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만능, 믿다가는 낭패

입력 2003.01.26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여러 가지 자격증에 대한 관심들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취업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자격증들이 많아서 어렵게 자격증을 따고서도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김태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근 학원가에서 관심을 끄는 자격증 가운데 하나는 부동산 분양 상담사입니다.
일부 교재 판매 회사에서는 자격증만 취득하면 취업이 확실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분양상담사 교재 판매원: 아파트가 생기고 발라가 생겨나는 상황이잖아요.
취업은 뭐 (분양상담사)자격증만 따면 100%죠.
⊙기자: 그러나 실제 분양대행사들은 다른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김재윤(분양 대행 업체 이사): 자격증이 있다고 그래서 특별히 채용에 대한 기준을 삼지는 않고, 현장에 대한 감각과 경험을 더 중요시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기자: 시험 때면 한 번에 20만명이 몰린다는 공인중개사시험 역시 합격한다고 해서 곧바로 일자리가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김부원(대한 공인중개사 협회장): 장롱 속에 있는 공인중개사 자격증 수가 10만명이 넘는 76%선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요즘에는 사법시험 준비생들 또한 힘들게 공부를 하면서도 걱정을 떨쳐내지 못합니다.
⊙사법시험 준비생: 예전 같으면 쉽게 자리가 나오는데 이제는 변호사 일자리도 구하기가 힘들다고...
⊙기자: 어렵게 자격증을 땄지만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대학생들도 상당수에 이릅니다.
⊙최윤석(대학교 졸업 예정자): 자격증 하나 갖고 있는데요.
자격증이 취업에 별로 도움이 안 되는 것 같아서 자격증보다 영어공부에 더 충실히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자: 전문가들은 먼저 자신에게 필요한 자격증이 무엇인지 면밀히 검토한 뒤에 자격증 시험에 도전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양원석(대한교육개발원 사장): 평균적으로 자격증 취득하고 나서 활용되는 것은 한 10에서 15% 안팎이기 때문에 극히 일부분의 사람들만 그 자격증을 활용한다고 봐야 되겠죠.
⊙기자: 자격증은 최소한의 자격이 있다는 사실을 보증할 뿐 반드시 취업으로 직결되지는 않습니다.
KBS뉴스 김태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격증 만능, 믿다가는 낭패
    • 입력 2003-01-26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요즘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여러 가지 자격증에 대한 관심들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취업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자격증들이 많아서 어렵게 자격증을 따고서도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김태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근 학원가에서 관심을 끄는 자격증 가운데 하나는 부동산 분양 상담사입니다. 일부 교재 판매 회사에서는 자격증만 취득하면 취업이 확실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분양상담사 교재 판매원: 아파트가 생기고 발라가 생겨나는 상황이잖아요. 취업은 뭐 (분양상담사)자격증만 따면 100%죠. ⊙기자: 그러나 실제 분양대행사들은 다른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김재윤(분양 대행 업체 이사): 자격증이 있다고 그래서 특별히 채용에 대한 기준을 삼지는 않고, 현장에 대한 감각과 경험을 더 중요시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기자: 시험 때면 한 번에 20만명이 몰린다는 공인중개사시험 역시 합격한다고 해서 곧바로 일자리가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김부원(대한 공인중개사 협회장): 장롱 속에 있는 공인중개사 자격증 수가 10만명이 넘는 76%선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요즘에는 사법시험 준비생들 또한 힘들게 공부를 하면서도 걱정을 떨쳐내지 못합니다. ⊙사법시험 준비생: 예전 같으면 쉽게 자리가 나오는데 이제는 변호사 일자리도 구하기가 힘들다고... ⊙기자: 어렵게 자격증을 땄지만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대학생들도 상당수에 이릅니다. ⊙최윤석(대학교 졸업 예정자): 자격증 하나 갖고 있는데요. 자격증이 취업에 별로 도움이 안 되는 것 같아서 자격증보다 영어공부에 더 충실히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자: 전문가들은 먼저 자신에게 필요한 자격증이 무엇인지 면밀히 검토한 뒤에 자격증 시험에 도전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양원석(대한교육개발원 사장): 평균적으로 자격증 취득하고 나서 활용되는 것은 한 10에서 15% 안팎이기 때문에 극히 일부분의 사람들만 그 자격증을 활용한다고 봐야 되겠죠. ⊙기자: 자격증은 최소한의 자격이 있다는 사실을 보증할 뿐 반드시 취업으로 직결되지는 않습니다. KBS뉴스 김태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