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안종범·정호성, 혐의 부인…검찰 “증거 넘친다”

입력 2017.01.05 (13:53) 수정 2017.01.05 (21: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순실 게이트'의 첫 정식재판이 오늘(5일) 열렸다. 최순실 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수석은 혐의를 부인했고, 정호성 전 비서관은 "특검이 구치소 압수수색에서 공소사실 논의 자료를 가져갔다"며 변론권 침해라고 주장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열린 첫 공판에서 최 씨는 혐의를 전부 부인하는 게 맞느냐는 재판장의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최 씨는 이어 "억울한 부분이 많다"며 "밝혀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 씨의 변호인인 이경재 변호사는 "최 씨는 대통령, 안 전 수석과 3자 공모해 미르·K스포츠재단에 모금을 하려고 공모한 일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검찰 측은 "증거는 차고 넘친다"며 "나라의 국격을 생각해 공소장에 최소한의 사실만 적은 것"이라고 유죄 입증을 자신했다. 한웅재 부장검사는 "대통령과의 공모 관계가 최씨의 범행을 (기소)하기 위해 억지로 꿰맞춘 것 아니냐고 하는데, 대통령이 (최씨의) 공범이라는 증거는 정말 차고 넘친다"고 반박했다.

최 씨 측은 검찰이 공소사실을 설명할 때 "이건 조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밝혀져야 할 부분인 것 같은데 (마치) 확인된, 입증된 사실인양 표현(프레젠테이션)하는 것은 재판 공정성에…(문제가 생길 수 있다)"라고 지적하며 날을 세웠다.

검찰은 재판에서 롯데그룹 소진세 사장과 이석환 상무의 진술 조서를 공개했다. 이 상무는 "처음 미르재단과 관련해서 전경련 전화를 받았을 때 조금 황당했다"며 "하지만 20대 그룹사가 다 참여한다 하고, 납부금액도 분담하기로 해 참여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진술했다.

안 전 수석 측도 최 씨와 공모해 재단을 만들었다는 혐의를 부인했다. 안 전 수석은 공소사실을 모두 부인한다면서 "앞으로 재판과정에서 성실히 임하며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안 전 수석의 변호인은 "문화융성을 위해서 재단을 설립하는 것으로 알았던 피고인 안종범과 재단을 이용해서 사적 이익을 취하기로 했던 사람들과는 법적 평가에서 명백히 구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검찰은 안 전 수석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대응 방안' 문건 총 7건을 공개해 안 전 수석이 검찰 수사에 구체적으로 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전 수석의 자택 압수수색 과정에서 발견된 이 문건에는 '휴대전화를 교체하는 게 정답이다' 등의 종류별로 증거를 인멸하는 방법이 담겨있다.

정 전 비서관 측은 공소사실에 대해 논의가 덜 됐다고 주장했다. 정 전 비서관은 "변호인과 상의할 부분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정 전 비서관의 변호인은 "특검이 (정씨가) 변호인과 논의하고자 하는 쟁점, 변호인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를 메모해놓은 것을 압수했다"며 재판을 미뤄달라고 요청했다.

검찰은 이에 대해 "특검이 어떤 경위로 압수수색을 해서 변호인의 변론권 관련 충돌이 있었는지 모르겠다"면서 "그동안 변호인이 정씨를 접견한 만큼 공소사실에 대한 입장은 충분히 밝힐 수 있다고 본다"고 맞섰다.

재판부는 두 번째 공판인 오는 11일 오전까지 서면증거 조사를 마친 뒤 이날 오후부터 증인신문에 돌입할 계획이다. 정 전 비서관에 대해서는 정 씨와 변호인이 자주 면담해 의견서를 법정에 제출한 뒤 오는 18일 분리 변론을 진행하기로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순실·안종범·정호성, 혐의 부인…검찰 “증거 넘친다”
    • 입력 2017-01-05 13:53:13
    • 수정2017-01-05 21:28:43
    사회
'최순실 게이트'의 첫 정식재판이 오늘(5일) 열렸다. 최순실 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수석은 혐의를 부인했고, 정호성 전 비서관은 "특검이 구치소 압수수색에서 공소사실 논의 자료를 가져갔다"며 변론권 침해라고 주장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열린 첫 공판에서 최 씨는 혐의를 전부 부인하는 게 맞느냐는 재판장의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최 씨는 이어 "억울한 부분이 많다"며 "밝혀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 씨의 변호인인 이경재 변호사는 "최 씨는 대통령, 안 전 수석과 3자 공모해 미르·K스포츠재단에 모금을 하려고 공모한 일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검찰 측은 "증거는 차고 넘친다"며 "나라의 국격을 생각해 공소장에 최소한의 사실만 적은 것"이라고 유죄 입증을 자신했다. 한웅재 부장검사는 "대통령과의 공모 관계가 최씨의 범행을 (기소)하기 위해 억지로 꿰맞춘 것 아니냐고 하는데, 대통령이 (최씨의) 공범이라는 증거는 정말 차고 넘친다"고 반박했다.

최 씨 측은 검찰이 공소사실을 설명할 때 "이건 조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밝혀져야 할 부분인 것 같은데 (마치) 확인된, 입증된 사실인양 표현(프레젠테이션)하는 것은 재판 공정성에…(문제가 생길 수 있다)"라고 지적하며 날을 세웠다.

검찰은 재판에서 롯데그룹 소진세 사장과 이석환 상무의 진술 조서를 공개했다. 이 상무는 "처음 미르재단과 관련해서 전경련 전화를 받았을 때 조금 황당했다"며 "하지만 20대 그룹사가 다 참여한다 하고, 납부금액도 분담하기로 해 참여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진술했다.

안 전 수석 측도 최 씨와 공모해 재단을 만들었다는 혐의를 부인했다. 안 전 수석은 공소사실을 모두 부인한다면서 "앞으로 재판과정에서 성실히 임하며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안 전 수석의 변호인은 "문화융성을 위해서 재단을 설립하는 것으로 알았던 피고인 안종범과 재단을 이용해서 사적 이익을 취하기로 했던 사람들과는 법적 평가에서 명백히 구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검찰은 안 전 수석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대응 방안' 문건 총 7건을 공개해 안 전 수석이 검찰 수사에 구체적으로 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전 수석의 자택 압수수색 과정에서 발견된 이 문건에는 '휴대전화를 교체하는 게 정답이다' 등의 종류별로 증거를 인멸하는 방법이 담겨있다.

정 전 비서관 측은 공소사실에 대해 논의가 덜 됐다고 주장했다. 정 전 비서관은 "변호인과 상의할 부분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정 전 비서관의 변호인은 "특검이 (정씨가) 변호인과 논의하고자 하는 쟁점, 변호인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를 메모해놓은 것을 압수했다"며 재판을 미뤄달라고 요청했다.

검찰은 이에 대해 "특검이 어떤 경위로 압수수색을 해서 변호인의 변론권 관련 충돌이 있었는지 모르겠다"면서 "그동안 변호인이 정씨를 접견한 만큼 공소사실에 대한 입장은 충분히 밝힐 수 있다고 본다"고 맞섰다.

재판부는 두 번째 공판인 오는 11일 오전까지 서면증거 조사를 마친 뒤 이날 오후부터 증인신문에 돌입할 계획이다. 정 전 비서관에 대해서는 정 씨와 변호인이 자주 면담해 의견서를 법정에 제출한 뒤 오는 18일 분리 변론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