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이어 가뭄까지…양계농가 ‘시름’
입력 2017.06.30 (06:39)
수정 2017.06.30 (1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조류인플루엔자 AI에 이어 가뭄에 폭염까지 덮친 양계농가의 상황이 정말 심각합니다.
닭과 병아리가 마실 물이 없다고 하는데요 양계농가의 시름이 깊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양계장의 병아리들이 연신 급수대를 쪼아댑니다.
이곳 병아리는 5만 마리, 하루 먹는 물만 20톤에 달합니다.
이 양계장에서 물을 끌어다 쓰던 하천입니다. 예년에는 제 허리까지 차올랐던 물이 보시는것처럼 모두 말라버렸습니다.
다급해진 주인은 직접 차를 몰고 나섰습니다.
면 사무소를 오가며 물을 길어 나릅니다.
<인터뷰> 이윤우(양계장 운영) : "동네마다 동냥을 해서 먹였는데 그 집도 물이 달리지 않습니까. 면사무소에서 물을 주니까 눈치 안 보고 길어오니까 낫지요."
병아리가 커갈수록 문제는 심각해집니다.
먹는 물의 양이 5배 이상 늘기 때문입니다.
이 양계장은 물을 사다 써야할 형편이지만 하루 물값만 백만 원이 넘습니다.
<녹취> 양계장 운영 : "생수차로 한 차씩, 하루에 한 네 번. 120만원 돈이지. 물을 사서 넣으면 그게 파산이에요."
폭염까지 이어지며 축사 온도 낮추기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스프링클러를 종일 돌려야 하지만 가동률은 절반수준,
결국 이 농장은 시청에 수돗물 공급 청원서를 제출했습니다.
아예 재입식을 포기하는 농가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금자(양계장 운영) : "물이 이렇게 나왔었는데 전혀 이게 안 나오죠 한 방울도. 키우질 못하는 거예요. 아예 안 키우는 게 손해가 더 없지."
AI에 이은 가뭄과 폭염, 잇단 악재 속에 양계농가의 여름나기가 힘겹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 AI에 이어 가뭄에 폭염까지 덮친 양계농가의 상황이 정말 심각합니다.
닭과 병아리가 마실 물이 없다고 하는데요 양계농가의 시름이 깊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양계장의 병아리들이 연신 급수대를 쪼아댑니다.
이곳 병아리는 5만 마리, 하루 먹는 물만 20톤에 달합니다.
이 양계장에서 물을 끌어다 쓰던 하천입니다. 예년에는 제 허리까지 차올랐던 물이 보시는것처럼 모두 말라버렸습니다.
다급해진 주인은 직접 차를 몰고 나섰습니다.
면 사무소를 오가며 물을 길어 나릅니다.
<인터뷰> 이윤우(양계장 운영) : "동네마다 동냥을 해서 먹였는데 그 집도 물이 달리지 않습니까. 면사무소에서 물을 주니까 눈치 안 보고 길어오니까 낫지요."
병아리가 커갈수록 문제는 심각해집니다.
먹는 물의 양이 5배 이상 늘기 때문입니다.
이 양계장은 물을 사다 써야할 형편이지만 하루 물값만 백만 원이 넘습니다.
<녹취> 양계장 운영 : "생수차로 한 차씩, 하루에 한 네 번. 120만원 돈이지. 물을 사서 넣으면 그게 파산이에요."
폭염까지 이어지며 축사 온도 낮추기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스프링클러를 종일 돌려야 하지만 가동률은 절반수준,
결국 이 농장은 시청에 수돗물 공급 청원서를 제출했습니다.
아예 재입식을 포기하는 농가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금자(양계장 운영) : "물이 이렇게 나왔었는데 전혀 이게 안 나오죠 한 방울도. 키우질 못하는 거예요. 아예 안 키우는 게 손해가 더 없지."
AI에 이은 가뭄과 폭염, 잇단 악재 속에 양계농가의 여름나기가 힘겹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이어 가뭄까지…양계농가 ‘시름’
-
- 입력 2017-06-30 06:42:24
- 수정2017-06-30 10:15:55

<앵커 멘트>
조류인플루엔자 AI에 이어 가뭄에 폭염까지 덮친 양계농가의 상황이 정말 심각합니다.
닭과 병아리가 마실 물이 없다고 하는데요 양계농가의 시름이 깊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양계장의 병아리들이 연신 급수대를 쪼아댑니다.
이곳 병아리는 5만 마리, 하루 먹는 물만 20톤에 달합니다.
이 양계장에서 물을 끌어다 쓰던 하천입니다. 예년에는 제 허리까지 차올랐던 물이 보시는것처럼 모두 말라버렸습니다.
다급해진 주인은 직접 차를 몰고 나섰습니다.
면 사무소를 오가며 물을 길어 나릅니다.
<인터뷰> 이윤우(양계장 운영) : "동네마다 동냥을 해서 먹였는데 그 집도 물이 달리지 않습니까. 면사무소에서 물을 주니까 눈치 안 보고 길어오니까 낫지요."
병아리가 커갈수록 문제는 심각해집니다.
먹는 물의 양이 5배 이상 늘기 때문입니다.
이 양계장은 물을 사다 써야할 형편이지만 하루 물값만 백만 원이 넘습니다.
<녹취> 양계장 운영 : "생수차로 한 차씩, 하루에 한 네 번. 120만원 돈이지. 물을 사서 넣으면 그게 파산이에요."
폭염까지 이어지며 축사 온도 낮추기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스프링클러를 종일 돌려야 하지만 가동률은 절반수준,
결국 이 농장은 시청에 수돗물 공급 청원서를 제출했습니다.
아예 재입식을 포기하는 농가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금자(양계장 운영) : "물이 이렇게 나왔었는데 전혀 이게 안 나오죠 한 방울도. 키우질 못하는 거예요. 아예 안 키우는 게 손해가 더 없지."
AI에 이은 가뭄과 폭염, 잇단 악재 속에 양계농가의 여름나기가 힘겹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
이윤희 기자 heeya@kbs.co.kr
이윤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최악 가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