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캘리포니아 산사태 17명 사망…구조 ‘난항’
입력 2018.01.11 (19:18)
수정 2018.01.11 (19: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에 산불 피해가 컸던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산사태 피해가 겹쳤는데요,
이틀 만에 희생자가 17명으로 늘었습니다.
지금도 필사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인명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사태 피해 지역의 구조작업에 미국 해안경비대까지 투입됐습니다.
진흙더미에 묻힌 주택에서 어린아이와 아이 엄마를 지붕을 통해 구해내, 어렵사리 공중에 떠 있는 헬기에 태웁니다.
[마이크 엘리어슨/샌타바버라 카운티 대변인 : "밤새도록 집안에 갇혀 있던 14살 소녀를 발견했습니다. 구조대가 두 시간 만에 집 안에 들어가서 소녀를 구해 냈습니다."]
새벽 기습적인 폭우에 흙더미와 바위, 산불에 타고 남은 잔해가 쏟아져 내려왔습니다.
일부 주민들에겐 미처 대피할 틈도 없었습니다.
[다이앤 브루어/주민 : "제 친구를 찾지 못했어요. 그녀의 남자친구는 휩쓸려 갔고 그녀는 현관문을 붙잡고 있는 걸 봤는데 말이죠."]
지난달 대형 산불이 휩쓸고 간 지역이어서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풀이 다 타버려 산사태 피해가 더 커졌습니다.
지금까지 최소 17명이 숨졌고, 로메로 캐년 지역에서만 3백여 명이 갇힌 것으로 추정됩니다.
헬기를 동원한 필사의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인명피해가 늘어날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지난달에 산불 피해가 컸던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산사태 피해가 겹쳤는데요,
이틀 만에 희생자가 17명으로 늘었습니다.
지금도 필사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인명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사태 피해 지역의 구조작업에 미국 해안경비대까지 투입됐습니다.
진흙더미에 묻힌 주택에서 어린아이와 아이 엄마를 지붕을 통해 구해내, 어렵사리 공중에 떠 있는 헬기에 태웁니다.
[마이크 엘리어슨/샌타바버라 카운티 대변인 : "밤새도록 집안에 갇혀 있던 14살 소녀를 발견했습니다. 구조대가 두 시간 만에 집 안에 들어가서 소녀를 구해 냈습니다."]
새벽 기습적인 폭우에 흙더미와 바위, 산불에 타고 남은 잔해가 쏟아져 내려왔습니다.
일부 주민들에겐 미처 대피할 틈도 없었습니다.
[다이앤 브루어/주민 : "제 친구를 찾지 못했어요. 그녀의 남자친구는 휩쓸려 갔고 그녀는 현관문을 붙잡고 있는 걸 봤는데 말이죠."]
지난달 대형 산불이 휩쓸고 간 지역이어서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풀이 다 타버려 산사태 피해가 더 커졌습니다.
지금까지 최소 17명이 숨졌고, 로메로 캐년 지역에서만 3백여 명이 갇힌 것으로 추정됩니다.
헬기를 동원한 필사의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인명피해가 늘어날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캘리포니아 산사태 17명 사망…구조 ‘난항’
-
- 입력 2018-01-11 19:24:11
- 수정2018-01-11 19:38:33

[앵커]
지난달에 산불 피해가 컸던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산사태 피해가 겹쳤는데요,
이틀 만에 희생자가 17명으로 늘었습니다.
지금도 필사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인명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사태 피해 지역의 구조작업에 미국 해안경비대까지 투입됐습니다.
진흙더미에 묻힌 주택에서 어린아이와 아이 엄마를 지붕을 통해 구해내, 어렵사리 공중에 떠 있는 헬기에 태웁니다.
[마이크 엘리어슨/샌타바버라 카운티 대변인 : "밤새도록 집안에 갇혀 있던 14살 소녀를 발견했습니다. 구조대가 두 시간 만에 집 안에 들어가서 소녀를 구해 냈습니다."]
새벽 기습적인 폭우에 흙더미와 바위, 산불에 타고 남은 잔해가 쏟아져 내려왔습니다.
일부 주민들에겐 미처 대피할 틈도 없었습니다.
[다이앤 브루어/주민 : "제 친구를 찾지 못했어요. 그녀의 남자친구는 휩쓸려 갔고 그녀는 현관문을 붙잡고 있는 걸 봤는데 말이죠."]
지난달 대형 산불이 휩쓸고 간 지역이어서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풀이 다 타버려 산사태 피해가 더 커졌습니다.
지금까지 최소 17명이 숨졌고, 로메로 캐년 지역에서만 3백여 명이 갇힌 것으로 추정됩니다.
헬기를 동원한 필사의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인명피해가 늘어날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지난달에 산불 피해가 컸던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산사태 피해가 겹쳤는데요,
이틀 만에 희생자가 17명으로 늘었습니다.
지금도 필사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인명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사태 피해 지역의 구조작업에 미국 해안경비대까지 투입됐습니다.
진흙더미에 묻힌 주택에서 어린아이와 아이 엄마를 지붕을 통해 구해내, 어렵사리 공중에 떠 있는 헬기에 태웁니다.
[마이크 엘리어슨/샌타바버라 카운티 대변인 : "밤새도록 집안에 갇혀 있던 14살 소녀를 발견했습니다. 구조대가 두 시간 만에 집 안에 들어가서 소녀를 구해 냈습니다."]
새벽 기습적인 폭우에 흙더미와 바위, 산불에 타고 남은 잔해가 쏟아져 내려왔습니다.
일부 주민들에겐 미처 대피할 틈도 없었습니다.
[다이앤 브루어/주민 : "제 친구를 찾지 못했어요. 그녀의 남자친구는 휩쓸려 갔고 그녀는 현관문을 붙잡고 있는 걸 봤는데 말이죠."]
지난달 대형 산불이 휩쓸고 간 지역이어서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풀이 다 타버려 산사태 피해가 더 커졌습니다.
지금까지 최소 17명이 숨졌고, 로메로 캐년 지역에서만 3백여 명이 갇힌 것으로 추정됩니다.
헬기를 동원한 필사의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인명피해가 늘어날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
-
최동혁 기자 vivadong@kbs.co.kr
최동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