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나라로 꺼져” 美서 이번에는 아시아인 혐오 논란

입력 2020.06.13 (15:30) 수정 2020.06.13 (15: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백인 여성이 필리핀계 미국인 여성에게 "아시아로 꺼지라"며 욕설을 퍼붓는 영상이 소셜미디어에 퍼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CNN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근교 도시 토런스의 공원에서 한 중년 여성이 필리핀계 미국인 여성 셰리에게 접근해 "이 나라에서 당장 나가라", "아시아 어디든 너희 국가로 돌아가라"는 등 막말을 쏟아내는 장면이 포착됐다고 현지시각 12일 보도했습니다.

지난 10일 촬영된 이 영상에서 선글라스를 낀 가해 여성은 "우리 가족이 널 혼쭐낼 것"이라며 "여긴 네 집이 아니다. 우린 네가 여기 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고함쳤습니다.

인종차별 피해자인 필리핀계 여성은 당시 공원 내 계단을 오르내리며 운동하던 중이었습니다.

셰리는 실제로 이런 상황을 겪게 될 줄 몰랐다며 "내 일에만 신경 쓰면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만 생각했다"고 심정을 털어놨습니다.

그러면서 "이곳이 더는 안전하다고 느껴지지 않는다"며 "이곳은 내가 나고 자란 하와이와 닮아서 고향처럼 여기는 곳이었지만, 이제는 집 밖으로 나가고 싶지도 않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사건을 접수한 토런스 경찰은 "공원은 모두에게 안전한 공간이 되길 바란다"며 용의자를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지난해 10월에도 한 쇼핑몰에서 손님 한 명을 때린,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며 "동일 인물로 보인다"며 조만간 여성을 조사할 예정입니다.

CNN에 따르면 토런스 인구 중 36.6%는 아시아인으로,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집단입니다. 토런스는 미국 내에서 일본계 미국인이 가장 많이 사는 도시 중 하나로 꼽힙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네 나라로 꺼져” 美서 이번에는 아시아인 혐오 논란
    • 입력 2020-06-13 15:30:23
    • 수정2020-06-13 15:56:57
    국제
한 백인 여성이 필리핀계 미국인 여성에게 "아시아로 꺼지라"며 욕설을 퍼붓는 영상이 소셜미디어에 퍼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CNN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근교 도시 토런스의 공원에서 한 중년 여성이 필리핀계 미국인 여성 셰리에게 접근해 "이 나라에서 당장 나가라", "아시아 어디든 너희 국가로 돌아가라"는 등 막말을 쏟아내는 장면이 포착됐다고 현지시각 12일 보도했습니다.

지난 10일 촬영된 이 영상에서 선글라스를 낀 가해 여성은 "우리 가족이 널 혼쭐낼 것"이라며 "여긴 네 집이 아니다. 우린 네가 여기 있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고함쳤습니다.

인종차별 피해자인 필리핀계 여성은 당시 공원 내 계단을 오르내리며 운동하던 중이었습니다.

셰리는 실제로 이런 상황을 겪게 될 줄 몰랐다며 "내 일에만 신경 쓰면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만 생각했다"고 심정을 털어놨습니다.

그러면서 "이곳이 더는 안전하다고 느껴지지 않는다"며 "이곳은 내가 나고 자란 하와이와 닮아서 고향처럼 여기는 곳이었지만, 이제는 집 밖으로 나가고 싶지도 않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사건을 접수한 토런스 경찰은 "공원은 모두에게 안전한 공간이 되길 바란다"며 용의자를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지난해 10월에도 한 쇼핑몰에서 손님 한 명을 때린,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며 "동일 인물로 보인다"며 조만간 여성을 조사할 예정입니다.

CNN에 따르면 토런스 인구 중 36.6%는 아시아인으로,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집단입니다. 토런스는 미국 내에서 일본계 미국인이 가장 많이 사는 도시 중 하나로 꼽힙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