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불안감’ 확산…식약처, 공장 현장조사

입력 2017.08.24 (19:06) 수정 2017.08.24 (1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생리대 제품의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성분표시 등 안전성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집단소송에 나서겠다는 소비자도 8천 명을 넘어섰는데요.

정부도 제조업체 현장조사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최진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릴리안' 생리대의 안전성 논란이 생리대 제품 전반에 대한 불안감으로 확산되면서 안전성 강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여성환경연대는 오늘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릴리안 제품을 사용한 뒤 생리불순 등 부작용을 겪었다는 소비자 제보 3천여 건의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또, 생리대에 포함된 모든 화학물질 성분을 표시하고, 위해성 검사도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녹취>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 : "여성들만의 사소하고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돼서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책임있는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기를 바랍니다."

제조사를 대상으로 집단소송을 진행하겠다는 소비자도 8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제조사 측이 다음 주부터 모든 판매제품을 환불해 주겠다고 밝힌 가운데, 대형마트 3사를 비롯해 대부분 편의점들은 해당 제품을 매장에서 철수시킨 상탭니다.

논란이 확산되자 식약처는 오늘부터, 생리대 제조업체 5곳에 대해 현장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또, 53개 품목에 대해 이달 중 먼저, 정기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내년까지는 각 제품별 유해성분 검출량과 위해성을 평가해 발표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리대 ‘불안감’ 확산…식약처, 공장 현장조사
    • 입력 2017-08-24 19:08:00
    • 수정2017-08-24 19:55:24
    뉴스 7
<앵커 멘트>

생리대 제품의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성분표시 등 안전성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집단소송에 나서겠다는 소비자도 8천 명을 넘어섰는데요.

정부도 제조업체 현장조사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최진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릴리안' 생리대의 안전성 논란이 생리대 제품 전반에 대한 불안감으로 확산되면서 안전성 강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여성환경연대는 오늘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릴리안 제품을 사용한 뒤 생리불순 등 부작용을 겪었다는 소비자 제보 3천여 건의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또, 생리대에 포함된 모든 화학물질 성분을 표시하고, 위해성 검사도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녹취> 이안소영(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 : "여성들만의 사소하고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돼서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책임있는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기를 바랍니다."

제조사를 대상으로 집단소송을 진행하겠다는 소비자도 8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제조사 측이 다음 주부터 모든 판매제품을 환불해 주겠다고 밝힌 가운데, 대형마트 3사를 비롯해 대부분 편의점들은 해당 제품을 매장에서 철수시킨 상탭니다.

논란이 확산되자 식약처는 오늘부터, 생리대 제조업체 5곳에 대해 현장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또, 53개 품목에 대해 이달 중 먼저, 정기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내년까지는 각 제품별 유해성분 검출량과 위해성을 평가해 발표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진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