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감기, 방치하면 큰 화
입력 2003.09.26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임신부 중에는 감기에 걸려도 약을 먹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 때문에 치료를 받지 않는 분들 많습니다.
그러나 임신 4개월 후라면 주사나 약으로 적절히 치료해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박재용 기자입니다.
⊙기자: 임신 6개월인 신희진 씨는 비오는 날 외출했다가 심한 감기에 걸렸습니다.
열이 나고 오한이 들었지만 임신중이라 약은 엄두도 못내고 끙끙 앓기만 했습니다.
⊙신희진(임신 6개월): 임신중이라 아기한테 나쁜 영향을 줄 것 같아서 아무리 아파도 그냥 참게 되더라고요.
⊙기자: 많은 사람들은 이처럼 임신중에는 절대로 약을 먹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임신 12주까지는 배아기간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약물복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시기를 넘기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약을 먹거나 독감예방주사를 맞아도 괜찮습니다.
⊙이춘택(분당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여러 가지 성분이 복합된 복합감기약을 먹는 것은 위험하고 임신중에 안전하다고 알려진 단일성분의 약을 의사의 지시에 따라서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자: 고열이나 심한 몸살이 있는데도 치료하지 않고 참다가 폐렴 등 합병증이 오면 더 큰 화를 입을 수 있습니다.
⊙박교훈(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폐렴이나 독감에 걸리게 되면 임산부 자신뿐만 아니고 태아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가 있기 때문에 초기에 병원을 방문하셔서 약물복용을 포함하는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자: 감기는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쉽게 걸리기 때문에 과로하지 말고 수분과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해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KBS뉴스 박재용입니다.
그러나 임신 4개월 후라면 주사나 약으로 적절히 치료해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박재용 기자입니다.
⊙기자: 임신 6개월인 신희진 씨는 비오는 날 외출했다가 심한 감기에 걸렸습니다.
열이 나고 오한이 들었지만 임신중이라 약은 엄두도 못내고 끙끙 앓기만 했습니다.
⊙신희진(임신 6개월): 임신중이라 아기한테 나쁜 영향을 줄 것 같아서 아무리 아파도 그냥 참게 되더라고요.
⊙기자: 많은 사람들은 이처럼 임신중에는 절대로 약을 먹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임신 12주까지는 배아기간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약물복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시기를 넘기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약을 먹거나 독감예방주사를 맞아도 괜찮습니다.
⊙이춘택(분당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여러 가지 성분이 복합된 복합감기약을 먹는 것은 위험하고 임신중에 안전하다고 알려진 단일성분의 약을 의사의 지시에 따라서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자: 고열이나 심한 몸살이 있는데도 치료하지 않고 참다가 폐렴 등 합병증이 오면 더 큰 화를 입을 수 있습니다.
⊙박교훈(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폐렴이나 독감에 걸리게 되면 임산부 자신뿐만 아니고 태아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가 있기 때문에 초기에 병원을 방문하셔서 약물복용을 포함하는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자: 감기는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쉽게 걸리기 때문에 과로하지 말고 수분과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해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KBS뉴스 박재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임산부 감기, 방치하면 큰 화
-
- 입력 2003-09-26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임신부 중에는 감기에 걸려도 약을 먹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 때문에 치료를 받지 않는 분들 많습니다.
그러나 임신 4개월 후라면 주사나 약으로 적절히 치료해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박재용 기자입니다.
⊙기자: 임신 6개월인 신희진 씨는 비오는 날 외출했다가 심한 감기에 걸렸습니다.
열이 나고 오한이 들었지만 임신중이라 약은 엄두도 못내고 끙끙 앓기만 했습니다.
⊙신희진(임신 6개월): 임신중이라 아기한테 나쁜 영향을 줄 것 같아서 아무리 아파도 그냥 참게 되더라고요.
⊙기자: 많은 사람들은 이처럼 임신중에는 절대로 약을 먹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임신 12주까지는 배아기간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약물복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시기를 넘기면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약을 먹거나 독감예방주사를 맞아도 괜찮습니다.
⊙이춘택(분당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여러 가지 성분이 복합된 복합감기약을 먹는 것은 위험하고 임신중에 안전하다고 알려진 단일성분의 약을 의사의 지시에 따라서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자: 고열이나 심한 몸살이 있는데도 치료하지 않고 참다가 폐렴 등 합병증이 오면 더 큰 화를 입을 수 있습니다.
⊙박교훈(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폐렴이나 독감에 걸리게 되면 임산부 자신뿐만 아니고 태아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가 있기 때문에 초기에 병원을 방문하셔서 약물복용을 포함하는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자: 감기는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쉽게 걸리기 때문에 과로하지 말고 수분과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해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KBS뉴스 박재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