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상에 손 묶인 환자들…“결박 푸느라 구조 지체”
입력 2018.01.27 (21:10)
수정 2018.01.27 (21: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급속히 번진 유독성 가스를 마시고 쓰러져간 희생자 대부분은 고령자와 거동이 어려운 환자들이었습니다.
안그래도 스스로 대피하기가 어려운 조건이었는데, 일부 환자들은 침대에 결박된 채 구조를 기다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차주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령의 환자가 많아 인명 피해가 컸던 밀양 화재.
3층 중환자실 환자 10여 명은 소방대원이 진입할 때까지 병상에 한쪽 손목이 묶여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재현/밀양소방서 구조대장 : "(3층 중환자실에서) 서너 명 제외한 나머지는 한쪽 손이 결박돼 있었고요. 결박을 푼다고 구조하는 데 지체된 게 사실입니다."]
의료법 시행규칙에 자해나 낙상 등을 막기 위해 환자 손목을 침대에 묶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불이 난 뒤에는 대피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을 오히려 지연시킨 겁니다.
[밀양 화재 희생자 유족(음성변조) : "주삿바늘을 자꾸 빼려고 해서 손도 묶어둔 상태에서 (입원 치료했어요.) 소방관들이 모시고 나와서 밖에서 만났어요. 의식이 없는 상태였고 병원 가서 심폐소생술 30분하고 돌아가셨어요."]
경찰은 화재 당시 10여 명의 환자가 묶여 있었다는 간호사의 진술을 확보하는 한편 병원 측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급속히 번진 유독성 가스를 마시고 쓰러져간 희생자 대부분은 고령자와 거동이 어려운 환자들이었습니다.
안그래도 스스로 대피하기가 어려운 조건이었는데, 일부 환자들은 침대에 결박된 채 구조를 기다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차주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령의 환자가 많아 인명 피해가 컸던 밀양 화재.
3층 중환자실 환자 10여 명은 소방대원이 진입할 때까지 병상에 한쪽 손목이 묶여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재현/밀양소방서 구조대장 : "(3층 중환자실에서) 서너 명 제외한 나머지는 한쪽 손이 결박돼 있었고요. 결박을 푼다고 구조하는 데 지체된 게 사실입니다."]
의료법 시행규칙에 자해나 낙상 등을 막기 위해 환자 손목을 침대에 묶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불이 난 뒤에는 대피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을 오히려 지연시킨 겁니다.
[밀양 화재 희생자 유족(음성변조) : "주삿바늘을 자꾸 빼려고 해서 손도 묶어둔 상태에서 (입원 치료했어요.) 소방관들이 모시고 나와서 밖에서 만났어요. 의식이 없는 상태였고 병원 가서 심폐소생술 30분하고 돌아가셨어요."]
경찰은 화재 당시 10여 명의 환자가 묶여 있었다는 간호사의 진술을 확보하는 한편 병원 측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침상에 손 묶인 환자들…“결박 푸느라 구조 지체”
-
- 입력 2018-01-27 21:11:38
- 수정2018-01-27 21:19:33

[앵커]
급속히 번진 유독성 가스를 마시고 쓰러져간 희생자 대부분은 고령자와 거동이 어려운 환자들이었습니다.
안그래도 스스로 대피하기가 어려운 조건이었는데, 일부 환자들은 침대에 결박된 채 구조를 기다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차주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령의 환자가 많아 인명 피해가 컸던 밀양 화재.
3층 중환자실 환자 10여 명은 소방대원이 진입할 때까지 병상에 한쪽 손목이 묶여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재현/밀양소방서 구조대장 : "(3층 중환자실에서) 서너 명 제외한 나머지는 한쪽 손이 결박돼 있었고요. 결박을 푼다고 구조하는 데 지체된 게 사실입니다."]
의료법 시행규칙에 자해나 낙상 등을 막기 위해 환자 손목을 침대에 묶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불이 난 뒤에는 대피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을 오히려 지연시킨 겁니다.
[밀양 화재 희생자 유족(음성변조) : "주삿바늘을 자꾸 빼려고 해서 손도 묶어둔 상태에서 (입원 치료했어요.) 소방관들이 모시고 나와서 밖에서 만났어요. 의식이 없는 상태였고 병원 가서 심폐소생술 30분하고 돌아가셨어요."]
경찰은 화재 당시 10여 명의 환자가 묶여 있었다는 간호사의 진술을 확보하는 한편 병원 측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급속히 번진 유독성 가스를 마시고 쓰러져간 희생자 대부분은 고령자와 거동이 어려운 환자들이었습니다.
안그래도 스스로 대피하기가 어려운 조건이었는데, 일부 환자들은 침대에 결박된 채 구조를 기다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차주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령의 환자가 많아 인명 피해가 컸던 밀양 화재.
3층 중환자실 환자 10여 명은 소방대원이 진입할 때까지 병상에 한쪽 손목이 묶여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재현/밀양소방서 구조대장 : "(3층 중환자실에서) 서너 명 제외한 나머지는 한쪽 손이 결박돼 있었고요. 결박을 푼다고 구조하는 데 지체된 게 사실입니다."]
의료법 시행규칙에 자해나 낙상 등을 막기 위해 환자 손목을 침대에 묶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불이 난 뒤에는 대피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을 오히려 지연시킨 겁니다.
[밀양 화재 희생자 유족(음성변조) : "주삿바늘을 자꾸 빼려고 해서 손도 묶어둔 상태에서 (입원 치료했어요.) 소방관들이 모시고 나와서 밖에서 만났어요. 의식이 없는 상태였고 병원 가서 심폐소생술 30분하고 돌아가셨어요."]
경찰은 화재 당시 10여 명의 환자가 묶여 있었다는 간호사의 진술을 확보하는 한편 병원 측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
-
차주하 기자 chask@kbs.co.kr
차주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