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119 허위신고 1,087번…60대 구속 ‘엄벌’
입력 2018.11.23 (07:38)
수정 2018.11.23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긴급한 출동이 필요한 112나 119에 넉 달여 동안 천 번이 넘게 허위신고를 한 60대가 구속됐습니다.
허위신고로 실제로 소방과 경찰이 여러 차례 출동까지 하게 만들어 행정력을 낭비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루 평균 3천 건의 신고가 들어오는 경남경찰 112종합상황실.
66살 김 모씨의 신고 전화입니다.
[김OO/112 허위신고 전화 : "술 취한 사람이 남의 집을 부수고 하는데." (집 부수는 사람도 누군지 모른다? 출동할 테니까 거기 있으세요.)"]
하지만, 허위 신고였습니다.
많을 때는 하루 백 차례를 넘었습니다.
[손동완/창원 진동파출소 팀장 : "만에 하나를 어떤 상황이 생길지 몰라서 그것 때문에 안 나가볼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나가보면 항상 술에 취해 있는 상태고."]
경찰뿐 아니라 119 소방에도 허위신고를 일삼았습니다.
[김○○/119 허위신고 전화 : "술이 많이 취해서 내가 병원에 가고 싶은데….(전화 주신 곳하고 집하고 거리가 먼데….)"]
상습 허위 신고자로 경찰과 소방에 등록까지 됐지만 신고를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손병권/창원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 : "그분 때문에 출동이 나가 있기 때문에 타 관할에서 출동을 하다 보니까 긴급한 신고 같은 경우 출동에 늦어지는 경우가 있고."]
지난 5월부터 넉 달 동안 김 씨의 112와 119 신고전화는 1,087건.
경찰은 상습적으로 허위 장난 신고를 한 혐의로 김 씨를 구속했습니다.
119 소방 허위신고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112 경찰 허위신고는 2014년 천9백여 건에서 지난 해 4천 백 여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최근 3년 동안 허위신고로 투입된 경찰력은 3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긴급한 출동이 필요한 112나 119에 넉 달여 동안 천 번이 넘게 허위신고를 한 60대가 구속됐습니다.
허위신고로 실제로 소방과 경찰이 여러 차례 출동까지 하게 만들어 행정력을 낭비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루 평균 3천 건의 신고가 들어오는 경남경찰 112종합상황실.
66살 김 모씨의 신고 전화입니다.
[김OO/112 허위신고 전화 : "술 취한 사람이 남의 집을 부수고 하는데." (집 부수는 사람도 누군지 모른다? 출동할 테니까 거기 있으세요.)"]
하지만, 허위 신고였습니다.
많을 때는 하루 백 차례를 넘었습니다.
[손동완/창원 진동파출소 팀장 : "만에 하나를 어떤 상황이 생길지 몰라서 그것 때문에 안 나가볼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나가보면 항상 술에 취해 있는 상태고."]
경찰뿐 아니라 119 소방에도 허위신고를 일삼았습니다.
[김○○/119 허위신고 전화 : "술이 많이 취해서 내가 병원에 가고 싶은데….(전화 주신 곳하고 집하고 거리가 먼데….)"]
상습 허위 신고자로 경찰과 소방에 등록까지 됐지만 신고를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손병권/창원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 : "그분 때문에 출동이 나가 있기 때문에 타 관할에서 출동을 하다 보니까 긴급한 신고 같은 경우 출동에 늦어지는 경우가 있고."]
지난 5월부터 넉 달 동안 김 씨의 112와 119 신고전화는 1,087건.
경찰은 상습적으로 허위 장난 신고를 한 혐의로 김 씨를 구속했습니다.
119 소방 허위신고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112 경찰 허위신고는 2014년 천9백여 건에서 지난 해 4천 백 여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최근 3년 동안 허위신고로 투입된 경찰력은 3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12·119 허위신고 1,087번…60대 구속 ‘엄벌’
-
- 입력 2018-11-23 07:44:00
- 수정2018-11-23 07:54:49

[앵커]
긴급한 출동이 필요한 112나 119에 넉 달여 동안 천 번이 넘게 허위신고를 한 60대가 구속됐습니다.
허위신고로 실제로 소방과 경찰이 여러 차례 출동까지 하게 만들어 행정력을 낭비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루 평균 3천 건의 신고가 들어오는 경남경찰 112종합상황실.
66살 김 모씨의 신고 전화입니다.
[김OO/112 허위신고 전화 : "술 취한 사람이 남의 집을 부수고 하는데." (집 부수는 사람도 누군지 모른다? 출동할 테니까 거기 있으세요.)"]
하지만, 허위 신고였습니다.
많을 때는 하루 백 차례를 넘었습니다.
[손동완/창원 진동파출소 팀장 : "만에 하나를 어떤 상황이 생길지 몰라서 그것 때문에 안 나가볼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나가보면 항상 술에 취해 있는 상태고."]
경찰뿐 아니라 119 소방에도 허위신고를 일삼았습니다.
[김○○/119 허위신고 전화 : "술이 많이 취해서 내가 병원에 가고 싶은데….(전화 주신 곳하고 집하고 거리가 먼데….)"]
상습 허위 신고자로 경찰과 소방에 등록까지 됐지만 신고를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손병권/창원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 : "그분 때문에 출동이 나가 있기 때문에 타 관할에서 출동을 하다 보니까 긴급한 신고 같은 경우 출동에 늦어지는 경우가 있고."]
지난 5월부터 넉 달 동안 김 씨의 112와 119 신고전화는 1,087건.
경찰은 상습적으로 허위 장난 신고를 한 혐의로 김 씨를 구속했습니다.
119 소방 허위신고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112 경찰 허위신고는 2014년 천9백여 건에서 지난 해 4천 백 여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최근 3년 동안 허위신고로 투입된 경찰력은 3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긴급한 출동이 필요한 112나 119에 넉 달여 동안 천 번이 넘게 허위신고를 한 60대가 구속됐습니다.
허위신고로 실제로 소방과 경찰이 여러 차례 출동까지 하게 만들어 행정력을 낭비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루 평균 3천 건의 신고가 들어오는 경남경찰 112종합상황실.
66살 김 모씨의 신고 전화입니다.
[김OO/112 허위신고 전화 : "술 취한 사람이 남의 집을 부수고 하는데." (집 부수는 사람도 누군지 모른다? 출동할 테니까 거기 있으세요.)"]
하지만, 허위 신고였습니다.
많을 때는 하루 백 차례를 넘었습니다.
[손동완/창원 진동파출소 팀장 : "만에 하나를 어떤 상황이 생길지 몰라서 그것 때문에 안 나가볼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나가보면 항상 술에 취해 있는 상태고."]
경찰뿐 아니라 119 소방에도 허위신고를 일삼았습니다.
[김○○/119 허위신고 전화 : "술이 많이 취해서 내가 병원에 가고 싶은데….(전화 주신 곳하고 집하고 거리가 먼데….)"]
상습 허위 신고자로 경찰과 소방에 등록까지 됐지만 신고를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손병권/창원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 : "그분 때문에 출동이 나가 있기 때문에 타 관할에서 출동을 하다 보니까 긴급한 신고 같은 경우 출동에 늦어지는 경우가 있고."]
지난 5월부터 넉 달 동안 김 씨의 112와 119 신고전화는 1,087건.
경찰은 상습적으로 허위 장난 신고를 한 혐의로 김 씨를 구속했습니다.
119 소방 허위신고는 줄어드는 추세지만, 112 경찰 허위신고는 2014년 천9백여 건에서 지난 해 4천 백 여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최근 3년 동안 허위신고로 투입된 경찰력은 3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
-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손원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