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①] “조 씨 자매, 9년간 주 2~3회 조직적 밀반입”

입력 2018.05.03 (21:22) 수정 2018.05.03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양호 회장 일가의 밀수 혐의를 입증하는 내부 직원들 제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오늘(3일)은 조현민 전무 자매가 지난 9년 동안 상습적으로 밀수에 직접 관여했다는 폭로가 또 나왔습니다.

신선민 기자입니다.

[연관 기사] [대한항공②] “윗선에서 증거인멸 지시…메일 다 지웠다”

[리포트]

10년 가까이 한진그룹 계열사의 해외지점에서 일한 A 씨는 재직 내내 특별한 업무에 동원됐습니다.

일주일에 두세 번 꼴로 조현아, 현민 자매의 물품을 한국으로 전달하는 일입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평균적으로 한 4~5박스 보시면 돼요. 크기는 어떨 때는 엄청 크고 어떨 때는 정말 무겁고.."]

조 씨 자매가 온라인을 통해 산 물품을 해외 지점에서 대신 받아, 대한항공 여객기를 통해 한국에 보냈다는 게 A 씨의 주장입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전 직원이 알아요. 그 물품은 조현아, 조현민 아이템이라는 걸... 되게 민감한 거라 박스라도 뜯게 되면 정말 난리가 나요."]

그리고 이런 물품들이 인천 공항 통관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이었다고도 말합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한국 쪽으로 세금을 안 내고 밀반입을 하는 거죠. 저는 그렇게만 알고 있어요."]

밀반입은 한진 일가에 대한 여론을 의식해 치밀하게 이뤄졌고,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땅콩회항 전에 그때는 DDA(조현아)라고 표기가 됐죠. 땅콩회항 이후부터는 ○○○과장한테 물품들이 전달이 된 거죠."]

해외 지점장까지 각별히 신경 쓰는 일이였습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딜리버리(배송)가 있으면 바로바로 보내줘야 돼. 안 보내면 난리가 나요. 윗사람들이 혼이 나는 거죠."]

A 씨는 이 때문에 아픈 날에도 물건을 처리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신선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한항공①] “조 씨 자매, 9년간 주 2~3회 조직적 밀반입”
    • 입력 2018-05-03 21:24:33
    • 수정2018-05-03 22:16:33
    뉴스 9
[앵커]

조양호 회장 일가의 밀수 혐의를 입증하는 내부 직원들 제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오늘(3일)은 조현민 전무 자매가 지난 9년 동안 상습적으로 밀수에 직접 관여했다는 폭로가 또 나왔습니다.

신선민 기자입니다.

[연관 기사] [대한항공②] “윗선에서 증거인멸 지시…메일 다 지웠다”

[리포트]

10년 가까이 한진그룹 계열사의 해외지점에서 일한 A 씨는 재직 내내 특별한 업무에 동원됐습니다.

일주일에 두세 번 꼴로 조현아, 현민 자매의 물품을 한국으로 전달하는 일입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평균적으로 한 4~5박스 보시면 돼요. 크기는 어떨 때는 엄청 크고 어떨 때는 정말 무겁고.."]

조 씨 자매가 온라인을 통해 산 물품을 해외 지점에서 대신 받아, 대한항공 여객기를 통해 한국에 보냈다는 게 A 씨의 주장입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전 직원이 알아요. 그 물품은 조현아, 조현민 아이템이라는 걸... 되게 민감한 거라 박스라도 뜯게 되면 정말 난리가 나요."]

그리고 이런 물품들이 인천 공항 통관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이었다고도 말합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한국 쪽으로 세금을 안 내고 밀반입을 하는 거죠. 저는 그렇게만 알고 있어요."]

밀반입은 한진 일가에 대한 여론을 의식해 치밀하게 이뤄졌고,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땅콩회항 전에 그때는 DDA(조현아)라고 표기가 됐죠. 땅콩회항 이후부터는 ○○○과장한테 물품들이 전달이 된 거죠."]

해외 지점장까지 각별히 신경 쓰는 일이였습니다.

[A 씨/한진그룹 계열사 前 직원/음성변조 : "딜리버리(배송)가 있으면 바로바로 보내줘야 돼. 안 보내면 난리가 나요. 윗사람들이 혼이 나는 거죠."]

A 씨는 이 때문에 아픈 날에도 물건을 처리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신선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