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랜트,크리스토퍼,BBC이사장,블랜트,크리스토퍼BBC이사장,인터넷방송
21C 공영방송
⊙ 김종진 앵커 :
우리나라의 기간 공영방송인 저희 KBS가 오늘 공사창립 27주년을 맞아서 급격한 시대변화에 부응하는 공영방송으로 거듭 날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를 계기로 세계의 대표적인 공영방송들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임창건 월드뉴스 팀장의 보도입니다.
⊙ 임창건 팀장 :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미디어가 통합되고, 인터넷 가상세계가 방송의 영역을 잠식합니다. 거대한 정보혁명의 소용돌이는 공영방송의 심각한 도전입니다. 영국 BBC는 나날이 발전하는 방송기술을 시청자들의 선택을 확대하는 데 적극 활용하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전면적인 디지털 방송을 실시한다는 계획입니다. 우리 돈 10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재원, 그래서 스스로 마련하는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 크리스토퍼 블랜트 (BBC이사장) :
기술개발과 상업적 활동, 공동사업으로 재원을 마련할 것입니다.
⊙ 임창건 팀장 :
이 같은 BBC의 자구 노력에 발맞춰 영국 정부는 다음달부터 시청료를 3파운드 인상한 뒤 앞으로 7년 동안 1.5%씩 계속 올려주기로 했습니다. 일본 NHK는 일찌감치 위성 방송으로 판로를 개척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말부터는 고화질 디지털 방송을 시작합니다. 국민 모두가 어느때고 필요한 정보를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인터넷 방송은 물론 뉴스자막 동시 방송과 쌍방향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 NHK 기술연구소 연구원 :
아침 출근으로 보지 못한 뉴스, 드라마를 퇴근 후 언제든지 볼 수 있습니다.
⊙ 임창건 기자 :
최근 미국에선 아메리칸 온라인과 타임워너가 합치고 ABC와 뉴욕 타임즈가 손을 잡았습니다. 신문과 방송, 통신의 장벽 허물기와 새로운 짝짓기 속에 공영방송도 변신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공영성과 상업성이라는 두 가기 상반된 목표를 어떻게 조화할지가 여전히 어려운 과제입니다. KBS 뉴스 임창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BBC 영국 공영방송, 2010년부터 전면적 디지털방송 계획
-
- 입력 2000-03-03 21:00:00

블랜트,크리스토퍼,BBC이사장,블랜트,크리스토퍼BBC이사장,인터넷방송
21C 공영방송
⊙ 김종진 앵커 :
우리나라의 기간 공영방송인 저희 KBS가 오늘 공사창립 27주년을 맞아서 급격한 시대변화에 부응하는 공영방송으로 거듭 날 것을 약속드립니다. 이를 계기로 세계의 대표적인 공영방송들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임창건 월드뉴스 팀장의 보도입니다.
⊙ 임창건 팀장 :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미디어가 통합되고, 인터넷 가상세계가 방송의 영역을 잠식합니다. 거대한 정보혁명의 소용돌이는 공영방송의 심각한 도전입니다. 영국 BBC는 나날이 발전하는 방송기술을 시청자들의 선택을 확대하는 데 적극 활용하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전면적인 디지털 방송을 실시한다는 계획입니다. 우리 돈 10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재원, 그래서 스스로 마련하는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 크리스토퍼 블랜트 (BBC이사장) :
기술개발과 상업적 활동, 공동사업으로 재원을 마련할 것입니다.
⊙ 임창건 팀장 :
이 같은 BBC의 자구 노력에 발맞춰 영국 정부는 다음달부터 시청료를 3파운드 인상한 뒤 앞으로 7년 동안 1.5%씩 계속 올려주기로 했습니다. 일본 NHK는 일찌감치 위성 방송으로 판로를 개척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말부터는 고화질 디지털 방송을 시작합니다. 국민 모두가 어느때고 필요한 정보를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인터넷 방송은 물론 뉴스자막 동시 방송과 쌍방향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 NHK 기술연구소 연구원 :
아침 출근으로 보지 못한 뉴스, 드라마를 퇴근 후 언제든지 볼 수 있습니다.
⊙ 임창건 기자 :
최근 미국에선 아메리칸 온라인과 타임워너가 합치고 ABC와 뉴욕 타임즈가 손을 잡았습니다. 신문과 방송, 통신의 장벽 허물기와 새로운 짝짓기 속에 공영방송도 변신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공영성과 상업성이라는 두 가기 상반된 목표를 어떻게 조화할지가 여전히 어려운 과제입니다. KBS 뉴스 임창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