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협상 과정 더욱 어려워 질 것`

입력 2003.09.1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농민단체들은 이번 회의 결렬에 반가워하고 있지만 앞으로의 협상 과정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WTO 각료회의가 선언문 합의에 실패한 채 막을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농민단체들은 일제히 당연한 결과라며 환영했습니다.
⊙박흥식(전농 사무총장): 미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국들의 입장을 대변하게 되었던 것으로 진행되었던 것들이 결렬된 것은 저희 농민들로서는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합의 실패로 상황이 달라진 것은 아닙니다.
보조금을 대폭 줄이고 관세도 큰폭으로 내린다는 내용의 농산물 협상 초안이 작성됐고 이변이 없는 한 초안이 향후 농산물 협상에 기본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최정섭(농림부 통상정책관): 앞으로도 수출국들 중심으로 관세 상한 설정 문제를 계속 주장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기자: 이번 회의에서 농업 분야에 대한 기본틀을 마련하지 못함에 따라 내년으로 예정된 쌀 협상을 추진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까지 농업 협상의 기본틀이 확정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 베트남 등 주요 쌀 수출국과 힘겨운 개별협상을 벌여야 합니다.
또 농산물 부문을 보호하려다 우리의 주력인 공산품 부문에서 또 다른 양보를 강요받는 어려움에 봉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첩첩산중의 어려움 속에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우리나라와 보조를 맞췄던 일본과 대만 등 농산물 수입국들과 연계해 협상력을 높인다는 전략입니다.
KBS뉴스 김대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앞으로 협상 과정 더욱 어려워 질 것`
    • 입력 2003-09-1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농민단체들은 이번 회의 결렬에 반가워하고 있지만 앞으로의 협상 과정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대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WTO 각료회의가 선언문 합의에 실패한 채 막을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농민단체들은 일제히 당연한 결과라며 환영했습니다. ⊙박흥식(전농 사무총장): 미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국들의 입장을 대변하게 되었던 것으로 진행되었던 것들이 결렬된 것은 저희 농민들로서는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합의 실패로 상황이 달라진 것은 아닙니다. 보조금을 대폭 줄이고 관세도 큰폭으로 내린다는 내용의 농산물 협상 초안이 작성됐고 이변이 없는 한 초안이 향후 농산물 협상에 기본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최정섭(농림부 통상정책관): 앞으로도 수출국들 중심으로 관세 상한 설정 문제를 계속 주장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기자: 이번 회의에서 농업 분야에 대한 기본틀을 마련하지 못함에 따라 내년으로 예정된 쌀 협상을 추진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까지 농업 협상의 기본틀이 확정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 베트남 등 주요 쌀 수출국과 힘겨운 개별협상을 벌여야 합니다. 또 농산물 부문을 보호하려다 우리의 주력인 공산품 부문에서 또 다른 양보를 강요받는 어려움에 봉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첩첩산중의 어려움 속에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우리나라와 보조를 맞췄던 일본과 대만 등 농산물 수입국들과 연계해 협상력을 높인다는 전략입니다. KBS뉴스 김대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