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유도폭탄’ 도입 시기 앞당겨
입력 2017.07.08 (21:14)
수정 2017.07.08 (21: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은 최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때 주로 이동식 발사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습발사에 유리하기 때문인데 이 이동식 발사대를 파괴하는 유도폭탄을 우리 군이 당초 계획보다 2~3년 앞당겨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김용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움직이는 차량을 타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전투기 조종사가 복합유도폭탄을 투하합니다.
날개가 달린 유도폭탄이 도심 속 장애물을 피하며 추적해 목표 차량을 정확히 타격합니다.
유도폭탄에는 레이저와 GPS 유도, 적외선 식별 등 세가지 방식의 탐지모드가 함께 탑재돼 악천후나 주·야간에 상관없이 70km 이상의 원거리에서 오차 범위 1미터 내외로 목표를 정밀 폭격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군이 북한의 이동식발사대를 파괴하기 위해 이 복합유도폭탄을 도입합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가 포착되면 이동식발사대와 미사일을 선제타격할 수 있어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최근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일취월장함에 따라 군 당국은 복합유도폭탄의 도입 시기를 당초 예정보다 2-3년 앞당겨, 2천 20년 초까지 전력화하기로 했습니다.
복합유도폭탄은 내년에 도입되는 F-35A 스텔스 전투기와 기존의 F-15K 전투기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북한은 현재 탄도미사일 기습발사가 가능한 이동식 발사대를 100여 대 이상 보유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북한은 최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때 주로 이동식 발사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습발사에 유리하기 때문인데 이 이동식 발사대를 파괴하는 유도폭탄을 우리 군이 당초 계획보다 2~3년 앞당겨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김용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움직이는 차량을 타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전투기 조종사가 복합유도폭탄을 투하합니다.
날개가 달린 유도폭탄이 도심 속 장애물을 피하며 추적해 목표 차량을 정확히 타격합니다.
유도폭탄에는 레이저와 GPS 유도, 적외선 식별 등 세가지 방식의 탐지모드가 함께 탑재돼 악천후나 주·야간에 상관없이 70km 이상의 원거리에서 오차 범위 1미터 내외로 목표를 정밀 폭격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군이 북한의 이동식발사대를 파괴하기 위해 이 복합유도폭탄을 도입합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가 포착되면 이동식발사대와 미사일을 선제타격할 수 있어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최근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일취월장함에 따라 군 당국은 복합유도폭탄의 도입 시기를 당초 예정보다 2-3년 앞당겨, 2천 20년 초까지 전력화하기로 했습니다.
복합유도폭탄은 내년에 도입되는 F-35A 스텔스 전투기와 기존의 F-15K 전투기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북한은 현재 탄도미사일 기습발사가 가능한 이동식 발사대를 100여 대 이상 보유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합유도폭탄’ 도입 시기 앞당겨
-
- 입력 2017-07-08 21:14:46
- 수정2017-07-08 21:29:42

<앵커 멘트>
북한은 최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때 주로 이동식 발사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습발사에 유리하기 때문인데 이 이동식 발사대를 파괴하는 유도폭탄을 우리 군이 당초 계획보다 2~3년 앞당겨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김용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움직이는 차량을 타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전투기 조종사가 복합유도폭탄을 투하합니다.
날개가 달린 유도폭탄이 도심 속 장애물을 피하며 추적해 목표 차량을 정확히 타격합니다.
유도폭탄에는 레이저와 GPS 유도, 적외선 식별 등 세가지 방식의 탐지모드가 함께 탑재돼 악천후나 주·야간에 상관없이 70km 이상의 원거리에서 오차 범위 1미터 내외로 목표를 정밀 폭격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군이 북한의 이동식발사대를 파괴하기 위해 이 복합유도폭탄을 도입합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가 포착되면 이동식발사대와 미사일을 선제타격할 수 있어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최근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일취월장함에 따라 군 당국은 복합유도폭탄의 도입 시기를 당초 예정보다 2-3년 앞당겨, 2천 20년 초까지 전력화하기로 했습니다.
복합유도폭탄은 내년에 도입되는 F-35A 스텔스 전투기와 기존의 F-15K 전투기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북한은 현재 탄도미사일 기습발사가 가능한 이동식 발사대를 100여 대 이상 보유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북한은 최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할 때 주로 이동식 발사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습발사에 유리하기 때문인데 이 이동식 발사대를 파괴하는 유도폭탄을 우리 군이 당초 계획보다 2~3년 앞당겨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김용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움직이는 차량을 타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전투기 조종사가 복합유도폭탄을 투하합니다.
날개가 달린 유도폭탄이 도심 속 장애물을 피하며 추적해 목표 차량을 정확히 타격합니다.
유도폭탄에는 레이저와 GPS 유도, 적외선 식별 등 세가지 방식의 탐지모드가 함께 탑재돼 악천후나 주·야간에 상관없이 70km 이상의 원거리에서 오차 범위 1미터 내외로 목표를 정밀 폭격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군이 북한의 이동식발사대를 파괴하기 위해 이 복합유도폭탄을 도입합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가 포착되면 이동식발사대와 미사일을 선제타격할 수 있어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최근 북한의 미사일 기술이 일취월장함에 따라 군 당국은 복합유도폭탄의 도입 시기를 당초 예정보다 2-3년 앞당겨, 2천 20년 초까지 전력화하기로 했습니다.
복합유도폭탄은 내년에 도입되는 F-35A 스텔스 전투기와 기존의 F-15K 전투기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북한은 현재 탄도미사일 기습발사가 가능한 이동식 발사대를 100여 대 이상 보유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
-
김용준 기자 okok@kbs.co.kr
김용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