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무청, 병역특례 돈거래 의혹조사
입력 2002.08.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병역특례 혜택이 수천만원의 돈에 거래되면서 병역회피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뒤늦게 병무청이 전면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안세득 기자의 보도입니다.
⊙인터뷰: 병역 특례자인 전문연구원 관리에 구멍이 났습니다.
⊙기자: 아버지가 대표로 있는 회사에 병역특례 요원으로 등록하고 유학을 가는가 하면 이름만 올려놓은 채 출근도 하지 않는 등 방만하게 운영됐다는 비판을 받은 병역특례제도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특례제도를 병역회피에 악용하기 위해 수천만원의 돈을 주고 특례 지정업체에 입사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학가에서는 수도권 제조업체는 2000에서 3000만원, 서울에 있는 벤처기업은 5000만원에 거래된다는 말까지 나돌고 있는 실정입니다.
병무청은 몇 차례 현장 조사를 실시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전국의 병역특례 업체와 연구기관은 1만 8500군데가 넘지만 실태 조사를 담당하는 요원은 겨우 73명에 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병무청은 앞으로 산업체 선정 기준을 종업원 5인 이상 업체에서 30인 이상 업체로 바꾸고 실태조사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장한수(병무청 산업지원과장): 실태조사하고 확인되면 사직 당국에 고발 등 강력히 조치를 취할 것이며 실태조사를 불시에 실시해서 이런 사례가 없도록 관리를 철저히 해 나갈 것입니다.
⊙기자: 병무청의 조치가 얼마나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지만 신성한 병역 의무를 어떻게든 피해 보려는 일부 계층의 의식이 바뀌지 않는 한 이 같은 잡음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안세득입니다.
뒤늦게 병무청이 전면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안세득 기자의 보도입니다.
⊙인터뷰: 병역 특례자인 전문연구원 관리에 구멍이 났습니다.
⊙기자: 아버지가 대표로 있는 회사에 병역특례 요원으로 등록하고 유학을 가는가 하면 이름만 올려놓은 채 출근도 하지 않는 등 방만하게 운영됐다는 비판을 받은 병역특례제도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특례제도를 병역회피에 악용하기 위해 수천만원의 돈을 주고 특례 지정업체에 입사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학가에서는 수도권 제조업체는 2000에서 3000만원, 서울에 있는 벤처기업은 5000만원에 거래된다는 말까지 나돌고 있는 실정입니다.
병무청은 몇 차례 현장 조사를 실시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전국의 병역특례 업체와 연구기관은 1만 8500군데가 넘지만 실태 조사를 담당하는 요원은 겨우 73명에 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병무청은 앞으로 산업체 선정 기준을 종업원 5인 이상 업체에서 30인 이상 업체로 바꾸고 실태조사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장한수(병무청 산업지원과장): 실태조사하고 확인되면 사직 당국에 고발 등 강력히 조치를 취할 것이며 실태조사를 불시에 실시해서 이런 사례가 없도록 관리를 철저히 해 나갈 것입니다.
⊙기자: 병무청의 조치가 얼마나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지만 신성한 병역 의무를 어떻게든 피해 보려는 일부 계층의 의식이 바뀌지 않는 한 이 같은 잡음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안세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병무청, 병역특례 돈거래 의혹조사
-
- 입력 2002-08-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병역특례 혜택이 수천만원의 돈에 거래되면서 병역회피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뒤늦게 병무청이 전면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
안세득 기자의 보도입니다.
⊙인터뷰: 병역 특례자인 전문연구원 관리에 구멍이 났습니다.
⊙기자: 아버지가 대표로 있는 회사에 병역특례 요원으로 등록하고 유학을 가는가 하면 이름만 올려놓은 채 출근도 하지 않는 등 방만하게 운영됐다는 비판을 받은 병역특례제도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특례제도를 병역회피에 악용하기 위해 수천만원의 돈을 주고 특례 지정업체에 입사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학가에서는 수도권 제조업체는 2000에서 3000만원, 서울에 있는 벤처기업은 5000만원에 거래된다는 말까지 나돌고 있는 실정입니다.
병무청은 몇 차례 현장 조사를 실시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전국의 병역특례 업체와 연구기관은 1만 8500군데가 넘지만 실태 조사를 담당하는 요원은 겨우 73명에 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병무청은 앞으로 산업체 선정 기준을 종업원 5인 이상 업체에서 30인 이상 업체로 바꾸고 실태조사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장한수(병무청 산업지원과장): 실태조사하고 확인되면 사직 당국에 고발 등 강력히 조치를 취할 것이며 실태조사를 불시에 실시해서 이런 사례가 없도록 관리를 철저히 해 나갈 것입니다.
⊙기자: 병무청의 조치가 얼마나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지만 신성한 병역 의무를 어떻게든 피해 보려는 일부 계층의 의식이 바뀌지 않는 한 이 같은 잡음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안세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