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 장비 부족으로 복구 차질
입력 2002.09.0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면 복구가 한창인 곳은 또 장비와 자재가 모자라서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원종진 기자입니다.
⊙기자: 끊긴 도로를 잇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이처럼 오늘도 영동지역에는 군장병 등 3만여 명과 중장비 1000여 대가 응급 복구에 긴급 투입됐습니다.
그러나 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 등 16곳은 여전히 끊어진 그대로입니다.
산간마을 30여 곳은 진입로 복구가 늦어져 고립 엿새째를 맞고 있습니다.
수해지역은 넓은데 굴착기와 트럭 등 복구장비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최승시(강릉시 왕산면 사무소): 정상적으로 투입이 된다면 일주일 내로 응급복구가 가능도 하지만 이렇게 장비가 부족하면 2주일 후에도 응급복구가 불가능하다고 봐야 되겠죠.
⊙기자: 선로 복구는 더욱 더뎌 영동선을 완전 복구하는 데만 반년 가까이 걸릴 전망입니다.
수해 쓰레기도 치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강릉에서만 하루 70여 대의 청소차가 투입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전체 쓰레기의 20%만 치우는 데 그쳤습니다.
⊙김형순(강릉시 노암동): 냄새가, 썩은 내가 나고 기름 냄새가 나고, 똥냄새가 나고 그런 것은 말할 수도 없어요
⊙기자: 그나마 있는 중장비도 도로와 교량 등 공공시설물 복구에 집중 투입되면서 주택과 농경지 복구는 엄두를 못 내고 있습니다.
더구나 복구작업에 필요한 시멘트와 철근 등 자재의 수급도 차질이 우려돼 영동지역의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원종진입니다.
계속해서 원종진 기자입니다.
⊙기자: 끊긴 도로를 잇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이처럼 오늘도 영동지역에는 군장병 등 3만여 명과 중장비 1000여 대가 응급 복구에 긴급 투입됐습니다.
그러나 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 등 16곳은 여전히 끊어진 그대로입니다.
산간마을 30여 곳은 진입로 복구가 늦어져 고립 엿새째를 맞고 있습니다.
수해지역은 넓은데 굴착기와 트럭 등 복구장비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최승시(강릉시 왕산면 사무소): 정상적으로 투입이 된다면 일주일 내로 응급복구가 가능도 하지만 이렇게 장비가 부족하면 2주일 후에도 응급복구가 불가능하다고 봐야 되겠죠.
⊙기자: 선로 복구는 더욱 더뎌 영동선을 완전 복구하는 데만 반년 가까이 걸릴 전망입니다.
수해 쓰레기도 치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강릉에서만 하루 70여 대의 청소차가 투입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전체 쓰레기의 20%만 치우는 데 그쳤습니다.
⊙김형순(강릉시 노암동): 냄새가, 썩은 내가 나고 기름 냄새가 나고, 똥냄새가 나고 그런 것은 말할 수도 없어요
⊙기자: 그나마 있는 중장비도 도로와 교량 등 공공시설물 복구에 집중 투입되면서 주택과 농경지 복구는 엄두를 못 내고 있습니다.
더구나 복구작업에 필요한 시멘트와 철근 등 자재의 수급도 차질이 우려돼 영동지역의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원종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재, 장비 부족으로 복구 차질
-
- 입력 2002-09-0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반면 복구가 한창인 곳은 또 장비와 자재가 모자라서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원종진 기자입니다.
⊙기자: 끊긴 도로를 잇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이처럼 오늘도 영동지역에는 군장병 등 3만여 명과 중장비 1000여 대가 응급 복구에 긴급 투입됐습니다.
그러나 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 등 16곳은 여전히 끊어진 그대로입니다.
산간마을 30여 곳은 진입로 복구가 늦어져 고립 엿새째를 맞고 있습니다.
수해지역은 넓은데 굴착기와 트럭 등 복구장비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최승시(강릉시 왕산면 사무소): 정상적으로 투입이 된다면 일주일 내로 응급복구가 가능도 하지만 이렇게 장비가 부족하면 2주일 후에도 응급복구가 불가능하다고 봐야 되겠죠.
⊙기자: 선로 복구는 더욱 더뎌 영동선을 완전 복구하는 데만 반년 가까이 걸릴 전망입니다.
수해 쓰레기도 치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강릉에서만 하루 70여 대의 청소차가 투입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전체 쓰레기의 20%만 치우는 데 그쳤습니다.
⊙김형순(강릉시 노암동): 냄새가, 썩은 내가 나고 기름 냄새가 나고, 똥냄새가 나고 그런 것은 말할 수도 없어요
⊙기자: 그나마 있는 중장비도 도로와 교량 등 공공시설물 복구에 집중 투입되면서 주택과 농경지 복구는 엄두를 못 내고 있습니다.
더구나 복구작업에 필요한 시멘트와 철근 등 자재의 수급도 차질이 우려돼 영동지역의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원종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