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 4년여 만에 최저…청년실업률은 18년 만에 최고
입력 2017.09.13 (19:02)
수정 2017.09.13 (1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고용 시장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4년여 만에 가장 적었고, 청년실업률은 1999년 이후 가장 높아졌습니다.
보도에 임승창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8월 취업자 수는 2천674만 명으로 지난해 8월보다 21만 2천 명 늘었습니다.
2013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취업자 수는 올해 2월부터 6개월 연속 30만 명 넘게 늘었지만. 다시 20만 명 대로 증가 폭이 축소됐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둔화됐고, 숙박·음식업과 운수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습니다.
특히 건설업의 고용 둔화가 두드려졌습니다.
올해 들어 매달 10만 명 수준이었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폭 이 3만 명 대로 축소됐습니다.
통계청은 조사 대상 주간에 거의 매일 비가 와 일용직 증가 폭이 크게 둔화한데다 건설업 취업자 증가 폭이 하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체 실업률은 3.6%로 지난해 8월과 같았습니다.
문제는 청년실업률입니다.
8월 청년실업률은 9.4%로 0.1%p 높아졌습니다.
IMF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 8월의 10.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청년층 체감실업률도 22.5%로 1년 전보다 1.0%p 상승했습니다.
취업 준비생은 69만 5천 명, 구직 단념자는 48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보두 6만 명가량 늘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고용 시장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4년여 만에 가장 적었고, 청년실업률은 1999년 이후 가장 높아졌습니다.
보도에 임승창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8월 취업자 수는 2천674만 명으로 지난해 8월보다 21만 2천 명 늘었습니다.
2013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취업자 수는 올해 2월부터 6개월 연속 30만 명 넘게 늘었지만. 다시 20만 명 대로 증가 폭이 축소됐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둔화됐고, 숙박·음식업과 운수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습니다.
특히 건설업의 고용 둔화가 두드려졌습니다.
올해 들어 매달 10만 명 수준이었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폭 이 3만 명 대로 축소됐습니다.
통계청은 조사 대상 주간에 거의 매일 비가 와 일용직 증가 폭이 크게 둔화한데다 건설업 취업자 증가 폭이 하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체 실업률은 3.6%로 지난해 8월과 같았습니다.
문제는 청년실업률입니다.
8월 청년실업률은 9.4%로 0.1%p 높아졌습니다.
IMF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 8월의 10.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청년층 체감실업률도 22.5%로 1년 전보다 1.0%p 상승했습니다.
취업 준비생은 69만 5천 명, 구직 단념자는 48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보두 6만 명가량 늘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업자 증가 4년여 만에 최저…청년실업률은 18년 만에 최고
-
- 입력 2017-09-13 19:06:20
- 수정2017-09-13 19:08:56

<앵커 멘트>
고용 시장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4년여 만에 가장 적었고, 청년실업률은 1999년 이후 가장 높아졌습니다.
보도에 임승창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8월 취업자 수는 2천674만 명으로 지난해 8월보다 21만 2천 명 늘었습니다.
2013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취업자 수는 올해 2월부터 6개월 연속 30만 명 넘게 늘었지만. 다시 20만 명 대로 증가 폭이 축소됐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둔화됐고, 숙박·음식업과 운수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습니다.
특히 건설업의 고용 둔화가 두드려졌습니다.
올해 들어 매달 10만 명 수준이었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폭 이 3만 명 대로 축소됐습니다.
통계청은 조사 대상 주간에 거의 매일 비가 와 일용직 증가 폭이 크게 둔화한데다 건설업 취업자 증가 폭이 하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체 실업률은 3.6%로 지난해 8월과 같았습니다.
문제는 청년실업률입니다.
8월 청년실업률은 9.4%로 0.1%p 높아졌습니다.
IMF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 8월의 10.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청년층 체감실업률도 22.5%로 1년 전보다 1.0%p 상승했습니다.
취업 준비생은 69만 5천 명, 구직 단념자는 48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보두 6만 명가량 늘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고용 시장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4년여 만에 가장 적었고, 청년실업률은 1999년 이후 가장 높아졌습니다.
보도에 임승창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8월 취업자 수는 2천674만 명으로 지난해 8월보다 21만 2천 명 늘었습니다.
2013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취업자 수는 올해 2월부터 6개월 연속 30만 명 넘게 늘었지만. 다시 20만 명 대로 증가 폭이 축소됐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둔화됐고, 숙박·음식업과 운수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습니다.
특히 건설업의 고용 둔화가 두드려졌습니다.
올해 들어 매달 10만 명 수준이었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폭 이 3만 명 대로 축소됐습니다.
통계청은 조사 대상 주간에 거의 매일 비가 와 일용직 증가 폭이 크게 둔화한데다 건설업 취업자 증가 폭이 하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체 실업률은 3.6%로 지난해 8월과 같았습니다.
문제는 청년실업률입니다.
8월 청년실업률은 9.4%로 0.1%p 높아졌습니다.
IMF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 8월의 10.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청년층 체감실업률도 22.5%로 1년 전보다 1.0%p 상승했습니다.
취업 준비생은 69만 5천 명, 구직 단념자는 48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보두 6만 명가량 늘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