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입장권 많이 팔렸지만…‘노쇼’ 우려

입력 2018.03.09 (22:41) 수정 2018.03.09 (22: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패럴림픽은 입장권 판매율도 높아 흥행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체 구매를 통해 배부된 입장권이 많아서, 경기장에 관중이 오지 않는 이른바 '노쇼' 현상도 우려됩니다.

보도에 강규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평창패럴림픽 개회식장이 3만 5천 관중으로 가득 찼습니다.

열흘 동안 이어질 종목별 입장권 판매율도 82%를 넘어섰습니다.

컬링의 인기로 관심이 더해진 휠체어 컬링은 입장권 구하기가 어려운 수준입니다.

평창조직위는 애초 판매계획에 없던 관계자석까지 일부 일반석으로 전환했습니다.

[박혜윤/평창패럴림픽 자원봉사자 : "올림픽 때 경기를 못 봤으니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니까, 이번 기회에 와서 경기 구경하겠다(는 분들이 주변에 많습니다)."]

다만 입장권을 구하고도 경기장을 찾지 않는 이른바 '노쇼'가 걱정입니다.

자치단체 등이 단체구매해 무료로 나눠준 입장권이 판매된 입장권의 80%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평창올림픽도 단체구매 관람객이 경기장에 오지 않거나 일찍 자리를 뜨는 경우가 잦아 논란을 빚었습니다.

[성백유/평창조직위 대변인 : "역경을 이겨내면서 도전하는 패럴림픽 선수들을 격려하는 것, 거기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이 오셔서…."]

패럴림픽 기간 경기장 주변 등 개최지역에서는 올림픽 때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문화행사가 펼쳐집니다.

또 단체구매 관중이 경기장에 가지 못하는 경우 추가 입장권 발행도 적극 검토되고 있어, '노쇼' 방지에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강규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패럴림픽 입장권 많이 팔렸지만…‘노쇼’ 우려
    • 입력 2018-03-09 22:43:39
    • 수정2018-03-09 22:51:00
    뉴스 9
[앵커]

이번 패럴림픽은 입장권 판매율도 높아 흥행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체 구매를 통해 배부된 입장권이 많아서, 경기장에 관중이 오지 않는 이른바 '노쇼' 현상도 우려됩니다.

보도에 강규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평창패럴림픽 개회식장이 3만 5천 관중으로 가득 찼습니다.

열흘 동안 이어질 종목별 입장권 판매율도 82%를 넘어섰습니다.

컬링의 인기로 관심이 더해진 휠체어 컬링은 입장권 구하기가 어려운 수준입니다.

평창조직위는 애초 판매계획에 없던 관계자석까지 일부 일반석으로 전환했습니다.

[박혜윤/평창패럴림픽 자원봉사자 : "올림픽 때 경기를 못 봤으니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니까, 이번 기회에 와서 경기 구경하겠다(는 분들이 주변에 많습니다)."]

다만 입장권을 구하고도 경기장을 찾지 않는 이른바 '노쇼'가 걱정입니다.

자치단체 등이 단체구매해 무료로 나눠준 입장권이 판매된 입장권의 80%에 이르기 때문입니다.

평창올림픽도 단체구매 관람객이 경기장에 오지 않거나 일찍 자리를 뜨는 경우가 잦아 논란을 빚었습니다.

[성백유/평창조직위 대변인 : "역경을 이겨내면서 도전하는 패럴림픽 선수들을 격려하는 것, 거기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이 오셔서…."]

패럴림픽 기간 경기장 주변 등 개최지역에서는 올림픽 때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문화행사가 펼쳐집니다.

또 단체구매 관중이 경기장에 가지 못하는 경우 추가 입장권 발행도 적극 검토되고 있어, '노쇼' 방지에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강규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