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지방 오후 한차례 또 고비…“시간당 120mm 집중호우 예상”

입력 2020.08.04 (06:08) 수정 2020.08.04 (06: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부지방에 호우 특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또다시 큰비가 예보됐습니다.

기상청은 오늘 오후 수도권에 시간당 최고 120mm이라는 전례 없는 폭우를 경고했습니다.

재난방송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기상 현황과 전망 알아보겠습니다.

김용준 기자, 주요지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네, 현재는 경기 북부 위주로 시간당 10mm 내외의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먼저, KBS 재난 감시 CCTV로 실시간 상황 보겠습니다.

먼저 충주댐으로 가보겠습니다.

안쪽에 보시면, 충주댐 6개의 수문이 모두 열려서 계속해서 방류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마치 폭포수가 쏟아지는듯합니다.

유역 면적 기준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가 바로 충주댐인데, 2년 만에 수문을 열었고요.

남한강 물을 담고 있는 충주댐이 방류를 시작하면 마찬가지 방류를 시작한 팔당댐을 거쳐서 한강수계에까지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경기 연천군 필승교입니다.

CCTV 보시면 물이 차오른 걸 볼 수 있는데요.

어제 새벽엔 한때 5.7m까지 차올랐었습니다.

이 필승교 수위가 중요한 이유는, 북한이 임진강 상류의 황강댐 수문을 개방하면 우리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어서 경기 평택시 군문교 삼거립니다.

양방향에서 차량들 서행중인데요.

안성천에 내린 비로 군문교 지점 수위가 계속 올라서 지금은 홍수주의보가 발령된 상황이라, 유의하셔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충북 괴산 목도교입니다.

지금은 물의 흐름이 잔잔해 보이고 물이 다행히 많이 빠진 상태지만 그제부터 계속해서 홍수주의보 발령이 유지됐습니다.

괴산과 충주지역 주민분들 유의하셔야겠습니다.

현재 레이더 영상 보시면 중부지방을 지나는 비구름대가 점점 강해지는 모습 볼 수 있는데요.

또, 서해에서 유입되는 강한 비구름은 서해5도를 지나 지금은 수도권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출근길에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일부터 현재까지 누적강수량은 경기 안성 일죽이 401mm, 충북 충주 엄정이 400.5mm, 이천 모가 354mm, 강원 철원 동송도 301mm에 달합니다.

[앵커]

그럼 특히 어느 지역에 얼마나 비가 더 내릴까요?

[기자]

슈퍼컴퓨터가 예측한 비구름의 이동을 자세히 보시겠습니다.

이번 비구름은, 오후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주로 서울과 경기 지역에 시간당 50mm에서 100mm의 비가 내릴 것으로 슈퍼컴퓨터가 예상했는데요.

기상청은 일부 지역의 경우 시간당 120mm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러니까 오늘 오후가 또 한차례 큰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밤에도 비구름이 강하게 발달해 중부지방 곳곳에 폭우를 뿌릴 것으로 보입니다.

내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서울과 경기 강원영서, 충청북부 등 지역에 100~300mm로 예상되고요.

곳에따라 최고 500mm가 넘는 곳도 있을 것으로 보여 추가 피해 우려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여기에 태풍도 빠르게 올라왔습니다.

천리안 위성영상을 보면 우리나라를 뒤덮고 있는 거대한 구름대가 보이는데요.

바로 장마전선입니다.

남쪽에는 4호 태풍 하구핏이 북상 중인데, 중국 남동부 해안에 막 상륙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중국에 상륙한 태풍은 내일(5일) 새벽에는 열대 저압부로 세력이 약해지겠는데요.

하지만 문제는 태풍이 몰고 온 열대성 수증기입니다.

태풍 세력이 약해지더라도 남아있는 열대성 수증기가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에 있는 장마전선으로 그대로 유입되면, 비구름은 더욱 강해져서 내일과 모레 또 한차례 큰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풍의 간접 영향으로 중부지방은 장마가 길어지면서 다음 주 중반까지 계속 비 예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중부지방의 장마는 50일 이상 지속되는 건데, 2013년 49일을 넘어 역대 최장입니다.

비 피해가 없도록 계속 대비해 주십시오.

지금까지 재난방송센터에서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부지방 오후 한차례 또 고비…“시간당 120mm 집중호우 예상”
    • 입력 2020-08-04 06:12:21
    • 수정2020-08-04 06:17:01
    뉴스광장 1부
[앵커]

중부지방에 호우 특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또다시 큰비가 예보됐습니다.

기상청은 오늘 오후 수도권에 시간당 최고 120mm이라는 전례 없는 폭우를 경고했습니다.

재난방송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기상 현황과 전망 알아보겠습니다.

김용준 기자, 주요지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네, 현재는 경기 북부 위주로 시간당 10mm 내외의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먼저, KBS 재난 감시 CCTV로 실시간 상황 보겠습니다.

먼저 충주댐으로 가보겠습니다.

안쪽에 보시면, 충주댐 6개의 수문이 모두 열려서 계속해서 방류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마치 폭포수가 쏟아지는듯합니다.

유역 면적 기준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가 바로 충주댐인데, 2년 만에 수문을 열었고요.

남한강 물을 담고 있는 충주댐이 방류를 시작하면 마찬가지 방류를 시작한 팔당댐을 거쳐서 한강수계에까지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경기 연천군 필승교입니다.

CCTV 보시면 물이 차오른 걸 볼 수 있는데요.

어제 새벽엔 한때 5.7m까지 차올랐었습니다.

이 필승교 수위가 중요한 이유는, 북한이 임진강 상류의 황강댐 수문을 개방하면 우리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어서 경기 평택시 군문교 삼거립니다.

양방향에서 차량들 서행중인데요.

안성천에 내린 비로 군문교 지점 수위가 계속 올라서 지금은 홍수주의보가 발령된 상황이라, 유의하셔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충북 괴산 목도교입니다.

지금은 물의 흐름이 잔잔해 보이고 물이 다행히 많이 빠진 상태지만 그제부터 계속해서 홍수주의보 발령이 유지됐습니다.

괴산과 충주지역 주민분들 유의하셔야겠습니다.

현재 레이더 영상 보시면 중부지방을 지나는 비구름대가 점점 강해지는 모습 볼 수 있는데요.

또, 서해에서 유입되는 강한 비구름은 서해5도를 지나 지금은 수도권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출근길에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일부터 현재까지 누적강수량은 경기 안성 일죽이 401mm, 충북 충주 엄정이 400.5mm, 이천 모가 354mm, 강원 철원 동송도 301mm에 달합니다.

[앵커]

그럼 특히 어느 지역에 얼마나 비가 더 내릴까요?

[기자]

슈퍼컴퓨터가 예측한 비구름의 이동을 자세히 보시겠습니다.

이번 비구름은, 오후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주로 서울과 경기 지역에 시간당 50mm에서 100mm의 비가 내릴 것으로 슈퍼컴퓨터가 예상했는데요.

기상청은 일부 지역의 경우 시간당 120mm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그러니까 오늘 오후가 또 한차례 큰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밤에도 비구름이 강하게 발달해 중부지방 곳곳에 폭우를 뿌릴 것으로 보입니다.

내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서울과 경기 강원영서, 충청북부 등 지역에 100~300mm로 예상되고요.

곳에따라 최고 500mm가 넘는 곳도 있을 것으로 보여 추가 피해 우려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여기에 태풍도 빠르게 올라왔습니다.

천리안 위성영상을 보면 우리나라를 뒤덮고 있는 거대한 구름대가 보이는데요.

바로 장마전선입니다.

남쪽에는 4호 태풍 하구핏이 북상 중인데, 중국 남동부 해안에 막 상륙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중국에 상륙한 태풍은 내일(5일) 새벽에는 열대 저압부로 세력이 약해지겠는데요.

하지만 문제는 태풍이 몰고 온 열대성 수증기입니다.

태풍 세력이 약해지더라도 남아있는 열대성 수증기가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에 있는 장마전선으로 그대로 유입되면, 비구름은 더욱 강해져서 내일과 모레 또 한차례 큰 고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풍의 간접 영향으로 중부지방은 장마가 길어지면서 다음 주 중반까지 계속 비 예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중부지방의 장마는 50일 이상 지속되는 건데, 2013년 49일을 넘어 역대 최장입니다.

비 피해가 없도록 계속 대비해 주십시오.

지금까지 재난방송센터에서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