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 3년 만에 팽목항 떠나

입력 2017.03.31 (19:14) 수정 2017.03.31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천 일 넘게 세월호가 바닷속에 가라앉아 있는 동안 미수습자 가족들은 가장 가까운 항구인 팽목항을 말없이 지켰는데요.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하면서 가족들도 3년 만에 오늘 팽목항을 떠났습니다.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월호 사고 해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팽목항.

그 한쪽에 자리잡았던 컨테이너 숙소를 화물차에 싣습니다.

세월호를 따라 미수습자 가족들도 거처를 목포신항으로 옮기는 겁니다.

혈육을 기다린 지 3년.

이제는 만나리라 기대합니다.

<녹취> 조남성(미수습자 조은화 아버지) : "진도군민 여러분과 진도군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9명을 모두 찾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참사 첫 날부터 아픔을 함께 했던 주민들은 미수습자의 귀환을 기원합니다.

<인터뷰> 장길환(세월호 자원봉사자) : "제일 아픔이 컸던 곳이죠. 가족들이 빨리 유해를 수습해서 가정으로 돌아가고 새출발하는 그런 마음으로..."

이삿짐을 옮기는 화물차에도 세월호를 추모하는 글귀와 노란 리본이 그려져 있습니다.

운전 기사는 세월호 생존자입니다.

<인터뷰> 양인석(세월호 생존자) : "내가 어떻게 해줄 방법이 없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해서, 참사를 잊지 말아야겠다는 그런 생각으로..."

가슴 아픈 기다림의 상징이었던 팽목항을 떠난 미수습자 가족들의 새로운 거처는 세월호가 한눈에 바라다보이는 목포신항이 됐습니다.

세월호 가족들은 떠나지만 노란 리본과 추모 시설 등 상징물들은 계속 보존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 3년 만에 팽목항 떠나
    • 입력 2017-03-31 19:16:10
    • 수정2017-03-31 19:26:34
    뉴스 7
<앵커 멘트>

천 일 넘게 세월호가 바닷속에 가라앉아 있는 동안 미수습자 가족들은 가장 가까운 항구인 팽목항을 말없이 지켰는데요.

세월호가 목포신항에 도착하면서 가족들도 3년 만에 오늘 팽목항을 떠났습니다.

양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월호 사고 해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팽목항.

그 한쪽에 자리잡았던 컨테이너 숙소를 화물차에 싣습니다.

세월호를 따라 미수습자 가족들도 거처를 목포신항으로 옮기는 겁니다.

혈육을 기다린 지 3년.

이제는 만나리라 기대합니다.

<녹취> 조남성(미수습자 조은화 아버지) : "진도군민 여러분과 진도군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9명을 모두 찾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참사 첫 날부터 아픔을 함께 했던 주민들은 미수습자의 귀환을 기원합니다.

<인터뷰> 장길환(세월호 자원봉사자) : "제일 아픔이 컸던 곳이죠. 가족들이 빨리 유해를 수습해서 가정으로 돌아가고 새출발하는 그런 마음으로..."

이삿짐을 옮기는 화물차에도 세월호를 추모하는 글귀와 노란 리본이 그려져 있습니다.

운전 기사는 세월호 생존자입니다.

<인터뷰> 양인석(세월호 생존자) : "내가 어떻게 해줄 방법이 없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해서, 참사를 잊지 말아야겠다는 그런 생각으로..."

가슴 아픈 기다림의 상징이었던 팽목항을 떠난 미수습자 가족들의 새로운 거처는 세월호가 한눈에 바라다보이는 목포신항이 됐습니다.

세월호 가족들은 떠나지만 노란 리본과 추모 시설 등 상징물들은 계속 보존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