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 교수들 스포츠 혁신위 권고안 지지성명…찬반 논쟁 가열
입력 2019.07.02 (21:53)
수정 2019.07.02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체육학과 교수 190여 명이 이례적으로 성명서를 내고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안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습니다.
국가주의 스포츠 패러다임을 조속히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찬반 논쟁이 과열될 우려가 있는데 합리적 공개토론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기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체육학 관련 교수 190여 명이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스포츠 혁신위원회 권고안을 조속히 이행하라는 촉구입니다.
[이병준/경상대학교 교수 : "체육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패러다임은 소수를 위한 스포츠에서 모두를 위한 스포츠, 엘리트 스포츠에서 전체 학생을 위한 스포츠입니다."]
혁신위가 지난 달 주중 대회 금지와 소년체전 개편 등이 담긴 권고안을 내자 일부 엘리트 체육계는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혁신안을 찬성하는 교수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겁니다.
이렇게 교수들이 한 목소리를 낸 건 지난 2000년 장희진 선수가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요구하며 태릉 선수촌을 이탈한 이후 처음입니다.
[강신욱/단국대 교수 : "향후 지혜를 모으고 또 마음을 비우고 좀 더 냉정하게 고민하면 아마 훌륭하고 먼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찬반 논란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공개 토론회 등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한체육회는 지난 달 소년체전 형식 변화와 스포츠 클럽 확대 등이 담긴 자체 혁신안 초안을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체육회는 현장의 의견을 추가 수렴한 뒤 자체 혁신안을 공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기범입니다.
체육학과 교수 190여 명이 이례적으로 성명서를 내고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안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습니다.
국가주의 스포츠 패러다임을 조속히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찬반 논쟁이 과열될 우려가 있는데 합리적 공개토론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기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체육학 관련 교수 190여 명이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스포츠 혁신위원회 권고안을 조속히 이행하라는 촉구입니다.
[이병준/경상대학교 교수 : "체육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패러다임은 소수를 위한 스포츠에서 모두를 위한 스포츠, 엘리트 스포츠에서 전체 학생을 위한 스포츠입니다."]
혁신위가 지난 달 주중 대회 금지와 소년체전 개편 등이 담긴 권고안을 내자 일부 엘리트 체육계는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혁신안을 찬성하는 교수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겁니다.
이렇게 교수들이 한 목소리를 낸 건 지난 2000년 장희진 선수가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요구하며 태릉 선수촌을 이탈한 이후 처음입니다.
[강신욱/단국대 교수 : "향후 지혜를 모으고 또 마음을 비우고 좀 더 냉정하게 고민하면 아마 훌륭하고 먼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찬반 논란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공개 토론회 등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한체육회는 지난 달 소년체전 형식 변화와 스포츠 클럽 확대 등이 담긴 자체 혁신안 초안을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체육회는 현장의 의견을 추가 수렴한 뒤 자체 혁신안을 공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기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체육학 교수들 스포츠 혁신위 권고안 지지성명…찬반 논쟁 가열
-
- 입력 2019-07-02 22:08:35
- 수정2019-07-02 22:14:37

[앵커]
체육학과 교수 190여 명이 이례적으로 성명서를 내고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안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습니다.
국가주의 스포츠 패러다임을 조속히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찬반 논쟁이 과열될 우려가 있는데 합리적 공개토론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기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체육학 관련 교수 190여 명이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스포츠 혁신위원회 권고안을 조속히 이행하라는 촉구입니다.
[이병준/경상대학교 교수 : "체육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패러다임은 소수를 위한 스포츠에서 모두를 위한 스포츠, 엘리트 스포츠에서 전체 학생을 위한 스포츠입니다."]
혁신위가 지난 달 주중 대회 금지와 소년체전 개편 등이 담긴 권고안을 내자 일부 엘리트 체육계는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혁신안을 찬성하는 교수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겁니다.
이렇게 교수들이 한 목소리를 낸 건 지난 2000년 장희진 선수가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요구하며 태릉 선수촌을 이탈한 이후 처음입니다.
[강신욱/단국대 교수 : "향후 지혜를 모으고 또 마음을 비우고 좀 더 냉정하게 고민하면 아마 훌륭하고 먼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찬반 논란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공개 토론회 등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한체육회는 지난 달 소년체전 형식 변화와 스포츠 클럽 확대 등이 담긴 자체 혁신안 초안을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체육회는 현장의 의견을 추가 수렴한 뒤 자체 혁신안을 공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기범입니다.
체육학과 교수 190여 명이 이례적으로 성명서를 내고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안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습니다.
국가주의 스포츠 패러다임을 조속히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찬반 논쟁이 과열될 우려가 있는데 합리적 공개토론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기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 체육학 관련 교수 190여 명이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스포츠 혁신위원회 권고안을 조속히 이행하라는 촉구입니다.
[이병준/경상대학교 교수 : "체육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패러다임은 소수를 위한 스포츠에서 모두를 위한 스포츠, 엘리트 스포츠에서 전체 학생을 위한 스포츠입니다."]
혁신위가 지난 달 주중 대회 금지와 소년체전 개편 등이 담긴 권고안을 내자 일부 엘리트 체육계는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혁신안을 찬성하는 교수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겁니다.
이렇게 교수들이 한 목소리를 낸 건 지난 2000년 장희진 선수가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요구하며 태릉 선수촌을 이탈한 이후 처음입니다.
[강신욱/단국대 교수 : "향후 지혜를 모으고 또 마음을 비우고 좀 더 냉정하게 고민하면 아마 훌륭하고 먼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찬반 논란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공개 토론회 등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한체육회는 지난 달 소년체전 형식 변화와 스포츠 클럽 확대 등이 담긴 자체 혁신안 초안을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체육회는 현장의 의견을 추가 수렴한 뒤 자체 혁신안을 공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기범입니다.
-
-
김기범 기자 kikiholic@kbs.co.kr
김기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