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충전] 거실은 카페, 주방은 휴양지
입력 2017.07.28 (12:44)
수정 2017.07.28 (12: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하나의 컨셉으로 통일감 있게 집을 꾸밀 수도 있지만 공간마다 다른 느낌을 주면 어떨까요?
집은 하나지만 방마다 느낌이 다르니 지루할 틈이 없다는데요,
정보충전에서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 광진구의 아파트 단집니다.
우리가 늘 봐 온 아파트 외경인데 내부는 완벽하게 다른 집이 있습니다.
중문 열고 들어가니 카페 느낌 물씬 나는 거실 나오고, 주방은 타일이 특이합니다.
방도 휴양지에 온 느낌을 주는데요.
<인터뷰> 장상원(남편) : "저희 가족이 외국에서 10년을 살았는데 약간 이국적인 분위기와 편안한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습니다. 그리고 저희 아내가 그릇을 모으는 게 취미인데 이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죠."
거실부터 살펴봅니다.
넓지는 않은데, 시원하게 느껴집니다.
천장, 좀 독특하죠?
언뜻 보면 시공이 덜 끝난 것 같지만 시멘트와 배관을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노출천장'입니다.
<인터뷰> 이호곤(인테리어 디자이너) : "거실 공간이 생각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답답함을 최소화 하기 위해 천장을 노출된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천장을) 사선 구조 형태로 시공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공간을 연출하였습니다."
거실 벽 전면에는 대형 책장을 배치했습니다.
TV는 자연스레 옆으로 물러났습니다.
평소 가족들이 즐겨있는 책과 더불어 그릇과 소품을 진열하니, 인테리어에도 효과적입니다.
<인터뷰> 윤은설(아내) : "거실 자체를 가족이 책도 읽고 차를 마시는 공간으로 꾸미기 위해 책장을 배치했고요. 평소 제가 모아온 그릇들을 놓는 진열장으로도 쓸 수 있어서 매우 만족하는 공간입니다."
조명은 분위기에 따라 위치와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일 조명을 설치했더니 갤러리 느낌도 듭니다.
주방은 어느 휴양지의 멋진 식당에 온 듯합니다.
적당히 낡은 느낌의 소품과 다양한 무늬의 타일이 만들어낸 합작품인데요.
<인터뷰> 윤은설(아내) : "상부장을 없애고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독특한 타일 무늬를 부탁드렸고요. 벽지가 아니라서 이물질이 튀어도 닦기 편해서 좋은 것 같아요."
금색의 손잡이와 수전으로 포인트를 주니 주방이 번쩍번쩍합니다.
팬던트 조명이 멋을 더하죠.
식탁도 재미납니다.
똑같은 모양의 의자가 아닌 여러 디자인의 의자를 배치했습니다.
끝으로 안방, 또 다른 느낌입니다.
특히 커튼이 재밌습니다.
<인터뷰> 장상원(남편) : "이게 식탁보인데요. 이걸 창문 크기에 맞춰서 커튼을 만들어 달아봤어요. 그랬더니 아주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파란 벽 뒤엔 숨은 공간 있습니다.
침대 뒤로 가벽을 세우고 공간을 분리해, 옷 방을 만들었습니다.
가벽에는 선반과 옷걸이를 달아 자주 입는 옷과 소품을 진열했는데요.
상당히 실용적이죠~
공간별 다른 분위기로 꾸며 어느 방에 들어가든 새로운 느낌입니다.
잠시 머무는 것만으로도 휴식을 주는 집이 됐습니다.
정보충전이었습니다.
하나의 컨셉으로 통일감 있게 집을 꾸밀 수도 있지만 공간마다 다른 느낌을 주면 어떨까요?
집은 하나지만 방마다 느낌이 다르니 지루할 틈이 없다는데요,
정보충전에서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 광진구의 아파트 단집니다.
우리가 늘 봐 온 아파트 외경인데 내부는 완벽하게 다른 집이 있습니다.
중문 열고 들어가니 카페 느낌 물씬 나는 거실 나오고, 주방은 타일이 특이합니다.
방도 휴양지에 온 느낌을 주는데요.
<인터뷰> 장상원(남편) : "저희 가족이 외국에서 10년을 살았는데 약간 이국적인 분위기와 편안한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습니다. 그리고 저희 아내가 그릇을 모으는 게 취미인데 이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죠."
거실부터 살펴봅니다.
넓지는 않은데, 시원하게 느껴집니다.
천장, 좀 독특하죠?
언뜻 보면 시공이 덜 끝난 것 같지만 시멘트와 배관을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노출천장'입니다.
<인터뷰> 이호곤(인테리어 디자이너) : "거실 공간이 생각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답답함을 최소화 하기 위해 천장을 노출된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천장을) 사선 구조 형태로 시공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공간을 연출하였습니다."
거실 벽 전면에는 대형 책장을 배치했습니다.
TV는 자연스레 옆으로 물러났습니다.
평소 가족들이 즐겨있는 책과 더불어 그릇과 소품을 진열하니, 인테리어에도 효과적입니다.
<인터뷰> 윤은설(아내) : "거실 자체를 가족이 책도 읽고 차를 마시는 공간으로 꾸미기 위해 책장을 배치했고요. 평소 제가 모아온 그릇들을 놓는 진열장으로도 쓸 수 있어서 매우 만족하는 공간입니다."
조명은 분위기에 따라 위치와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일 조명을 설치했더니 갤러리 느낌도 듭니다.
주방은 어느 휴양지의 멋진 식당에 온 듯합니다.
적당히 낡은 느낌의 소품과 다양한 무늬의 타일이 만들어낸 합작품인데요.
<인터뷰> 윤은설(아내) : "상부장을 없애고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독특한 타일 무늬를 부탁드렸고요. 벽지가 아니라서 이물질이 튀어도 닦기 편해서 좋은 것 같아요."
금색의 손잡이와 수전으로 포인트를 주니 주방이 번쩍번쩍합니다.
팬던트 조명이 멋을 더하죠.
식탁도 재미납니다.
똑같은 모양의 의자가 아닌 여러 디자인의 의자를 배치했습니다.
끝으로 안방, 또 다른 느낌입니다.
특히 커튼이 재밌습니다.
<인터뷰> 장상원(남편) : "이게 식탁보인데요. 이걸 창문 크기에 맞춰서 커튼을 만들어 달아봤어요. 그랬더니 아주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파란 벽 뒤엔 숨은 공간 있습니다.
침대 뒤로 가벽을 세우고 공간을 분리해, 옷 방을 만들었습니다.
가벽에는 선반과 옷걸이를 달아 자주 입는 옷과 소품을 진열했는데요.
상당히 실용적이죠~
공간별 다른 분위기로 꾸며 어느 방에 들어가든 새로운 느낌입니다.
잠시 머무는 것만으로도 휴식을 주는 집이 됐습니다.
정보충전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보충전] 거실은 카페, 주방은 휴양지
-
- 입력 2017-07-28 12:49:49
- 수정2017-07-28 12:58:42

<앵커 멘트>
하나의 컨셉으로 통일감 있게 집을 꾸밀 수도 있지만 공간마다 다른 느낌을 주면 어떨까요?
집은 하나지만 방마다 느낌이 다르니 지루할 틈이 없다는데요,
정보충전에서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 광진구의 아파트 단집니다.
우리가 늘 봐 온 아파트 외경인데 내부는 완벽하게 다른 집이 있습니다.
중문 열고 들어가니 카페 느낌 물씬 나는 거실 나오고, 주방은 타일이 특이합니다.
방도 휴양지에 온 느낌을 주는데요.
<인터뷰> 장상원(남편) : "저희 가족이 외국에서 10년을 살았는데 약간 이국적인 분위기와 편안한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습니다. 그리고 저희 아내가 그릇을 모으는 게 취미인데 이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죠."
거실부터 살펴봅니다.
넓지는 않은데, 시원하게 느껴집니다.
천장, 좀 독특하죠?
언뜻 보면 시공이 덜 끝난 것 같지만 시멘트와 배관을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노출천장'입니다.
<인터뷰> 이호곤(인테리어 디자이너) : "거실 공간이 생각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답답함을 최소화 하기 위해 천장을 노출된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천장을) 사선 구조 형태로 시공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공간을 연출하였습니다."
거실 벽 전면에는 대형 책장을 배치했습니다.
TV는 자연스레 옆으로 물러났습니다.
평소 가족들이 즐겨있는 책과 더불어 그릇과 소품을 진열하니, 인테리어에도 효과적입니다.
<인터뷰> 윤은설(아내) : "거실 자체를 가족이 책도 읽고 차를 마시는 공간으로 꾸미기 위해 책장을 배치했고요. 평소 제가 모아온 그릇들을 놓는 진열장으로도 쓸 수 있어서 매우 만족하는 공간입니다."
조명은 분위기에 따라 위치와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일 조명을 설치했더니 갤러리 느낌도 듭니다.
주방은 어느 휴양지의 멋진 식당에 온 듯합니다.
적당히 낡은 느낌의 소품과 다양한 무늬의 타일이 만들어낸 합작품인데요.
<인터뷰> 윤은설(아내) : "상부장을 없애고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독특한 타일 무늬를 부탁드렸고요. 벽지가 아니라서 이물질이 튀어도 닦기 편해서 좋은 것 같아요."
금색의 손잡이와 수전으로 포인트를 주니 주방이 번쩍번쩍합니다.
팬던트 조명이 멋을 더하죠.
식탁도 재미납니다.
똑같은 모양의 의자가 아닌 여러 디자인의 의자를 배치했습니다.
끝으로 안방, 또 다른 느낌입니다.
특히 커튼이 재밌습니다.
<인터뷰> 장상원(남편) : "이게 식탁보인데요. 이걸 창문 크기에 맞춰서 커튼을 만들어 달아봤어요. 그랬더니 아주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파란 벽 뒤엔 숨은 공간 있습니다.
침대 뒤로 가벽을 세우고 공간을 분리해, 옷 방을 만들었습니다.
가벽에는 선반과 옷걸이를 달아 자주 입는 옷과 소품을 진열했는데요.
상당히 실용적이죠~
공간별 다른 분위기로 꾸며 어느 방에 들어가든 새로운 느낌입니다.
잠시 머무는 것만으로도 휴식을 주는 집이 됐습니다.
정보충전이었습니다.
하나의 컨셉으로 통일감 있게 집을 꾸밀 수도 있지만 공간마다 다른 느낌을 주면 어떨까요?
집은 하나지만 방마다 느낌이 다르니 지루할 틈이 없다는데요,
정보충전에서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 광진구의 아파트 단집니다.
우리가 늘 봐 온 아파트 외경인데 내부는 완벽하게 다른 집이 있습니다.
중문 열고 들어가니 카페 느낌 물씬 나는 거실 나오고, 주방은 타일이 특이합니다.
방도 휴양지에 온 느낌을 주는데요.
<인터뷰> 장상원(남편) : "저희 가족이 외국에서 10년을 살았는데 약간 이국적인 분위기와 편안한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습니다. 그리고 저희 아내가 그릇을 모으는 게 취미인데 이 부분을 인테리어에 접목시켜달라고 부탁드렸죠."
거실부터 살펴봅니다.
넓지는 않은데, 시원하게 느껴집니다.
천장, 좀 독특하죠?
언뜻 보면 시공이 덜 끝난 것 같지만 시멘트와 배관을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노출천장'입니다.
<인터뷰> 이호곤(인테리어 디자이너) : "거실 공간이 생각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답답함을 최소화 하기 위해 천장을 노출된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천장을) 사선 구조 형태로 시공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공간을 연출하였습니다."
거실 벽 전면에는 대형 책장을 배치했습니다.
TV는 자연스레 옆으로 물러났습니다.
평소 가족들이 즐겨있는 책과 더불어 그릇과 소품을 진열하니, 인테리어에도 효과적입니다.
<인터뷰> 윤은설(아내) : "거실 자체를 가족이 책도 읽고 차를 마시는 공간으로 꾸미기 위해 책장을 배치했고요. 평소 제가 모아온 그릇들을 놓는 진열장으로도 쓸 수 있어서 매우 만족하는 공간입니다."
조명은 분위기에 따라 위치와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일 조명을 설치했더니 갤러리 느낌도 듭니다.
주방은 어느 휴양지의 멋진 식당에 온 듯합니다.
적당히 낡은 느낌의 소품과 다양한 무늬의 타일이 만들어낸 합작품인데요.
<인터뷰> 윤은설(아내) : "상부장을 없애고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독특한 타일 무늬를 부탁드렸고요. 벽지가 아니라서 이물질이 튀어도 닦기 편해서 좋은 것 같아요."
금색의 손잡이와 수전으로 포인트를 주니 주방이 번쩍번쩍합니다.
팬던트 조명이 멋을 더하죠.
식탁도 재미납니다.
똑같은 모양의 의자가 아닌 여러 디자인의 의자를 배치했습니다.
끝으로 안방, 또 다른 느낌입니다.
특히 커튼이 재밌습니다.
<인터뷰> 장상원(남편) : "이게 식탁보인데요. 이걸 창문 크기에 맞춰서 커튼을 만들어 달아봤어요. 그랬더니 아주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파란 벽 뒤엔 숨은 공간 있습니다.
침대 뒤로 가벽을 세우고 공간을 분리해, 옷 방을 만들었습니다.
가벽에는 선반과 옷걸이를 달아 자주 입는 옷과 소품을 진열했는데요.
상당히 실용적이죠~
공간별 다른 분위기로 꾸며 어느 방에 들어가든 새로운 느낌입니다.
잠시 머무는 것만으로도 휴식을 주는 집이 됐습니다.
정보충전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