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 지원비 제때 전달 안돼
입력 2003.09.1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나마 한시가 급한 복구지원비가 제때 전달되지 않고 잠자고 있는 것도 답답한 노릇입니다.
복잡한 행정절차 때문에 지원까지는 빨라야 보름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복창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태풍 피해를 본 강원도의 한 마을.
태풍이 지나간 지 엿새째지만 복구지원비나 재해성금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손덕규(강원도 정선군): 빨리 나와야지, 수해복구가 빨리 되잖아요, 집수리 같은 거...
⊙기자: 이처럼 지원비가 늦어지는 이유는 1차 피해조사에만 일주일, 재해대장 작성 등에 3일 등 복잡한 절차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복구비 신청절차 등을 거치면 적어도 보름 이상이 걸립니다.
⊙강원도 정선군 재해상황실 직원: 마을이 34개가 되는데, 지금 직원이 20여 명이니까 마을 두 개씩 (피해 조사를) 맡아도 힘들거든요.
⊙기자: 지원액수도 턱없이 부족해 수재민은 지난해 복구비 200여 만원을 받았지만 큰 도움이 못 됐습니다.
⊙김위순(강원도 정선군): 그 정도 나와 봤자 청소비밖에 더 돼요? 사실...
⊙기자: 농작물의 경우는 사정이 더욱 심각해 현행 규정대로라면 국고지원은 농약비 등에 그치고 있습니다.
⊙정규복(강원도 영월군): 씨 종자 대금, 농약 대금해서...
⊙기자: 미미합니까?
⊙정규복(강원도 영월군): 그렇죠. 미미하죠.
⊙기자: 신속하고도 실질적인 복구지원을 호소하는 수재민들.
그러나 정부의 복구지원금은 복잡한 관련 규정에 묶여 감감무소식입니다.
KBS뉴스 복창현입니다.
복잡한 행정절차 때문에 지원까지는 빨라야 보름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복창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태풍 피해를 본 강원도의 한 마을.
태풍이 지나간 지 엿새째지만 복구지원비나 재해성금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손덕규(강원도 정선군): 빨리 나와야지, 수해복구가 빨리 되잖아요, 집수리 같은 거...
⊙기자: 이처럼 지원비가 늦어지는 이유는 1차 피해조사에만 일주일, 재해대장 작성 등에 3일 등 복잡한 절차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복구비 신청절차 등을 거치면 적어도 보름 이상이 걸립니다.
⊙강원도 정선군 재해상황실 직원: 마을이 34개가 되는데, 지금 직원이 20여 명이니까 마을 두 개씩 (피해 조사를) 맡아도 힘들거든요.
⊙기자: 지원액수도 턱없이 부족해 수재민은 지난해 복구비 200여 만원을 받았지만 큰 도움이 못 됐습니다.
⊙김위순(강원도 정선군): 그 정도 나와 봤자 청소비밖에 더 돼요? 사실...
⊙기자: 농작물의 경우는 사정이 더욱 심각해 현행 규정대로라면 국고지원은 농약비 등에 그치고 있습니다.
⊙정규복(강원도 영월군): 씨 종자 대금, 농약 대금해서...
⊙기자: 미미합니까?
⊙정규복(강원도 영월군): 그렇죠. 미미하죠.
⊙기자: 신속하고도 실질적인 복구지원을 호소하는 수재민들.
그러나 정부의 복구지원금은 복잡한 관련 규정에 묶여 감감무소식입니다.
KBS뉴스 복창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구 지원비 제때 전달 안돼
-
- 입력 2003-09-1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그나마 한시가 급한 복구지원비가 제때 전달되지 않고 잠자고 있는 것도 답답한 노릇입니다.
복잡한 행정절차 때문에 지원까지는 빨라야 보름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복창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태풍 피해를 본 강원도의 한 마을.
태풍이 지나간 지 엿새째지만 복구지원비나 재해성금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손덕규(강원도 정선군): 빨리 나와야지, 수해복구가 빨리 되잖아요, 집수리 같은 거...
⊙기자: 이처럼 지원비가 늦어지는 이유는 1차 피해조사에만 일주일, 재해대장 작성 등에 3일 등 복잡한 절차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복구비 신청절차 등을 거치면 적어도 보름 이상이 걸립니다.
⊙강원도 정선군 재해상황실 직원: 마을이 34개가 되는데, 지금 직원이 20여 명이니까 마을 두 개씩 (피해 조사를) 맡아도 힘들거든요.
⊙기자: 지원액수도 턱없이 부족해 수재민은 지난해 복구비 200여 만원을 받았지만 큰 도움이 못 됐습니다.
⊙김위순(강원도 정선군): 그 정도 나와 봤자 청소비밖에 더 돼요? 사실...
⊙기자: 농작물의 경우는 사정이 더욱 심각해 현행 규정대로라면 국고지원은 농약비 등에 그치고 있습니다.
⊙정규복(강원도 영월군): 씨 종자 대금, 농약 대금해서...
⊙기자: 미미합니까?
⊙정규복(강원도 영월군): 그렇죠. 미미하죠.
⊙기자: 신속하고도 실질적인 복구지원을 호소하는 수재민들.
그러나 정부의 복구지원금은 복잡한 관련 규정에 묶여 감감무소식입니다.
KBS뉴스 복창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