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유지, 개도국 인정이 목표
입력 2003.09.1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는 칸쿤 WTO 회의는 결렬되었지만 새로운 합의안을 위한 협상에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그러나 농산물 개방 폭은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도국 지위 유지에 총력을 다한다는 입장입니다.
금철영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회의가 결렬로 끝이 났지만 우리나라는 새로운 합의가 긴요한 처지이고 국제적으로도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협상이 재개될 예정입니다.
국내총생산의 70%가 외국과의 무역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다자간 무역체제의 출범은 이를수록 좋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입니다.
국제 무역 규범이 없으면 무역 당사자간 양자협상에 나서야 합니다.
이럴 경우 농산물에서는 큰 폭의 개방압력에 시달리면서도 비농산물 분야에서는 무역장벽을 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역 관계자들은 지난 2000년 중국산 마늘 수입을 막으려다 휴대전화 수출길이 막혔던 예를 들고 있습니다.
⊙황두연(통상교섭 본부장): 우리의 무역국가의 입지를 충분히 활용해서 적극 참여하는 것이 우리에게 유익한 방향이다.
⊙기자: 새로운 합의안이 추진되더라도 쌀개방의 경우 개도국 지위를 유지하는 데 주력할 방침입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서 개도국 우대조항 유지에 각국이 공감대를 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함께 일본과 스위스 등 농산물 수입국들의 모임인 G10 그룹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관세 상한 조정과 조율관세의 의무수입량을 축소하는 협상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농산물 개방의 충격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그러나 농산물 개방 폭은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도국 지위 유지에 총력을 다한다는 입장입니다.
금철영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회의가 결렬로 끝이 났지만 우리나라는 새로운 합의가 긴요한 처지이고 국제적으로도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협상이 재개될 예정입니다.
국내총생산의 70%가 외국과의 무역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다자간 무역체제의 출범은 이를수록 좋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입니다.
국제 무역 규범이 없으면 무역 당사자간 양자협상에 나서야 합니다.
이럴 경우 농산물에서는 큰 폭의 개방압력에 시달리면서도 비농산물 분야에서는 무역장벽을 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역 관계자들은 지난 2000년 중국산 마늘 수입을 막으려다 휴대전화 수출길이 막혔던 예를 들고 있습니다.
⊙황두연(통상교섭 본부장): 우리의 무역국가의 입지를 충분히 활용해서 적극 참여하는 것이 우리에게 유익한 방향이다.
⊙기자: 새로운 합의안이 추진되더라도 쌀개방의 경우 개도국 지위를 유지하는 데 주력할 방침입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서 개도국 우대조항 유지에 각국이 공감대를 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함께 일본과 스위스 등 농산물 수입국들의 모임인 G10 그룹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관세 상한 조정과 조율관세의 의무수입량을 축소하는 협상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농산물 개방의 충격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TO 유지, 개도국 인정이 목표
-
- 입력 2003-09-1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우리 정부는 칸쿤 WTO 회의는 결렬되었지만 새로운 합의안을 위한 협상에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그러나 농산물 개방 폭은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도국 지위 유지에 총력을 다한다는 입장입니다.
금철영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회의가 결렬로 끝이 났지만 우리나라는 새로운 합의가 긴요한 처지이고 국제적으로도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협상이 재개될 예정입니다.
국내총생산의 70%가 외국과의 무역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다자간 무역체제의 출범은 이를수록 좋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입니다.
국제 무역 규범이 없으면 무역 당사자간 양자협상에 나서야 합니다.
이럴 경우 농산물에서는 큰 폭의 개방압력에 시달리면서도 비농산물 분야에서는 무역장벽을 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역 관계자들은 지난 2000년 중국산 마늘 수입을 막으려다 휴대전화 수출길이 막혔던 예를 들고 있습니다.
⊙황두연(통상교섭 본부장): 우리의 무역국가의 입지를 충분히 활용해서 적극 참여하는 것이 우리에게 유익한 방향이다.
⊙기자: 새로운 합의안이 추진되더라도 쌀개방의 경우 개도국 지위를 유지하는 데 주력할 방침입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서 개도국 우대조항 유지에 각국이 공감대를 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함께 일본과 스위스 등 농산물 수입국들의 모임인 G10 그룹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관세 상한 조정과 조율관세의 의무수입량을 축소하는 협상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농산물 개방의 충격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BS뉴스 금철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