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국방력 강화 차원 원칙적 합의”
입력 2017.09.06 (21:10)
수정 2017.09.06 (21: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국에 첨단무기를 대량으로 판매하기로 했다는 이같은 미국측 입장에 대해, 청와대는 일단, '원칙적 합의'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무기 도입 협의에 나서기로 한 사실 자체는 인정했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와대 측은 지난 4일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 통화에서 무기 도입에 관한 구체적인 협의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북핵 위협 상황에서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 무기와 기술을 도입하는 협의를 해 나가자는 원칙적 합의는 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언급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군과 방산업계에선, 일단 예산이 부족해 당초 60대에서 40대만 구입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뀐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추가 구입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탄도미사일 요격 무기인 PAC-3 도입이나, 미사일 방어 범위 확대를 위한 사드 포대 추가 도입 역시 검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기술 유출 등을 우려해 동맹국과의 거래까지 자제해 온 최첨단 무기 판매도 고려될 수 있다고 예측합니다.
<녹취>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 : "전략적 성격의 자산들, 그래서 미국이 해외에 잘 팔지 않던 이런 자산들을 포함해서얘기를 하는 부분이 아닌가, 그렇게 되면 한미 간의 이해가 맞을 수가 있거든요."
일각에선 트럼프 미 대통령이 우리 군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 해제를 계기로, 미국산 무기 판매 압박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내놓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한국에 첨단무기를 대량으로 판매하기로 했다는 이같은 미국측 입장에 대해, 청와대는 일단, '원칙적 합의'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무기 도입 협의에 나서기로 한 사실 자체는 인정했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와대 측은 지난 4일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 통화에서 무기 도입에 관한 구체적인 협의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북핵 위협 상황에서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 무기와 기술을 도입하는 협의를 해 나가자는 원칙적 합의는 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언급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군과 방산업계에선, 일단 예산이 부족해 당초 60대에서 40대만 구입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뀐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추가 구입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탄도미사일 요격 무기인 PAC-3 도입이나, 미사일 방어 범위 확대를 위한 사드 포대 추가 도입 역시 검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기술 유출 등을 우려해 동맹국과의 거래까지 자제해 온 최첨단 무기 판매도 고려될 수 있다고 예측합니다.
<녹취>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 : "전략적 성격의 자산들, 그래서 미국이 해외에 잘 팔지 않던 이런 자산들을 포함해서얘기를 하는 부분이 아닌가, 그렇게 되면 한미 간의 이해가 맞을 수가 있거든요."
일각에선 트럼프 미 대통령이 우리 군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 해제를 계기로, 미국산 무기 판매 압박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내놓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靑 “국방력 강화 차원 원칙적 합의”
-
- 입력 2017-09-06 21:12:25
- 수정2017-09-06 21:17:57

<앵커 멘트>
한국에 첨단무기를 대량으로 판매하기로 했다는 이같은 미국측 입장에 대해, 청와대는 일단, '원칙적 합의'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무기 도입 협의에 나서기로 한 사실 자체는 인정했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와대 측은 지난 4일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 통화에서 무기 도입에 관한 구체적인 협의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북핵 위협 상황에서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 무기와 기술을 도입하는 협의를 해 나가자는 원칙적 합의는 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언급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군과 방산업계에선, 일단 예산이 부족해 당초 60대에서 40대만 구입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뀐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추가 구입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탄도미사일 요격 무기인 PAC-3 도입이나, 미사일 방어 범위 확대를 위한 사드 포대 추가 도입 역시 검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기술 유출 등을 우려해 동맹국과의 거래까지 자제해 온 최첨단 무기 판매도 고려될 수 있다고 예측합니다.
<녹취>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 : "전략적 성격의 자산들, 그래서 미국이 해외에 잘 팔지 않던 이런 자산들을 포함해서얘기를 하는 부분이 아닌가, 그렇게 되면 한미 간의 이해가 맞을 수가 있거든요."
일각에선 트럼프 미 대통령이 우리 군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 해제를 계기로, 미국산 무기 판매 압박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내놓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한국에 첨단무기를 대량으로 판매하기로 했다는 이같은 미국측 입장에 대해, 청와대는 일단, '원칙적 합의'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무기 도입 협의에 나서기로 한 사실 자체는 인정했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청와대 측은 지난 4일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 통화에서 무기 도입에 관한 구체적인 협의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북핵 위협 상황에서 국방력 강화를 위해 미국산 첨단 무기와 기술을 도입하는 협의를 해 나가자는 원칙적 합의는 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언급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군과 방산업계에선, 일단 예산이 부족해 당초 60대에서 40대만 구입하는 것으로 계획이 바뀐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추가 구입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탄도미사일 요격 무기인 PAC-3 도입이나, 미사일 방어 범위 확대를 위한 사드 포대 추가 도입 역시 검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기술 유출 등을 우려해 동맹국과의 거래까지 자제해 온 최첨단 무기 판매도 고려될 수 있다고 예측합니다.
<녹취>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 : "전략적 성격의 자산들, 그래서 미국이 해외에 잘 팔지 않던 이런 자산들을 포함해서얘기를 하는 부분이 아닌가, 그렇게 되면 한미 간의 이해가 맞을 수가 있거든요."
일각에선 트럼프 미 대통령이 우리 군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 해제를 계기로, 미국산 무기 판매 압박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내놓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
남승우 기자 futurist@kbs.co.kr
남승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한 6차 핵실험 이어 미사일 발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