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에 장애인은 더 서럽다

입력 2003.09.24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애인을 서럽게 하는 문제는 또 있습니다.
바로 일자리입니다.
정부가 장애인 의무고용사업장을 확대했지만 사회적 편견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장애인 실업문제를 조성훈 기자가 심층보도합니다.
⊙기자: 청각장애를 안고 있는 이원일 씨가 역시 중증장애인인 아내와 함께 채용박람회장을 찾았습니다.
당장 학교에 갈 나이가 된 딸아이를 둔 이 씨에게 취업은 절박하지만 오늘도 허사입니다.
⊙이원일(청각 장애인): 가족과 함께 살아야 하는데 일자리도 없고 생계가 막막합니다.
⊙기자: 기능대학 졸업반인 전창배 씨는 불편한 신체조건을 극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2급 자격증까지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창배(장애인): 동기들은 다 취업했는데 나만 못 해서 새벽 늦게까지 잠을 못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실제로 지난달 말 현재 장애인 실업률은 28.4%로 일할 수 있는 장애인 63만 명 가운데 13만여 명이 실업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실업률보다 7배 높습니다.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을 꺼리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기업 인사 담당: 업무 효율 면에선 비장애인이 훨씬 높은 것은 사실이죠.
⊙기자: 실제로 지난해 12월 현재 의무고용사업장인 민간기업 2000여 곳에 장애인 고용비율은 1.12%에 그쳤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업장별로 장애인의 의무고용기준을 대폭 늘릴 방침입니다.
⊙양승주(노동부 고용평등국장): 우선 정부 부문이 모범을 보여서 장애인 적합직종을 발굴해서 빠른 시일 내에 고용률 2%를 달성하고 민간기업부문은 의무고용 사업장 범위를 300인 이상에서 50인 이상으로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기자: 하지만 기업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장애 유형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업종이 다른데 이를 무시하고 사업장 규모에 따라 일괄적으로 의무고용을 두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는 것입니다.
장애인들 역시 정부가 이 같은 단기적 대책보다는 장애인들 스스로 차별 없이 취업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만들어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당장의 고용확대라는 미봉책보다는 전문적인 취업훈련과 상시적인 이동권 확보가 더 급하다는 얘기입니다.
⊙김현태(장애인 실업자 지원 센터): 실질적으로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기자: 그러나 무엇보다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사회적인 관심을 높이는 일이 고용촉진을 위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업난에 장애인은 더 서럽다
    • 입력 2003-09-24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장애인을 서럽게 하는 문제는 또 있습니다. 바로 일자리입니다. 정부가 장애인 의무고용사업장을 확대했지만 사회적 편견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장애인 실업문제를 조성훈 기자가 심층보도합니다. ⊙기자: 청각장애를 안고 있는 이원일 씨가 역시 중증장애인인 아내와 함께 채용박람회장을 찾았습니다. 당장 학교에 갈 나이가 된 딸아이를 둔 이 씨에게 취업은 절박하지만 오늘도 허사입니다. ⊙이원일(청각 장애인): 가족과 함께 살아야 하는데 일자리도 없고 생계가 막막합니다. ⊙기자: 기능대학 졸업반인 전창배 씨는 불편한 신체조건을 극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2급 자격증까지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창배(장애인): 동기들은 다 취업했는데 나만 못 해서 새벽 늦게까지 잠을 못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실제로 지난달 말 현재 장애인 실업률은 28.4%로 일할 수 있는 장애인 63만 명 가운데 13만여 명이 실업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실업률보다 7배 높습니다.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을 꺼리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기업 인사 담당: 업무 효율 면에선 비장애인이 훨씬 높은 것은 사실이죠. ⊙기자: 실제로 지난해 12월 현재 의무고용사업장인 민간기업 2000여 곳에 장애인 고용비율은 1.12%에 그쳤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업장별로 장애인의 의무고용기준을 대폭 늘릴 방침입니다. ⊙양승주(노동부 고용평등국장): 우선 정부 부문이 모범을 보여서 장애인 적합직종을 발굴해서 빠른 시일 내에 고용률 2%를 달성하고 민간기업부문은 의무고용 사업장 범위를 300인 이상에서 50인 이상으로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기자: 하지만 기업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장애 유형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업종이 다른데 이를 무시하고 사업장 규모에 따라 일괄적으로 의무고용을 두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는 것입니다. 장애인들 역시 정부가 이 같은 단기적 대책보다는 장애인들 스스로 차별 없이 취업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만들어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당장의 고용확대라는 미봉책보다는 전문적인 취업훈련과 상시적인 이동권 확보가 더 급하다는 얘기입니다. ⊙김현태(장애인 실업자 지원 센터): 실질적으로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기자: 그러나 무엇보다도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사회적인 관심을 높이는 일이 고용촉진을 위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