원 : "(왜 마산의 말뫼의 눈물이에요?) 이거 없어짐으로해서 2천 명이 갈 데 없잖아요. 고정수입이 없어지고."
<녹취> "골리앗 크레인이 조선의 상징인데 철거돼서 없어진다는 건 피눈물 나는 일이죠."
한때 8천 명 넘는 직원이 일했던 한 조선소의 사원 아파트.
일거리가 없어 한 명 두 명 떠나다보니 빈 집만 늘고 있습니다.
125가구 가운데 남은 건 단 10가구!
중형 조선소 세 곳이 모여 불야성을 이뤘던 곳.
근로자 만 명이 일했던 동네지만 지금은 골목마다 사람 만나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뷰> 고정자(조선소 옆 슈퍼마켓 주인) : "통영사람들 다 죽게 됐어요. 원룸에(입주민이) 한 두 집 그것밖에 없어요."
거제와 통영, 고성지역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만 2천여 명.
통영과 거제지역의 실업자도 지난해보다 4만 천명이 늘었습니다.
한국 조선산업을 대표하던 상징물 크레인이 해체되듯 조선 산업의 위기는 지역 경제를 걷잡을 수 없이 쇠락시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지난 2002년 경쟁력을 잃은 스웨덴 말뫼의 한 조선소가 높이 128미터의 골리앗 크레인을 단돈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팔았습니다.
14년이 지난 현재 극심한 침체에 빠진 우리 조선업체도 크레인을 해체하고 있습니다.
조미령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창원의 한 조선소.
총 중량 3,200t, 높이 105m의 골리앗 크레인이 해체됩니다.
이 크레인이 팔려갈 곳은 루마니아 조선소.
계약금도 못 받았지만 눈물을 머금고 해체하고 있습니다.
<녹취> 크레인 해체업체 직원 : "(왜 마산의 말뫼의 눈물이에요?) 이거 없어짐으로해서 2천 명이 갈 데 없잖아요. 고정수입이 없어지고."
<녹취> "골리앗 크레인이 조선의 상징인데 철거돼서 없어진다는 건 피눈물 나는 일이죠."
한때 8천 명 넘는 직원이 일했던 한 조선소의 사원 아파트.
일거리가 없어 한 명 두 명 떠나다보니 빈 집만 늘고 있습니다.
125가구 가운데 남은 건 단 10가구!
중형 조선소 세 곳이 모여 불야성을 이뤘던 곳.
근로자 만 명이 일했던 동네지만 지금은 골목마다 사람 만나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뷰> 고정자(조선소 옆 슈퍼마켓 주인) : "통영사람들 다 죽게 됐어요. 원룸에(입주민이) 한 두 집 그것밖에 없어요."
거제와 통영, 고성지역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만 2천여 명.
통영과 거제지역의 실업자도 지난해보다 4만 천명이 늘었습니다.
한국 조선산업을 대표하던 상징물 크레인이 해체되듯 조선 산업의 위기는 지역 경제를 걷잡을 수 없이 쇠락시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크레인 해체…한국판 ‘말뫼의 눈물’
-
- 입력 2016-12-21 12:32:32
- 수정2016-12-21 13:05:20

<앵커 멘트>
지난 2002년 경쟁력을 잃은 스웨덴 말뫼의 한 조선소가 높이 128미터의 골리앗 크레인을 단돈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팔았습니다.
14년이 지난 현재 극심한 침체에 빠진 우리 조선업체도 크레인을 해체하고 있습니다.
조미령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창원의 한 조선소.
총 중량 3,200t, 높이 105m의 골리앗 크레인이 해체됩니다.
이 크레인이 팔려갈 곳은 루마니아 조선소.
계약금도 못 받았지만 눈물을 머금고 해체하고 있습니다.
<녹취> 크레인 해체업체 직원 : "(왜 마산의 말뫼의 눈물이에요?) 이거 없어짐으로해서 2천 명이 갈 데 없잖아요. 고정수입이 없어지고."
<녹취> "골리앗 크레인이 조선의 상징인데 철거돼서 없어진다는 건 피눈물 나는 일이죠."
한때 8천 명 넘는 직원이 일했던 한 조선소의 사원 아파트.
일거리가 없어 한 명 두 명 떠나다보니 빈 집만 늘고 있습니다.
125가구 가운데 남은 건 단 10가구!
중형 조선소 세 곳이 모여 불야성을 이뤘던 곳.
근로자 만 명이 일했던 동네지만 지금은 골목마다 사람 만나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뷰> 고정자(조선소 옆 슈퍼마켓 주인) : "통영사람들 다 죽게 됐어요. 원룸에(입주민이) 한 두 집 그것밖에 없어요."
거제와 통영, 고성지역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만 2천여 명.
통영과 거제지역의 실업자도 지난해보다 4만 천명이 늘었습니다.
한국 조선산업을 대표하던 상징물 크레인이 해체되듯 조선 산업의 위기는 지역 경제를 걷잡을 수 없이 쇠락시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지난 2002년 경쟁력을 잃은 스웨덴 말뫼의 한 조선소가 높이 128미터의 골리앗 크레인을 단돈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팔았습니다.
14년이 지난 현재 극심한 침체에 빠진 우리 조선업체도 크레인을 해체하고 있습니다.
조미령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창원의 한 조선소.
총 중량 3,200t, 높이 105m의 골리앗 크레인이 해체됩니다.
이 크레인이 팔려갈 곳은 루마니아 조선소.
계약금도 못 받았지만 눈물을 머금고 해체하고 있습니다.
<녹취> 크레인 해체업체 직원 : "(왜 마산의 말뫼의 눈물이에요?) 이거 없어짐으로해서 2천 명이 갈 데 없잖아요. 고정수입이 없어지고."
<녹취> "골리앗 크레인이 조선의 상징인데 철거돼서 없어진다는 건 피눈물 나는 일이죠."
한때 8천 명 넘는 직원이 일했던 한 조선소의 사원 아파트.
일거리가 없어 한 명 두 명 떠나다보니 빈 집만 늘고 있습니다.
125가구 가운데 남은 건 단 10가구!
중형 조선소 세 곳이 모여 불야성을 이뤘던 곳.
근로자 만 명이 일했던 동네지만 지금은 골목마다 사람 만나기가 어렵습니다.
<인터뷰> 고정자(조선소 옆 슈퍼마켓 주인) : "통영사람들 다 죽게 됐어요. 원룸에(입주민이) 한 두 집 그것밖에 없어요."
거제와 통영, 고성지역 임금체불 근로자 수는 만 2천여 명.
통영과 거제지역의 실업자도 지난해보다 4만 천명이 늘었습니다.
한국 조선산업을 대표하던 상징물 크레인이 해체되듯 조선 산업의 위기는 지역 경제를 걷잡을 수 없이 쇠락시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미령입니다.
-
-
조미령 기자 pearl@kbs.co.kr
조미령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